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pesticide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4초

Biological Evaluation of Residual Malathion in the Meat of Dipped Hens: Influence on Lipid Profile of Erythrocytes and Brain and Pancreatic Lipase and Amylase Activity

  • PaI, A.K.;Kushwah, H.S.;Jadhao, S.B.;Srivastava, A.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8호
    • /
    • pp.1050-1053
    • /
    • 2000
  • Biological evaluation of residual malathion after 168 hrs of single dipping exposure of White Leghorn hens to different concentrations (0, 0.5, 1.0 and 1.5%) of pesticides was investigated. Thirty-two male albino rats divided into four groups of eight each were kept on 20% isoproteinous diet prepared from the meat of these malathion dipped hens. After 30 days feeding trial, the rats were killed by decapitation.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erythrocytes. However,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brain tiss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hen dose level of pesticide was 1% in dipping solution. Similarly, malathion exposed poultry meat failed in altering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pancreatic amylase and lipase activities of rats. This study concludes the virtual absence of toxic accumulation of pesticide in the meat of birds after 168 hrs of exposure in usual concentration range upto 1.5%.

각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바나나 중 농약 잔류 실태 조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in banana from international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data)

  • 김서홍;김정아;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9-22
    • /
    • 2020
  • 이 연구는 농산물의 원산지에 따른 검출 농약을 조사하여 대한민국의 수입 바나나 중 잔류농약 안전 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국, 일본, EU, 영국 및 대한민국의 2007에서 2018년까지 바나나 중 잔류농약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검출 농약, 검사 건수, 농약 검출 건수 및 검출량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바나나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검출된 농약은 총 109종이었으며, 전체 검사 건수는 206,894건이었다. 이 중 9,483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농약 검출률은 4.58%였다. 검출된 농약은 chlorpyrifos, imazalil, methyl-bromide, azoxystrobin, carbendazim, pretilachlor 및 thiabendazole 등 이었으며, 이 농약들의 검출률은 10.62-24.62% 범위였다. Chlorpyrifos가 검출 건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다음으로 imazalil, azoxystrobin, thiabendazole, bifenthrin 및 carbendazim 순이었다. EU, 일본, 미국, 영국 및 대한민국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각각 85, 57, 23, 18 및 8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bifenthrin 및 chlorpyrifos는 모든 국가의 모니터링에서 검출되었다. 코스타리카 및 에콰도르산 바나나에서 각각 14 및 12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Imazalil 및 thiabendazole은 각각 16 및 11개 원산지에서 검출되었다. Myclobutanil 및 iprodione은 각각 4 및 2개국산에서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및 bifenthrin은 코스타리카산 바나나에서 각각 11.8 및 9.8% 검출 건수를 보였고, azoxystrobin의 검출률은 콜롬비아산에서 19%였다. 벨리즈산,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chlorpyrifos는 각각 22.7, 13.3 및 10.8%의 검출률을 보였고,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myclobutanil의 검출률은 각각 17.9 및 10.4%였다.

유통 한약재의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함량 분석 (The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in Commercial Medicinal Plants)

  • 김태희;장설;이아름;이아영;최고야;김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3-48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in Korea. Methods : Chromatographic test was performed on 100 samples consisted with 10 kind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improted and domestic products. To establish 19 pesticide residues (DDE, DDD, DDT, Dieldrin, Methoxychlor, BHC isomers, Aldrin, Endosulfan isomers, Endrin, Captan,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Imidacloprid)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chromatographic equipments were used with the gas chromatography-mass detector and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imidacloprid analysis was perform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gy-ultraviolet detector at 270 nm UV wavelength. The contents of sulfur dioxides were analyzed by modified Monnier-Williams method. All methods were based on notification procedure of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Results : The residual pesticides were not founded in improted and domestic samples. Among 100 samples, the residues of sulfur dioxide in 73 samples were not detected and 25 samples showed contents in the range of 0~21.90 mg/kg. The excess samples of MRLs were 2 samples (30 mg/kg to medicinal herbs), Asiasari Radix et Rhizoma (Imported product) and the average amount of sulfur dioxide in 2 unsuitable samples were 14.83 mg/kg. These samples were found to transgress KFDA regulatory guidance of residual sulfur dioxide. Conclusion : These results are able to use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ue of commercial medicinal herbs.

Comparative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russels sprouts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and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 Kwan Woo Jeon;Min Gun Kim;Su Hyeong Heo;Kyung Hwan Boo;Jae-Hoon Kim;Chang Sook Ki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413-419
    • /
    • 2022
  • The applicability of Brussels sprouts, which are widely cultivated in Jeju, as a functional biomaterial in the cosmetics and food industries is investigated. The active ingredients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β-carotene, vitamin C, free sugar, minerals, glucosinolates, and isothiocyanat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f Brussels sprouts and cabbage were analyzed. The total phenol, flavonoid, vitamin C, and β-carotene contents of Brussels sprouts were approximately 36%, 2.5 times, 2.3 times, and 65% higher than those of cabbage, respectively.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of Brussels sprouts was 58%-72% lower than that of cabbage. The K content wa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minerals,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The Na content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in cabbage than in Brussels sprouts. The total glucosinolate content of Brussels sprouts was 34.5 mol SE/g DW, twice that of cabbage. The sinigrin content of Brussels sprouts was thrice (10.06 μmol/g DW) that of cabbage. The isothiocyanate (sulforaphane, I3C) content in Brussels sprouts was double that of cabbag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russels sprout extract was 2.5 to 2.8 times higher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3.3 to 3.6 times higher in 2,2'-Azino-bis(3-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capacity than those of cabbage extract. These ar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study of glucosinolates and isothiocyanates, which have anticancer activity, as well as antioxidant-related substances of Brussels sprout, which has high potential for use as a biomaterial in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감광제에 의한 원예작물중 잔류농약의 인위적 경감 (Artificial diminution of the residual pesticides on horticultural crops using photosensitizers)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박주형;이준수;박정옥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7-53
    • /
    • 1999
  • 원예작물중 농약잔류물을 인위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하여 몇몇 감광제 (photosensitizer, P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살균제 iprodione, bitertanol, chlorothalonil, myclobutanil, 및 dichlofluanid를 사과와 오이에 살포한 후 선발된 감광제를 살포하고, 살포 후 0, 1, 3, 7, 15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감광제로는 PS-1 (방향족 ketone), PS-2 (방향족 amine), PS-3 (quinone), PS-4 (무기화합물), PS-5 (유기산염) 및 PS-6(반도체 광촉매)이 선발되었다. 사과에 살포된 iprodione의 경우 감광제 PS-1을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4%로 감소하였고, bitertanol은 감광제 PS-1를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8%로 감소하였으며, chlorothalonil의 경우 감광제 PS-1과 PS-2를 처리한 후 1일에 그 잔류량은 각각 대조구의 56과 54%로 감소하였다. 한편 오이에 살포된 iprodione의 경우 감광제 PS-1과 PS-2를 처리한 후 3일에 그 잔류량은 각각 대조구의 44와 67%로 감소하였고, myclobutanil의 경우 감광제 PS-6을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45%로 감소하였으며, dichlofluan김의 경우 감광제 PS-1를 처리한 후 3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44%로 감소하였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방향성 ketone인 감광제 PS-1은 사과와 오이에 잔류하는 농약잔류물의 광분해에 그 효과가 탁월하였다.

  • PDF

Positive List System 도입에 따른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Tropical Fruits Depending on Implementation of Positive List System)

  • 강향리;박용배;도영숙;정진아;이성봉;조상훈;이효경;손지희;이미경;이병훈;박진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0-315
    • /
    • 2018
  •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는 당해 농산물에 등록된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없으면 일률기준 0.01 mg/kg을 적용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에서 유통되는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PLS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국내 재배 열대과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내 유통되는 열대과일류 120건에 대해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에 따라 잔류농약 220종을 검사한 결과 바나나, 망고, 키위 3품목 7건에서 6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바나나에서 azoxystrobin와 chlorpyrifos, 망고에서 chlorfenapyr, 키위에서 chlorothalonil, iprodione, procymidone이 검출되었다. 그 중 국내산 망고에서 chlorfenapyr, 국내산 키위에서 chlorothalonil이 각각 1건씩 검출되었고 PLS 적용 결과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 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재배되는 열대과일류를 대상으로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식품정보의 이해도 향상을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motion for Improved Understanding Degree of Food Information)

  • 박소라;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49-259
    • /
    • 2014
  •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recently, consumers are feeling the anxiety to food,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t to which feels uneasy about pesticide residues among them in particular is high. Food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is set (pesticide residue standards, acceptable daily intake daily (ADI), non-toxic amount) residual acceptable standards of pesticides so as not to give the damage to human health. However, in the case of consumers of general knowledge on Standards for pesticide residues is not sufficient, anxiety over food safety still exists. Therefore, in this study, as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accurate information to consumers a general basic knowledge on the safety of food is insufficient is related to food safety, was utilizing the graphic display of a one-dimensional you are trying to prov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s a result, in the display method is utiliz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food existing for, from the form of the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graphs and characters, using a graphical display showing the criteria for pesticide residues in one dimension it was found that the display shows how to readily appreciate the most accurate and safety standards regarding pesticide residues.

상추 잎의 부위별 잔류농약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Portions of Lettuce Leaves)

  • 권순목;최옥경;김기철;김중범;강흥규;조윤식;하진옥;장진호;이병훈;이성남;이선영;강석호;이정복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3-60
    • /
    • 2014
  • 본 연구는 상추의 재배기간 중 살포한 농약이 상추 잎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잔류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살균제 boscalid와 살충제 lufenuron을 살포 후 14일까지 12회(0, 1, 2, 3, 4, 5, 7, 8, 10, 12, 13, 14일)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Boscalid는 살포 후 0일(3시간)은 상추 잎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잔류량은 각각 18.26 mg/kg, 84.97 mg/kg이었고, 14일 후에는 0.31 mg/kg, 0.37 mg/kg으로 나타났다. Lufenuron은 살포 후 0일(3시간)은 상추 잎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잔류량은 각각 0.91 mg/kg, 5.21 mg/kg이었고, 13일 후에는 0.06 mg/kg, 0.09 mg/kg으로 나타났다. 두 약제 살포 후 12회 조사한 잔류량은 모두 상추 잎 아랫부분이 윗부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잔류분포 양상은 2013년 잔류농약이 검출된 유통 상추 잎 16건에서도 boscalid 등 9종의 잔류량 분포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국내 유통 다소비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 (Monitoring and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 강남숙;김성철;강윤정;김도형;장진욱;원세라;현재희;김동언;정일용;이규식;신영민;정동윤;김상엽;박주영;권기성;지영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2-40
    • /
    • 2015
  • 본 연구는 유통 농산물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여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9개 지역에서 수거된 농산물 15개 품목 232건을 식품공전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GC/MSMS로 분석 가능한 농약 196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53건의 시료에서 64종의 농약이 검출되었고 이 중 chlorpyrifos와 procymidone이 가장 빈번히 검출되었다. 검출된 64종 중 깻잎에서 검출된 chlorpyrifos와 복숭아에서 검출된 picoxystrobin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각각의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chlorpyrifos와 picoxystrobin을 포함한 검출 농약에 대해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1일 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대비 1일 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이 0.001~0.902%로 조사되어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 유통 농산물에서 잔류농약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향후 식품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을 생각된다.

경기도내 유통 건조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 (Residual Pesticides in Dried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Gyeonggi Province)

  • 이명진;김명길;정홍래;윤희정;김난영;김한택;김철영;이운형;윤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8-245
    • /
    • 2011
  • 2010년도 경기도에 유통되는 건조농산물에 대하여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2건을 대상으로 206항목에 대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을 GC-${\mu}ECD$, GC-NPD, GC/TOF/MSD, HPLC-UV, HPLC-FLD 및 HPLC/MS/MS로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102건 중 24건의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검출률은 23.5%로 나타났고 건고춧잎 1건이 기준초과로 검출되었다. 가장 많은 빈도로 검출된 농약은 chlorothalonil, fenvalerate, chlorpyrifos, endosulfan, bifenthrin, cypermethrin, hexaconazole, iprodione의 검출 순을 보였다. 이들의 계열별 분포를 보면 유기인계 22%, 피레스로이드계 22%, 유기염소계 17%, 디카르복시미드계 11%, 카르복시미드계 6%, 카바메이트계 6%, 트리아졸계 5%, 기타계열 1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