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irement satisfac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2초

Probability of Early Retirement Among Emergency Physicians

  • Shin, Jaemyeong;Kim, Yun Jeong;Kim, Jong Kun;Lee, Dong Eun;Moon, Sungbae;Choe, Jae Young;Lee, Won Kee;Lee, Hyung Min;Cho, Kwang Hyu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1권3호
    • /
    • pp.154-162
    • /
    • 2018
  • Objectives: Early retirement occurs when one's job satisfaction suffers due to employment mismatch resulting from factors such as inadequate compensation. Medical doctors report high levels of job stress and burnout relative to other professionals. These levels are highest among emergency physicians (EPs), and despite general improvements in their working conditions, early retirement continues to become more common in this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Ps intention to retire early and to develop a probability equation for its prediction.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2015 Korean Society of Emergency Physicians Survey was performed. The variables potentially influencing early retirement were organiz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extrinsic factors, and intrinsic facto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and to develop a probability equation; these findings were then arranged in a nomogram. Results: Of the 377 survey respondents included in the analysis, 48.0% intended to retire early. Risk factors for early retirement included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ty and its outlook, slanderous reviews, emergency room safety, health status, workload intensity, age, and hospital type. Intrinsic factors (i.e., slanderous reviews and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ty and its outlook) had a stronger influence on early retirement than did extrinsic factors. Conclusions: To promote career longevity among EPs, it is vital to improve emergency room safety and workload intensity, to enhance medical professionalism through a stronger vision of emergency medicine, and to strengthen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중고령자의 은퇴 만족 유형과 삶의 만족도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ypes of Retirement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조규영;전혜정;이은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71-381
    • /
    • 2019
  • 본 연구는 은퇴를 주로 부정적인 생애사건으로 분류하였던 기존 인식에서 벗어나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취업자를 참조집단으로 하여, 은퇴자의 은퇴 만족 여부(만족 은퇴, 불만족 은퇴)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1~2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참여자 중 45세 이상의 취업자 1,886명, 은퇴자 723명으로 총 2,609명이며, 은퇴자는 1~2차년도 지속적 불만족 은퇴자와 만족 은퇴자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집단 간 차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위해 성별에 따른 회귀계수의 차이를 Mplus 7.3을 사용하여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해 검증한 뒤, Wald-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불만족 은퇴자와 만족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은퇴에 불만족할 경우 취업자보다 삶의 만족도는 낮은 반면, 은퇴에 만족할 경우 오히려 취업자보다도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남녀 모두 불만족 은퇴자는 취업자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이 효과는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만족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취업자보다 높은 반면, 남성의 경우 이러한 영향력이 유의미하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은퇴자 집단의 이질성 및 생애과정에서의 성차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중년재직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퇴직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Resilience of Middle-aged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Meditating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 정경화;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52-462
    • /
    • 2020
  • 이 연구는 현재 직장에 재직 중인 중년재직자들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퇴직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40세 이상의 상용직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530부를 배포하여 490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응답, 이상치 등 연구에 부적합한 설문지 22부를 제외 한 468부를 연구표본으로 사용하였다.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상관관계와 집단 간의 차이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한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성은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직무만족도가 여성보다 높았고, 여성은 퇴직태도의 노년휴식이 남성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식하였고, 근무기간이 길수록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의 긍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퇴직태도의 강요된 좌절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새로운 출발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식하는 반면 강요된 좌절로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퇴직태도의 강요된 좌절과 새로운 출발은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고, 퇴직에 대한 불안을 낮추고 직무만족도는 높여줄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중년층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Workers on Retirement Preparation)

  • 홍융기;임왕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33-48
    • /
    • 2014
  • 본 연구는 중년층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중년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83부의 자료를 모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설계는 삶의 질이 높은 사람일수록 더욱 신경을 쓰는 노후준비지표로 파악되었다. 둘째, 재무설계는 삶의 질과 크게 관계가 없는 은퇴준비의 지표로 파악되었으며, 그 외 모든 지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은퇴준비에는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남성 봉급생활자의 은퇴 전 생활설계프로그램 - 생활문제 인식 및 대처방안을 중심으로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for Male Salary Workers - Focus on Perception and Solving of Life Problems)

  • 홍성희;김순미;김혜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3호
    • /
    • pp.95-11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on male salary workers' pre-retirement plans and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The focus was on male workers' pre-retirement plans and programs for economy, housing, family relationship, leisure and health care in their elderly lif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alary workers estimated their level of economic and health problems among their elderly life as relatively high. Second,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lanning for post-retirement were salary workers' age, job satisfaction, and reserved savings for their elderly life. Third, the major affecting factors on participation in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were age, educational attainment, and spouse's job status.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salary workers' level of pre-retirement planning and the needs of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differed from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lso, salary workers'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and retirement had more important effects on their pre-retirement planning than economic status.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Having Effect on the Turnover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Financial Institution Workers)

  • 이재명;강신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51-1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의 영향 요인을 밝히는데 있으며,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정, 은퇴기대 및 은퇴준비활동이 이직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금융기관 종사자이며, 총 508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직무만족, 직무불안정, 은퇴기대, 은퇴준비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이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보상만족과 대인관계만족이 창업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직무불안정은 이직의도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직무가 불안정할수록 이직 및 창업의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셋째, 은퇴기대의 강요된 좌절과 계속이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강요된 좌절과 새로운 출발, 계속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은퇴준비활동의 창업준비와 사회적 준비, 신체적 준비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경제적 준비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창업준비는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은퇴를 대비하여 창업준비를 많이 할수록 이직 및 창업의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금융기관 종사자 특성상 타 업종 대비 높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이직의도와 창업의도에 대해 나타난 유의미한 결과는 직무만족과 직무불안정, 은퇴에 대한 기대와 준비활동이 이직 및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실제 창업을 했을 때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에 대한 이해를 증가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이직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 수급 대상자들의 은퇴 후 생활만족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A Comparison of Public Pension versus Specific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9-211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between public pension and specific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fifth year data of 2013 from the raw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collect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done with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ver. 22.0 to verify the releva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nsion recipients. Results :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enditures and health care costs between public pension and special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The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for public pension recipients were the level of spending, whether there were limitations in daily life and social activity, whether recipients had financial assets and health care costs while for specific corporate pension recipients, they were education level, level of spending and chronic diseases. Conclusions : A health policy that maximizes life satisfaction and takes into account the type of pencion needs to be considered and implemented.

공적연금소득을 통한 가구형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usehold Type by Public Pension Income Level on Life Satisfaction)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3-13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n=1,919)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the 2015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collected by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Methods: Frequency analysis and χ2-test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betwee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 retirees.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Results: Public pension incom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life satisfaction, economic, health, and life in multi-person households. Conclusion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selective insurance benefit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type of household. Moreover a policy for expanding labor market participation is needed.

가계의 재무건전성과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Financial Soundness and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Households)

  • 김순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4호
    • /
    • pp.27-52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inancial soundness of Korean households and its effects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se households. The sample consisted of 1,031 households selected from the 4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2.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households are gender, occupation type, residence, satisfaction with economic condition, and type of financial soundness-sound households or insolvency-risky households. In other words, more female-headed households and households with higher levels of occupation are less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The households that a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are those that are lived in metropolitan areas as opposed to the countryside; further, households that are more economically sound are also more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In particular, sound households and insolvency-risky households are less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compared to liquidity-risky households.

노인단독가구의 가계재정관리와 경제생활만족도 (Financial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useholds)

  • 이선형;이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권2호
    • /
    • pp.31-4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inancial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useholds using System’s Approach. 1)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was influenced by age, present job, husband’s job before retirement, assets, family income, living expenses, experiences of financial management. 2) Financi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age, present job, husband’s job before retirement, assets, family income, living expenses, experiences of financial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family financial conditions. 3)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input variables on the throughput variable showed that age of respondent and the middle age experiences of financial management emerged as predictors of financial management. There variables accounted for 48% of variance in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4) When financial satisfaction was regressed against input and throughput variables, 55%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financial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financial goal and assessment of family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