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ort food produc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8초

레토르트파우치식품의 가공 및 품질안정성에 관한 연구(1) 레토르트파우치 진주담치 조미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의 품질안정성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Foods (1)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Seasoned-Dried Sea Mussel Products)

  • 이응호;정수열;구재근;권칠성;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5-362
    • /
    • 1983
  • 조미진주담치 건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진주담치를 원료로서 레토르트 파우치 조미진주담치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의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원료진주담치를 설탕 $1\%$, sorbitol $15\%$, glycerol $10\%$, 식염 $3\%$, monosodium glutamate $0.5\%$, 5-ribotide $0.5\%$ 및 물 $70\%$의 조미액에 $5^{\circ}C$에서 16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훈액처리($10\%$ Smoke EZ용액, 30초침지)한 후 가볍게 건조한다. 이것을 polyester/polyvinylidene chloride/말연신 polypropylene ($12{\mu}m/15{\mu}m/50{\mu}m$) 필름주머니를 사용하여 진공포장한 후 조리와 살균을 겸하여 열수순환식 레토르트에서 $120^{\circ}C$, 26분간 가열처리한 다음 급냉하여 레토르트 파우치 조미진주담치 건제품을 가공할 수 있었다. 이 제품은 $35^{\circ}C$에서 70일간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특히 훈액처리조작은 제품의 색조와 향미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 PDF

흑밀복(Lagocephalus gloveri)을 이용한 레토르트파우치 복국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of a Retort Pouched Soup Made from Brown-backed Toadfish Lagocephalus gloveri)

  • 황석민;김군철;황영숙;전은비;이현진;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08-315
    • /
    • 2020
  • To obtain a value-added product from the non-toxic brown-backed toadfish Lagocephalus gloveri (pufferfish), we developed a retort pouched pufferfish soup (RPS) and characterized its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metrics. We found that the most appropriat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RPS consisted of detoxifying and cold-water dipping the pufferfish flesh, blanching it, and adding it to the retort pouch along with other ingredients (hot-water extract of pufferfish head and carcass, radish, bean sprouts, and garlic), after which the pouch was sealed, sterilized (120℃, F0 value 7.5-10 min.), cooled, and inspected. The moisture, crude protein, and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of the RPS were 97.2%, 1.3% and 7.7 m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903.2 mg/100 g, and the main free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taurine, lysine, glycine, threonine, alanine, arginine, proline, and hydroxyproline. Sterilizing the RPS for up to F0 value 10 min. did not cause any major problems in terms of chemical or sensory qualities. This RPS has good storage stability and organoleptic qualities compared with similar commercial pufferfish soups and is suitable for commercialization as a value-added instant seafood soup.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공별 Hydroxycinnamic Acid 유도체 및 Anthocyanin 색소의 함량 변화 (Quantitative Changes of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and Anthocyanin in Corn (Zea mays L.) According to Cultivars and Heat Processes)

  • 유명화;김은옥;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43-852
    • /
    • 2010
  • 옥수수를 이용한 고품질의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열처리에 따른 기능성 폴리페놀화합물인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HADs)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국내산 3가지 옥수수 품종(찰옥수수, 감미옥수수 및 사료용 옥수수)의 일반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4.13~10.07%, 무질소화합물 65.57~81.75%, 단백질 6.51~15.15%, 지방 3.16~12.35%, 섬유소 2.09~7.81%, 회분 1.40~1.96% 범위로, 찰옥수수의 일반성분의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감미종 옥수수는 찰옥수수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반면, 당 함량은 낮았으며, 특히 감미종 중 감미옥 품종은 지방과 섬유소 함량이 옥수수 품종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사료용 옥수수는 단백질 및 지방 함량이 매우 낮았으며, 특히 단백질 함량은 옥수수 품종 중 가장 낮았다. 옥수수 품종 중 찰옥수수는 5가지 HADs 함량이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반면, 사료용 옥수수는 2가지 FCAs의 함량은 낮은 반면, 3가지 PCs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P3394 품종이 가장 높았다. 감미 옥수수는 찰옥수수보다 FCAs의 함량은 대체로 높은 반면, PCs는 사료용보다 적어 대체로 찰옥수수와 사료용 옥수수의 중간 정도의 HADs 함량을 나타내었다. 찰옥수수 품종 중 박사찰옥수수의 총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은 2.03 mg/g(건물중), 알록이찰옥수수는 3.43 mg/g, 그리고 흑찰옥수수의 함량은 4.35 mg/g으로서 흑미백찰옥수수의 총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가열처리에 따라 흑찰옥수수의 2가지 FCAs는 다소 증가한 반면, 3가지 PCs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가열처리 중 볶음, retort 및 팽화처리는 FCAs를 증가시켰고 특히 팽화처리 시 크게 증가하였다. 가열처리에 따른 흑찰옥수수의 총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 함량은 4.35 mg/g이었으나 retort 처리(4.45 mg/g)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가열처리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팽화처리 경우 안토시아닌 함량이 크게 감소하여 거의 소실되었다. 흑미백찰옥수수로부터 주된 안토시아닌 색소인 pelargonidin 3-glucoside(P3G)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가열처리에 따른 P3G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retort 처리 경우 함량이 다소 증가한(20.03 mg%) 반면, 그 외 볶음, 마이크로파 및 압출성형 처리에 의해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팽화처리 경우 색소가 거의 소실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옥수수의 기능성성분인 HADs 및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은 옥수수 품종 및 가공처리에 따라 다소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옥수수 품종 중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및 항노화성 FCAs 및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이 높은 흑찰옥수수의 대량 보급과 더불어 고압가열처리(retort)에 의한 고품질의 흑찰옥수수 가공품 개발이 요구된다.

열수식 살균기의 온도 분포에 관한 연구 (Temperature Distribution in Water Cascading Horizontal Retort)

  • 정명수;안태회;이용갑;유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27-833
    • /
    • 1995
  • 살균 매체로서 스팀에 의해 가열된 열수와 공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열수식 살균기에 대하여 1회 살균시 파우치의 투입량을 달리 하면서 온도 분포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살균 tank의 부피는 5,900 liter정도이며 190g 용량의 레토르트 파우치를 최대 6000개까지 한번에 살균할 수 있다. 설정 살균 온도 및 시간은 $122^{\circ}C$ 및 23분이었고 살균중 압력은 $1.8{\sim}2.0\;kg/cm^2$로 유지시켰다. 살균중 평균 온도가 가장 높았던 부분은 살균기 윗부분이었고 중간 부분과 아fot부분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예비 살균 시간과 냉각 시간을 뺀 실제 살균 시간중 최대 평균 온도차는 파우치를 투입하지 않았을때(P-0)와 3000개의 파우치를 투입하였을 때(P-3000)에는 $1.7^{\circ}C$ 이하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6000개의 파우치를 투입하였을 때(P-6000)에는 $1.9^{\circ}C$ 이상으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평균 온도에 대한 표준 편차도 위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6000개의 파우치를 살균할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즉석 카레 소스는 살균시 broken heating curve의 경향을 나타내었고 살균중 평균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에서 측정된 즉석 카레 소스의 살균도(F값)의 차이는 10.93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10.93의 차이는 즉석 카레 소스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ferenc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Consumer to Develop Processed Pork Products for Export

  • Seo, Sang-Hee;Kim, Eun-Mi;Kim, Young-Bo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23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erception of domestic consumers about traditional pork dishes, and to utilize the survey result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pork produc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8 domestic consumers regarding the following: general questions, propensity and preference to consume pork dishes, pork dishes feasible for export, and the types and problems of processed products feasible for expor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respondents consumed pork dishes 3-4 times a month on average and they appeared to consume the pork dishes most frequently in specialized restaurants. The highest preference was shown in Samgyeopasal gui (grilled pork belly) and Galbi gui (grilled pork rib) among the pork dishes, whereas the lowest preference was shown in Kkubdegi gui (grilled pork skin) and Gookbob (boiled rice and pork served in soup). When the type of processed pork products available according to pork dishe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Samgyeopasal gui (grilled pork belly) and Nirbiani (slices of roast, seasoned pork in width) could be developed as a frozen product, Geyook Bokeum (stir-fried spicy pork), Bulgogi (Korean-style barbecued pork), and Galbi jjim (braised short ribs) could be developed as a retort product, and that Bossam (boiled pork eaten with a salty sauce and wrapped in greens), Pyeonyuk (slices of boiled pork), Jokbal (pork trotters), and Sundae (kneading together seasoned mixture of vegetables and glass noodles stuffing it into casings made of hog intestines, which are then tied off at the ends and boiled) could be developed as a vacuum-packed product. When the survey concerning the problems expected in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products using pork dishes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could be a texture change issue for Galbi gui, Samgyeopasal gui and Nirbiani; a preservation issue for Bossam, Pyeonyuk; a safety issue for Bulgogi and Geyook Bokeum; a taste and flavor change issue for Geyook Bokeum and Sundae; and a packaging issue for Gookbob.

레토르트 처리한 김치찌개 제품의 최적 살균조건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um Sterilization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Retorted Kimchi Soup)

  • 천희순;박은지;조원일;황금택;정명수;최준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254-261
    • /
    • 2014
  • 레토르트 김치찌개의 최적 가열 살균 조건 설정을 위해 정치식 및 회전식 레토르트 방식을 이용하여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고찰 결과 가열 특성은 레토르트 살균 방식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아 회전식에서는 $120.7^{\circ}C$, 13분, 정치식에서는 $120.7^{\circ}C$, 20분의 가열 살균이 최적 공정 조건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레토르트 방식에서 김치찌개 파우치 내 냉점의 $F_0$ 값은 동일한 결과를 보여 회전식이 정치식 보다 승온이 더 빠르며, 또한 빠른 온도 상승으로 시료 위치별 온도 편차도 적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전열 특성으로 냉점에서 동일 $F_0$ 값 도달에 있어 회전식 레토르트 방식이 정치식에 비해 가열 살균시간이 35~45%의 단축되는 큰 장점이 있어 전반맛, 향, 색상과 조직감이 유의차 (p<0.05) 있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장점으로 육, 해물, 야채 등의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메뉴의 레토르트 파우치 식품의 관능품질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cdot}$전남지역 주부들의 이유식에 대한 인식 및 이용 실태 (Perception and Use of Weaning Diets by Housewives in Gwangju-Jeonnam Regions)

  • 박영희;이성숙;정난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99-807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erception and use of weaning diets and to serve as a guideline of processed weaning diets through a survey focused on the Gwangju-Jeonnam reg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Most subjects mixed 'home-made' and 'commercial' weaning diets and considered weaning diets as 'a diet for supplementing insufficient nutri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weaning diet was 'a kind of gruel with vegetables or meat', followed by 'boiling powder with water' and 'grinding or crushing fruits'. Two thirds (68%) of subjects had experienced buying weaning diets, mainly a powder type. The most common reason to buy weaning diets was 'troublesome', followed by 'excellent nutrition', 'convenient to go out', and 'don't know how to make'. The following results according to factors were found. The types of provided and of weaning die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the understanding of weaning diets, by education and mothers' employment; and where to get information about weaning diets, by economic status. The highest request for developing weaning diets was a type of 'powder' and 'gruel', and the highest cooking type was 'adding boiling water', followed by 'a semi-cooking product' and 'a finished product'. 'Retort pouch' package, a 'single' package unit, and 'keeping cold' were also requested by the participants. A desirable package unit in developing weaning die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other's employment; the cooking type of product, by economic status; a way to keep product, by mother's employment; and package types, by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When weaning diets were made by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69.5% of subjects were willing to purchase them. With the increase in economic status, education, and employment rate, the use of weaning diets on the market will increase. For this reason, correct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a variety of weaning diets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is demand.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의 열처리조건에 관한 연구 1. 열처리조건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Thermal Treatment Conditions of Retort Pouched Fried Fish Meat Paste 1.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 Conditions on Quality)

  • 하진환;이응호;김진수;지승길;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73-581
    • /
    • 1987
  • 어육연제품은 최근 그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으나 AF-2 등 식품방부제의 사용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어묵은 유통상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영양적 및 관능적인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하되 저장 수명이 길면서 상온유통이 가능한 제품생산을 위한 고온열처리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열처리시간은 $F_o$-값 6을 기준으로 하고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의 크기와 열처리온도를 달리 하였을 때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젤리강도와 경도는 열처리온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보수력과 강성은 차이가 없었다. 젤리강도, 경도, 명도 및 in vitro 단백질소화율은 전 제품에서 모두 직경이 12mm인 것을 $124^{\circ}C$에서 ?처리한 것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관능검사 결과는 $124^{\circ}C$에서 열처리 16mm의 것이 12mm의 그것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저장 40일까지 전 제품의 젤리강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70일 저장하였을 때는 직경이 12mm인 것만 증가하고 23mm 이상의 것들은 대체로 크게 감소하였다. 저장중 직경이 23mm 이상의 제품은 약간씩 그리고 직경이 16mm 이상인 것은 크게 그 경도가 증가하였다. 전 제품에서 16mm 이상인 것은 크게 그 경도가 증가하였다. 전 제품에서 보수력, 강성 그리고 색조는 전 저장기간을 통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레토르트파우치 튀김어묵을 제조할 때 직경이 16mm 혹은 그 이상의 것은 고온단시간열처리로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과메기 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I) - 조미과메기 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을 중심으로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nned Kwamaegi(I)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nned Seasoned Kwamaegi -)

  • 윤호동;심길보;노윤이;공청식;남동배;박태호;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662-672
    • /
    • 201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obtain basic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processing of canned seasoned kwamaegi. Commercial Kwamaegi was cut into $2{\times}3cm$ lengths, filled 90 g into can (301-3) and added with 60 g water before precooking for 10 min. at $100^{\circ}C$. The precooked Kwamaegi was packed into the can, and added with 60 g seasoning sauces, which was prepared by mixing soy sauce 23%, monosodium glutamate (MSG) 2%, sorbitol 2%, sesame oil 1%, vinegar 2%, starch syrup 17%, sake 5%, water 48%. The cans were sealed using a vacuum seamer and then sterilized for various Fo values (Fo 8~12 min.) in a steam system retort at $121^{\circ}C$. The factors such as pH, VBN, amino-N, total amino acid, free amino acid, color value (L, a, b), texture profile, TBA value, mineral, sensory evaluation and viable bacterial count of the canned seasoned Kwamaegi produced with various sterilization condition(Fo 8~12 min.) were measure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sterilization conditions and sensu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 sterilized at Fo 8 min. was the most desirable because this condition is most economical.

붕장어(Conger myriaster) 시즈닝을 활용한 조미김(Pyropia yezoensis)의 제조공정 최적화 (Processing Optimization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Using Seasoning Sauce with Conger Eel Conger myriaster)

  • 김도엽;강상인;이창영;김혜진;이정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68-38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ger eel Conger myriaster seasoning sauce (C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RSM program results for bonesoftness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1, lipid removal rate; Y2, texture; and Y3, sensory fish odor score) were 431.0% for X1 (water amount), 115.6℃ for X2 (retort-operated temperature), and 50.1 min for X3 (retort-operated time). The RSM program results for the CES blend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X1, amount of bone-softened conger eel by-products; X2, mixed sauce amount; and X3, starch amount)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1, amino-N; Y2, Hunter redness; and Y3, drying time) were 44.8% for A (pre-treated conger eel by-product), 36.0% for B (mixed sauce), and 19.2% for C (starch). The RSM program results for seasoned laver with CES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1, water activity; Y2, Hunter yellowness; and Y3, overall acceptance) were 5.0% for X1, (CES amount), 313.8℃ for X2 (roasting temperature), and 6.0 s for X3 (roasting time). The seasoned laver with CES prepared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was superior to commercial seasoned laver in terms of overall accep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