• 제목/요약/키워드: rhizome propag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Efficient Productio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Rhizome by Shoot-Tip Culture

  • Jo, Man-Hyun;Ham, In-Ki;Lee, Mi-Ae;Park, Sang-Kyu;Kwon, Kyeong-Hak;Lee, Eun-M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18-521
    • /
    • 2009
  • High productivity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was obtained from the rhizome produced by shoot-tip culture with Korean native variety, Seosanjong. Seed rhizomes induced by shoot-tip culture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field. The rhizomes induced by both plant or rhizome were higher in emergence rate and faster in days to emergence than those of home seed production. The seed rhizome production induced by shoot-tip culture was two times heavier than that of home seed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oot-tip culture might be one of mass propagation methods in seed rhizome of ginger plant.

서울지역에서 사라져 가는 장억새(Miscanthus changii)의 서식환경조사 및 대량번식 방안 연구 (Habitat Environment and Massive Propagation Method of Rare Species Miscanthus changii Disappeared in Seoul Area)

  • 김귀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1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raft data for the habitat environment and massive propagation method of Miscanthus changii, which is classified as rare species. The in-site analysis of the native soil give a indication of pH 5.24~5.48, electric conductivity (EC)0.03~0.02 $dS{\cdot}m^{-1}$, organic matter (OM) 1.13~1.15%, Ca 3.4 $mg{\cdot}kg^{-1}$, K 0.25 $mg{\cdot}kg^{-1}$, Mg 0.53 $mg{\cdot}kg^{-1}$, N 0.23%, P 2.15 $mg{\cdot}kg^{-1}$ showed low and 0.33~9.12 $cmol{\cdot}kg^{-1}$ CEC. Growth and tiller number in rhizome propagation of Miscanthus changii showed that horticulture media (perlite 1+vermiculate 1+peat moss 1) is the most suitable soil to habitat. As for seed propagation, germination percentage is 0% (0/20) at first seeding, 2% (1/50) at second seeding and 2.1% (6/280) at third seeding. The average germination percentage was below 2%. This is the reason why Miscanthus changi disappear at habitat of poor soil environment and low germination. We gained 61 plants that 60 rhizome propagation and 1 by seed propagation, renatural to habitat.

토천궁(土川芎)의 줄기삽목에 의한 대양번식(大量繁殖) (Mass Propagation by Stem Cutting in Ligusticum chuangxiong Hort.)

  • 유홍섭;방진기;김영국;이봉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0-204
    • /
    • 1999
  • 토천궁의 줄기마디를 이용한 효율적인 삽목번식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목시는 8월30일 $1{\sim}2$마디삽목에서 발근율이 81%로 가장 높았고 발근상태도 양호하였다. 2. 삽수채취에 따른 수량감소는 주당경수의 50%채취에서 9%이하 였으나 100% 채취에서는 $10{\sim}23%$로 비교적 높았다 3. 삽목묘의 포장정식후 활착율은 9월25일 및 10월25일 정식에서 각각 85%, 87%로 높았으나 11월25일 정식에서는 28%로 낮았다. 4. 10a당 수량은 9월25일및, 10월25일 정식에서 각각 127kg, 120kg으로 높았다.

  • PDF

피복비닐 종류에 따른 지모의 근경수량 및 조사포닌 함량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Rhizome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한승호;최병준;신철우;정승근;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4-231
    • /
    • 2003
  • 1. 종자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1일, 2일 및 3일 빨랐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피복 및 투명 PE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2일, 2일 및 3일 빨랐다. 2. 생근경중은 종자형성계통 군에서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16.7%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 군에서는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29.4%, 26.5% 증수하였다. 3. 메탄올엑스함량은 종자형성 계통 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42.60%로서 가장 많았으며, 흑색 PE 피복이37.50%로서 무피복보다 많았으나,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각처리 모두 무피복과 차이가 없었다. 4.조사포닌 함량은 종자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8.25%로서 무피복, 흑백 PE 피복 및 녹색 PE피복보다는 높았으나, 흑색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7.75%로서 흑색 PE 피복이나, 녹색 PE 피복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무피복 및 흑백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다.

생강마름썩음병의 발병분포 및 방제에 관하여 (On the occurrence and control of the rhizome rot of the common ginger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zingiberi)

  • 소인영;김형무
    • 미생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2-179
    • /
    • 1980
  • The rhizome rot of ginger,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zingiberi, gives a great deal of damages to the ginger farming in Korea. Main symptoms to the disease include the yellowing and blighting of the stems as the rotting of rhizomes. The infection rate was 20 percent in Bongdong, Jeonbug, whereas 10 percent in Susan, Chungnam. The rate was higher at the farm where gingers had been cultivated for many years. To control the disease, soil fungicides Dowfum MC-2 and Tolene C-17 were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Di-Trapex nad Daconil. Treatment of Benlate to the rhizome pieces, which were cut for propagation, also showed a better result as compared with that of Othocide. Dual treatment of both Dowfum MC-2 or Tolene C-17 to the farm soil and Benlate to the rhizome pieces was recommended for the best chemical control.

  • PDF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Iris dichotoma Pall. in endangered species

  • Bae, Kee-Hwa;Yoo, Kyoung-Hwa;Lee, Hak-Bong;Yoon, Eui-So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82-188
    • /
    • 2012
  • Iris dichotoma Pall. is an important endangered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Iridaceae. A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rapid micropropagation of I. dichotoma through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rhizome, and root explant-derived calli. Leaf, rhizome, and root segments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0-3.0mg{\cdot}L^{-1}$) for callus induction. Callus production was highest at $1.0mg{\cdot}L^{-1}$ 2,4-D, where 73.8% and 45.5% of cultured rhizome and root cuttings, respectively, produced calli. The viable calli were maintained at an induced concentration of 2,4-D ($3.0mg{\cdot}L^{-1}$). They were then transferred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2,4-D ($0-3.0mg{\cdot}L^{-1}$) in combination with 6-benzyladenine (BA: 0, 1.0 and $3.0mg{\cdot}L^{-1}$) for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The addition of a low concentration of 2,4-D into BA-containing mediu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shoot regeneration in leaf, rhizome, and root-derived calli. The highest number of adventitious shoots (26.4 per callus) formed at $0.5mg{\cdot}L^{-1}$ 2,4-D and 1.0 mg/l BA. For rooting of the shoots, half-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indole 3-butyric acid (IBA) $0-3.0mg{\cdot}L^{-1}$ was tested. The optimal results were observed using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cdot}L^{-1}$ IBA, on which 98% of the regenerated shoots developed roots with an average of 3.5 roots per shoot within 45 days. The plantlets raised in vitro were acclimatized and transferred to soil with 95% success.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will be useful for conservation and mass propagation of this endangered plant.

화경제거가 지모의 수량 및 조사포닌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duncle Cutting 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한승호;최병준;신철우;손석용;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61
    • /
    • 2001
  • 1. 종자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5월30일, 6월30일 및 6월15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29{\sim}12%$ 무거웠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6월15일, 5월30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 순으로 무제거보다 약$21{\sim}4%$ 무거웠다. 2. 종자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6월15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41{\sim}33%$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3% 증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종자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5월30일 화경제거와 6월 15일 화경제거가 39.77% 및 39.17%로 6월 30일 화경제거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 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자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5월 30일 화경제거가 7.50%로 무제거 (5.67%)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한란 및 심비디움의 기내 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효과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in vitro Propagation of Cymbidium kanran and Cymbidium hybrida)

  • 김학윤;권순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8권
    • /
    • pp.1-7
    • /
    • 2000
  • 본 실험은 식물조직배양 기법을 통하여 한란과 심비디움의 효율적인 증식을 위한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적정 처리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한란의 rhizome 형성은 무처리 및 10 ppm kinetin + 2 ppm NAA, 심비디움의 protocorm 형성은 무처리 및 10 ppm kinetin + 0.05 ppm NAA에서 아주 양호하였다. Callus 유도의 적정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농도는 구명하지 못했다. 한란 rhizome으로부터의 shoot 분화에는 10 ppm BA + 2 ppm NAA, 5 ppm BA + 2ppm NAA, 심비디움 protocorm으로부터의 shoot 분화는 10 ppm Kinetin + 0.05 ppm NAA, 1 ppm Kinetin + 2 ppm NAA에서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파대가리(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종자형성과 근경(根莖)의 번식특성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Seed and Rhizome of Green kyllinga(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 김진석;곽현희;정선요;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1-308
    • /
    • 1996
  • 파대가리 근경(根莖)의 번식특성과 종자형성에 관련한 일장반응(日長反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한 일련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경(根莖)의 발생양상을 보면 신초엽(新稍葉)이 4매정도 출현할 때 기부엽액(基部葉腋)에서 2-3개의 1차 근경(根莖)이 나오며 이들이 지표면을 따라 뻗어가면서 신장되었고, 1차 근경(根莖) 각 마디에서 신초(新稍)가 발생되어 이로부터 다시 2-3개의 2차 근경(根莖)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번식특성으로 눈이 하나가 달린 근경절편(根莖切片)을 1년동안 생육시키면 5차 근경(根莖)까지 발생되고, 신초수(新稍數)도 대략 688개나 되었다. 2. 한 개의 눈을 가진 근경절편(根莖切片)으로부터 형성된 영양번식체는 종자 한 개로부터 형성된 것에 비하여 약 3배정도, 종자형성량의 경우는 2.5 배정도 많은 경향이었다. 천립중(千粒重)을 기준한 종자의 충실도는 8월 전후에 발생된 개체에서 가장 좋았다. 3. 파대가리는 대략 14시간 이하의 단일조건(4월 중하순 이전과 7월 중하순 이후)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되며, 각 신초(新稍)는 단일에 대해 독립적으로 반응하되 잎이 2-3매 출현되었을 무렵 7회 이상의 단일주기를 접했을때 화성(花性)이 유도되는 경향이었고, 화성(花性)이 유도될 수 있는 단일조건하에 식물체가 자랄지라도 최소한 4매의 옆이 발생된 이후에 화기(花器)가 출현되었다. 4. 지베렐린($GA_3$) 처리는 단일조건에 생육된 개체들의 출수(出穗)를 3일 정도 촉진시켰지만 장일 조건에서 생육된 경우에는 출수유기(出穗誘起)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호르몬 및 배지 고형제를 이용한 알스트로메리아 식물체 대량증식 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propagation system for Alstroemeria plants by using hormones and gelling agents)

  • 양환래;이상희;김종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67-171
    • /
    • 2018
  • 알스트로메리아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절화 작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낮은 증식률과 번식기간이 길고 바이러스 질병 감염이 높기 때문에 대량증식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내 조직배양을 이용한 대량증식 시스템 쳬계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A와 NAA 그리고 여러 가지 배지 고형제를 이용하여 알스트로메리아 최적의 생장 효율을 찾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BA 1.0 mg/L 와 NAA 0.1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신초 및 뿌리의 개수가 약 1.5배 증가하였고 비대한 신초와 뿌리를 나타내었다. 여러 가지 배지 고형제들 중 gelrite 0.25%를 첨가한 배지에서 타 처리구에 비해 최대 50% 향상된 길이를 나타내었고, 근경 개수 및 생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도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스트로메리아 신품종 개발 및 대량증식 시스템 체계 확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