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irement satisfac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은퇴 남성의 은퇴스트레스, 성격 강점, 결혼불만족이 은퇴 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tirement Stress, Character Strengths, and Marital Dissatisfaction on Post-retirement Depression)

  • 김선영;윤혜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4호
    • /
    • pp.553-57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남성의 은퇴스트레스, 성격 강점, 결혼불만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성격 강점과 결혼불만족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은퇴스트레스가 우울감을 유발하는데 있어서 개인의 긍정적 성격특성과 결혼만족이라는 긍정적인 관계특성이 완충적 역할을 하는지 포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은퇴 남성 197명에게 은퇴스트레스 척도(RSS), 성격 강점 검사(CST),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MSI),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S-D)를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과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남성의 은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은퇴 남성의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 남성의 성격 강점 중 낙관성이 부족할수록 그리고 심미안이 높을수록 높은 우울 수준을 예견하였다. 또한 은퇴 남성의 결혼불만족이 높을수록 우울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은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결혼불만족의 직접경로와 간접경로 모두를 포함하는 연구모형은 대안모형보다 더욱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즉, 성격 강점과 원만한 부부관계가 은퇴 이후 경험하는 남성들의 우울에 완충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은퇴 남성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PDF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in the New Middle-Aged Rural Returnee Generation

  • Joong-Ho CHOI;Sun-Ju KIM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51-60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ousing satisfaction of the new middle-aged who returned to farming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real estate policies to resolve regional imbala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s a result,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housing survey data, and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basic analysi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mainly focused on aging, retirement, economic activity, and retirement preparation, but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predictive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persistence of living after returning to farming by analyzing housing satisfaction for the new middle-aged, and as a result, suggest implications for resolving regional imbalanc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housing structure status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three factors of housing-related predictors: housing structure status, facility accessibilit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suggesting that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housing structure itself should be prepared rather than facility accessibilit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hous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continuity of living for the new middle-aged after returning to farming, and presented follow-up research directions on the need for complementary research in addition to individu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limitations of secondary data, and the lighting of research on the new middle-aged and other generations who did not return to farming.

요양병원 간병인의 직업의식,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Sens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한현숙;유왕근;도은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32
    • /
    • 2023
  • Purposes: Caregivers are placed in a poor working environment because there is no special legal basis or definition in the current medical system, and they have difficulty in supplying manpower due to frequent job change and retir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n job consciousnes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in nursing hospitals for the elderly. Methodology: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nd to 16th, 2022, targeting caregivers with more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 working at 10 nursing hospital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in which subjec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20 copies were consider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non-response or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for data use. Data analysis us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nding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nd were also found to be major determinant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employment type, job motivation, service period, number of patients, injury experience, and license statu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in order to prevent job turnover and retirement by improving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engaged in nursing hospital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legalize caregivers, but also to secure an appropriate level of caregivers for nursing hospitals and improve specific treatment for caregivers. Ultimately,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provide quality nursing service is required.

  • PDF

은퇴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tire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윤현숙;이미진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393-408
    • /
    • 2007
  • 본 연구는 2003년도 「고령화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61세 이상 노인 1,625명을 대상으로 은퇴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노인의 심리적 안녕은 Lawton의 PGCMS(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의 17개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자는 비은퇴자에 비해 여성이 많고 연령이 높으며,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제상태, 건강상태, 가족 및 사회관계, 사회활동에서 보다 열악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상태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은퇴자가 비은퇴자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낮게 나타났으나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에는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은퇴여부는 심리적 안녕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은퇴자와 비은퇴자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나, 은퇴자의 경우 사회활동과 취미생활에 대한 욕구가 충족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난 반면 비은퇴자의 경우 학습욕구가 충족될수록 심리적으로 더 안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은퇴 여부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 집단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mportance of relationship quality and communication on foodservice for the elderly

  • Seo, Sun-Hee;Back, Ki-Joon;Carol, W. Shankl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1호
    • /
    • pp.73-79
    • /
    • 2011
  • In order to promote foodservice for the elderly, foodservice managers i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 must identify the main factor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with food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consisting of trust,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formation of elderly's behavioral intentions with food services at CCRC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residents in two CCRCs and a total of 327 residents participated. A tes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exhibited good model fit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y construct. 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d word-of-mouth and service quality has an influence on commitment. Commitment wa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behavioral intentions to eat more often in the dining room. Also, communication showed positive association with trust. The results provided strong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as a consequence of relationship marketing effor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the elderly' behavioral intention judgments were given.

배우자 사별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Widowhood among Older Women: A Comparison of Three Age Groups)

  • 장은하;홍석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2호
    • /
    • pp.89-10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widowhood among older females. Using the six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supplementary survey data, a total sample of 1,471 women aged 65 or older whose spouse had died were selected, divided into 508 young-old (65-74), 745 middle-old (75-84), and 218 oldest-old (85+). Then,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se three groups were analyzed, based on a combination of perceived health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evel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young-old group,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ndicated by monthly income and mater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inked to more frequent participation in community gathering combined for an overall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middle-old group,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provided by monthly income,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diseas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oldest-old group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referred to monthly income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experience in donation activiti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ir spouse's death.

농업종사가구와 비농업종사가구에 대한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 양주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56
    • /
    • 201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using 1~4th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to investigate whether to affec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industry of householder. and to examine various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economic value. Also it is examined that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ental health is larger than one of physical health f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investig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life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households is higher than non-agricultural on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industrial characteristic and mental health rather than another determinants.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ecasting Factors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Desire After Retirement)

  • 김종인;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55-6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별과 거주지에 따른 할당표본을 한 강현정(2012)의 데이터 111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첫째, 현재의 사회참여는 경제활동 77.7%,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활동 79.3%로 경제활동과 여가활동에 비해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가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노후 사회참여 의향은 경제활동 80.9%, 자원봉사활동 76.7%, 여가활동 82.2%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둘째, 현재 사회참여를 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에도 사회참여를 하려는 의향이 높았다. 그런데 현재는 사회참여를 하지 않으나 노후에는 사회참여를 하고자 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경제활동의 경우에는 55.8%, 자원봉사활동의 경우에는 70.6%, 여가활동의 경우에는 66.5%였다. 셋째, 현재 사회참여여부가 노후 사회참여 의향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지속성의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노후 삶의 만족도에 중요 변수로 알려진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부터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Young Old Men and the Perspective after Their Retirement)

  • 이가옥;이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93-120
    • /
    • 2005
  • 은퇴 후 연소노인들이 어떻게 노인이 되어 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노년기는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0명의 연소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은퇴 후에도 연소노인들은 계속적으로 일을 하기를 원하였지만, 사회적으로 이들의 일에 대한 지향은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글은 일을 중심으로 그들의 기대를 낮추는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앞으로의 노년기를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연소노인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야심 달성에 실패하면서, 그때마다 기대를 낮추도록 요구받고 있었다. 외면적으로 이들의 포부는 점점 사라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 배제의 과정은 단순히 이들에게 일에 대한 포부뿐만 아니라,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계획까지 빼앗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젊어지려는' 개인과 '조로(早老)시키려는' 사회 사이의 커다란 괴리는 연소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 PDF

Andersen모형을 적용한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ic Retirement Preparation for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 김진미;이윤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046-6055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Andersen의 행동모형을 적용하였다. 2012년 5월 21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5차년도 자료 중 30세 이상 60세 이하 2869명을 대상으로 SPSS 20 program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으로는 학력, 결혼상태이고, 기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비수급여부 및 자가주택 여부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노후준비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총수입이 증가할수록 노후준비 가능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욕구요인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노후준비가능성은 증가하였다. 이에 장애인의 경제적인 노후준비를 돕기 위해서는 그들의 다각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개별적인 요구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정책마련 및 프로그램이 운영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