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Widowhood among Older Women: A Comparison of Three Age Groups

배우자 사별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 Jang, Eunha (Dept. of Social Welfare, Cheongju University) ;
  • Hong, Seokho (Dept. of Social Welfare, Cheongju University)
  • 장은하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홍석호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0.03.06
  • Accepted : 2020.05.22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widowhood among older females. Using the six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supplementary survey data, a total sample of 1,471 women aged 65 or older whose spouse had died were selected, divided into 508 young-old (65-74), 745 middle-old (75-84), and 218 oldest-old (85+). Then,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se three groups were analyzed, based on a combination of perceived health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evel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young-old group,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ndicated by monthly income and mater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inked to more frequent participation in community gathering combined for an overall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middle-old group,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provided by monthly income,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diseas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oldest-old group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referred to monthly income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experience in donation activiti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ir spouse's death.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우(2014). 자원봉사와 기부활동이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제주지역 중년기 남녀를 대상으로.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봉목.김연주.이정랑(2018). 배우자 사별을 한 여성 독거노인의 삶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9(4), 41-51.
  3. 권중돈(2004). 노인복지론(4판). 서울: 학지사.
  4.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5. 길태영(2017). 도농복합지역 독거노인을 위한 통합적 노인놀이치료의 효과성 검증: 우울 및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2(4), 115-140.
  6. 김경호(2018).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3(2), 49-77.
  7. 김경호(2019).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 간의 양방향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의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0, 111-138.
  8. 김기태.박봉길(2000).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 지역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0(1), 153-168.
  9. 김승연.고선규.권정혜(2007).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26(3), 573-596.
  10. 김신열.김순규.서효정(2011). 배우자 사별노인의 우울과 적응유연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1(3), 165-196.
  11. 김원배(2009).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재중(2014). 노인의 배우자 사별 여부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9, 137-159.
  13. 김정현.전미애(2018). 노년기 연령집단에 따라 사회활동 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8(2), 329-349.
  14. 김혜경.성준모(2014).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요인: 전기.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6, 427-229.
  15. 김희경(2007). 노인의 연령집단별 자아통합감에 대한 관련 요인 비교. 성인간호학회지, 19(5), 12-26.
  16. 김희경.이현주.박순미(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0(2), 279-292.
  17. 김희정.김보은.김은선.신다은.이소영.정혜림(2016). 노인의 활동수준과 대인관계의 상관성.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6(1), 25-32. https://doi.org/10.18598/kcbot.2016.06.01.03
  18. 나혜숙(2006). Gestalt 예술치료가 우울장애 환자의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3(2), 361-385.
  19. 노범래(2017).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궤적 유형화와 성향 점수 가중 교차지연 패널 모형을 활용한 기부가 주관적 삶의 만족 그리고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0권, 43-59.
  20. 류기형(2013). 노인의 자원봉사참여 동기충족이 생활만족 및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2), 145-172. https://doi.org/10.22944/KSWA.2013.15.2.006
  21. 문진영.최연주.서남규(2014). 만성질환 노인의 가구유형별 의료비 부담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5(6), 285-307.
  22. 박순미.손지아(2016). 노인의 소득수준별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 36(4), 97-124.
  23. 보건복지부(2016). 국민연금법. http://www.ohw.go.kr.
  24. 서희숙.한영현(2006). 재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수면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연구, 15, 159-170.
  25. 석재은.구본미.권종희.장은진(2010). 성공적 노화를 위한 선택, 적정화, 보완(SOC) 모델의 이론적 고찰과 실천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8(1), 251-277.
  26. 손의성.홍세희(2007). 배우자 사별 노인의 대처자원, 배우자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선택, 최적화, 보상(SOC)의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4(3), 65-86.
  27. 송시영.전혜정.최봄이(2019). 노인 의료비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 예측요인과 주관적 건강에 대한 영향. 한국노년학, 39(3), 467-484.
  28. 신세라(2019). 여성독거노인가구의 과부담 의료비 지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1), 17-34.
  29. 신혜리.남승희.이다미(2014).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40(1), 117-138.
  30. 심우영.조미숙(2006). 사별여성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3(3), 109-127.
  31. 양지훈.황성동(2018).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38(3), 435-452. https://doi.org/10.31888/JKGS.2018.38.3.435
  32. 윤대호(2017). 독거여성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생활 만족에 미치는 융복합 영향: 사회참여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5(9), 345-354. https://doi.org/10.14400/JDC.2017.15.9.345
  33. 이나윤.양영애(2014). 경남지역 정상 노인의 대인관계 능력과 생활만족도 상관관계 조사.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6(1), 43-50.
  34. 이미영(2019). 농촌 노인의 역할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1), 99-113.
  35. 이인정.최해경(200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나남
  36. 이혜경(2016).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독거노인의 애도수준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4(1), 24-47.
  37. 이호성(2005).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 25(3), 123-138.
  38. 임정연.김호영.염유식(2016). 관계유형별 사회적 지지와 갈등이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5(3), 645-657.
  39. 임창희.한수진(2008). 배우자 유무에 따른 노인의 여가활동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23-43.
  40. 장수지(2019). 노년기 배우자 사별스트레스와 다차원적 적응: 이중과정 대처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0, 165-191.
  41. 장인협.최성재(2006). 노인복지학(제2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2. 전명수(2014).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298-31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98
  43. 전현지.정현애.오명화(2019). 인지수준에 따른 노인의 여가참여와 대인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23(1), 141-161.
  44. 정경자(2020). 노인 일자리사업을 통한 노인경 제활동 참여의 구축 방안 연구. 산업진흥연구, 5(1), 89-98. https://doi.org/10.21186/IPR.2020.5.1.089
  45. 정경희.오영희.강은나.김경래.이윤경.오미애.황남희.김세진.이선희.이석구.홍송이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mohw.go.kr.
  46. 정민숙.이유리(2012). 정보화교육 참여 노인의 인터넷 활용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교육학회, 15(1), 63-85.
  47. 정성배.배지연(2017). 농촌지역 1인 가구 노인의 성별.연령 집단별 우울 영향요인. 지역사회연구, 25(3), 153-174. https://doi.org/10.22921/JRS.2017.25.3.008
  48. 정순둘.정세미.이미우(2017).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환경과 연령다양성의 관계: 연량집단별 분석. 보건사회연구, 37(3), 5-35. https://doi.org/10.15709/HSWR.2017.37.3.5
  49. 정태연(2008). 한국노년학에서 다룬 노인의 심리적 특성: 역사적 고찰과 미래의 과제. 한국노년학, 28(4), 815-829.
  50. 조계화.이현지(2009). 한국 여성노인의 연령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9(1), 21-32. https://doi.org/10.4040/jkan.2009.39.1.21
  51. 조희금(2019). 농촌노인의 생활시간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41-59.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2.003
  52. 최경원.임연옥.윤현숙(2012). 사별 여성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의 차이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5, 85-104.
  53. 최기홍.전태숙(2018).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15(1), 1-26.
  54. 최성재.장인협(2010).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55. 통계청(2019). 2019년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https://www.kostat.go.kr.
  56. 하경분.주민경.송선희(2014).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160-170.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60
  57. Atchley, R. C.(2000).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9th ed.). Belmont, CA: Wordsworth.
  58. Cattle, H.(2000). Suicide in the elderly.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6, 102-108. https://doi.org/10.1192/apt.6.2.102
  59. Carstensen, L. L.(1987). Age-related changes in social activity. In L. L. Carstensen & B. A. Edelstein(Eds.), Pergamon general psychology series, 146. Handbook of Clinical Gerontology (pp-222-237). Elmsford, NY: Pergamon Press.
  60. Cohen, S., & Syme, S. L.(1985).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ln S. Cohen and S. L. Syme(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San Francisco: Academic Press.
  61. Diener, E.(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62. Gilbert, D.(2006). Stumbling on Happiness. New York: Vintage.
  63. Harrigan, M. P., & Farmer, R. L.(2000). The Myths and Facts of Aging. In R. L. Schneider et al. (Eds.), Gerontological Social Work, California: Brooks/Cole.
  64. Havighurst, R. J., Neugarten, B. L. & Tobin, S. S.(1968). Disengagement Pattern of Aging. In B. L. Neugarten(Ed.), Middle Age &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Kalish, R. A.(1975).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Berkeley: Cole Publishing Co.
  66.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67. Neugarten, B.(1974). Age groups in American society and the rise of young-old.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415, 187-197. https://doi.org/10.1177/000271627441500114
  68.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69. Steven, M. J., & Campion, M. A.(1994). The knowledge, skill and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20(2), 503-530. https://doi.org/10.1016/0149-2063(94)90025-6
  70. Suzman, R. M.(2001). Oldest Old. In G. L. Maddox et al(Eds.), The Encyclopedia of Aging, Beverly Hills, CA: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