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rvation wag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5초

주부의 요구賃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rvation Wage of Housewife)

  • 소연경;문숙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7권1호
    • /
    • pp.119-138
    • /
    • 1989
  •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its result to decision whether housewives are in the labor market or not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reservation wage of them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by identifying , on the basis of theoretical models,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servation wage, and to predict future state of female employment. 1) The level of reservation wage of housew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husband's income, household asset, housewife's education level, housewife's age, number of children division of husband in household labor, and by three marketization of housework. 2)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reservation wage of housewife independently had influence on it in the following order: Husband's income, education level, age affect positively reservation wage of housewife, and a negative relation has been found between division of husband, level of commodity substitution and reservation wage of housewife. 3) Husband's income, housewife's education level, housewife's age, division of husband in household labor, level of commodity substitution give direct effects on reservation wage of housewife. Education level, age, number of children and family type influenced reservation wage of housewife through level of commodity substitution indirectly.

  • PDF

실업근로자의 성별 의중임금함수 추정 (Estimation of Reservation Wage Functions by Sex)

  • 류재술;류기철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2호
    • /
    • pp.109-128
    • /
    • 2002
  • 실업근로자의 노동시장으로의 재진입 또는 재취업과 관련한 실업근로자의 의중임금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한 가계 내 핵심 노동력인 남자의 의중임금 결정메커니즘과 가계보조적 성향이 강한 여자의 의중임금 결정메터니즘 간에눈 차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약 1,200명의 실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미시적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 의중임금함수(reservation wage function)를 추정함으로써 성별 의중임금함수의 상이성에 따라 남녀간 의중임금 결정메커니즘이 서로 다름을 밝히고자 한다. 그 결과 성별 의중임금 결정요인의 중요 설명변수들을 살펴보면 남자의 경우에는 전 직장의 임금소득, 연령, 학력, 실업기간 등이 중요 설명변수였으나 여자의 경우에는 전 직장의 임금소득, 학력, 연령, 자격증 유무 등이 중요 설명변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보다 남자의 경우 저학력에 비하여 고학력일수록 의중임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자보다 남자의 경우 실업기간이 길어질수록 의중임금이 더 큰 폭으로 하락하고 타가구원의 소득이 있는 경우에 의중임금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사 지역의 범위와 관련한 자료의 한계를 인정한다 하더라도 우리나라 의중임금과 관련한 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패널 분석 (The Panel Analysis of Youth Employment Expectation)

  • 김혜진;오호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9권3호
    • /
    • pp.1-3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작성한 "한국교육고용패널" 7~11차년도 원자료를 개인별 패널 자료로 재구축하여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를 노동경제학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왔던 유보임금(reservation wage)과 취업 눈높이에 관한 15개 주관적 평가 문항에 요인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추출된 근무편의성 요인, 선망직장 요인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유보임금은 남성의 경우가 여성의 경우보다 높았지만 취업 눈높이 15개 항목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의 경우보다 눈높이가 높았으며, 특히 여성은 근무편의성 요인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상태별로 취업 눈높이를 비교했을 때 동년배(cohort) 자료를 이용한 분석임에도 취업 중이거나 미취업 중일 때보다 재학 중인 경우에 유보임금이 높고 선망직장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년 고용 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High and Downwardly Rigid Reservation Wages are Responsible for the Youth Joblessness?)

  • 이병희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71-94
    • /
    • 2011
  • 본 연구는 청년층의 고용문제가 눈높이 조절의 실패에 기인한다는 주장을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한 실증 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의중임금의 동태적인 변화를 통한 분석을 통해, 눈높이 격차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간의 경과에 따라 시장임금을 고려하여 의중임금이 조정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노동시장 이행경험을 노동시장 진입과정을 넘어서 노동시장 정착과정으로 확장하여, 직업경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첫 일자리를 획득하기까지의 소요기간이 아니라 첫 일자리의 질과 불안정한 취업경험임을 밝혔다. 이는 청년층의 비취업 문제가 좋은 일자리만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괜찮은 일자리의 감소와 노동시장의 이중화라는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취업상태에서의 직장탐색이 보다 효과적이었을까? (Is Job Search for the Employed More Effective than That for the Unemployed?)

  • 남기곤
    • 노동경제논집
    • /
    • 제39권2호
    • /
    • pp.53-8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취업 탐색자와 미취업 탐색자 간의 탐색 노력 정도 및 노동시장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 탐색자에 비해 미취업 탐색자가 탐색 활동에 보다 집중하고, 유보임금을 더 낮춤으로써 취업을 위한 노력을 보다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취업 탐색자가 미취업 탐색자에 비해 새로운 직장에 취업할 확률은 더 낮았으며, 반면 새로운 직장에서의 임금수준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시점에서 전체 직장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에서는, 취업 탐색자가 미취업 탐색자에 비해 취업 확률도 높고 임금수준도 높았다. 적어도 단기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취업 탐색이 미취업 탐색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Estimates of the Economic Value of Houshold Work by Fulltime Home Makers)

  • 김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3-89
    • /
    • 1990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s the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done by fulltime home makers, using alternative methods of valuation household work in Pusan Korea. Eight findings, five different methods -Self Estimation by Home Makers, Reservation Wage, Opportunity Cost, Individual function Cost, Replacement Cost(Visiting Housekeeper, Housekeeper, General Managemet, Housekeeper & General Management)- are tried for the estimation of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 1) The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varies substantially by the methods of estimating. The averages are : 2) The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varies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ges, the number of children, the stage of FLC in all method of estimation, and the level of income in self estimation by home makers, Reservation wage. Specially, FLC revealed good explanation variable in method of estimation as input household work time. 3) The gap between two-day survey and three-day survey in household work time questionaire didn't so much.

  • PDF

미취업 여성의 미취업 원인에 관한 연구: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의 비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Unemployed Women Labor Force-based on the Estimations of the Reservation and Market Wages)

  • 이성림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1호
    • /
    • pp.135-164
    • /
    • 2004
  • 본 연구는 미취업자를 취업의사와 더불어 미취업자의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을 비교하여 의중임금이 시장임금보다 큰 경우를 본래적 미취업, 그 반대의 경우를 파생적 미취업으로 미취업 유형을 세분화하여 미취업 원인을 고찰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미취업자의 의중 임금과 시장임금을 Heckman sample selection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하였고, 미취업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범주 로짓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미취업자 중 미취업 상태가 안정적인 취업의사 없는 본래적 미취업자는 약 50%, 미취업 상태가 불아정한 파생적 미취업자이거나 취업 의사 있는 미취업자는 약 50%로 나타났고 여성의 인적자본 수준, 자녀양육 및 가사 부담, 가계경제 상태, 이전직장 경험이 미취업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고령자 임금노동시장의 구조와 정책적 시사 (Old Age Workers' Labor Market: A Model for Understanding Its Structure and Policy Implication)

  • 허재준
    • 한국인구학
    • /
    • 제21권2호
    • /
    • pp.58-82
    • /
    • 1998
  • 본고는 노동시장 현황에 기초하여 고령자 임금노동시장 분석틀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것이 정책차원에서 시사하는 바를 고령자 노동수요를 진작하는 정책, 노동공급자인 고령자의 의중임금을 낮출 수 있는 기반환경 조성, 그리고 임금노동 시장에서 노동공급을 줄일 수 있는 정책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제반 조세, 사회보험, 퇴직금 등에 적용되는 임금기준을 단순화하기 위한 관련 법령 정비, 제조업 위주로 되어 있는 유인제도들의 서비스업 고령자 고용으로의 확대, 퇴직 고령자를 옛 직장에서 계약직으로 재고용할 때 채용장려금이나 세제상의 유인 부여, 생애숙련형성 과정에서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직업능력인증제도 확립 등은 고령자 노동수요를 진작하는 정부차원의 정책 이니셔티브가 될 것이다. 고령자의 의중임금을 낮추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회보장제도의 확충과 함께 주택가격의 안정화와 장기안정형 주택상품의 보급, 학자금 장기저리 융자제도, 혼수문화의 정비, 지역탁아시설의 확충 등이 요구된다. 창업지원, 자원봉사, 노후생활설계 원조, 시민운동 및 봉사활동 참여시의 명예심 고양 등으로 비임금노동자 시장이나 비경제활동에서 고령기의 활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정책 사고도 필요하다.

  • PDF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 취업중단의사 관련 변수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gree of the Role Conflict and the Likelihood of Exits of the Labor Force of Working Wives)

  • 정순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5-45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role conflict and the likelihood of exits of the labor force of working wiv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conflict and job quitting behavior of working wiv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reservation wage relative to wife's earnings, wife's earnings, husband's behavioral support, the presence of child under age of 6, the type of occupa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associated with the role conflict of working wive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quitting behavior of working wiv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le conflict of working wives. Third, the level of role conflict, educational level, the ratio of resonation wage relative to wife's earnings, husband's behavioral support, the presence of child under age of 6, the type of occupa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job quitting of working wives.

  • PDF

한국주부가 가사노동시간과 경제적 가치 평가 (An Evaluation of Time Use and Economic Value of Housework in Korea)

  • 김정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51
    • /
    • 1993
  •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1. To compare the housework time of housewives by region and employment status. 2. To compare the economic value of housework by region and employment status. 3.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housework by each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15 housewives living in Taegu and Kyungsangpookdo.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OVA and Seheffe test by SPSS PC programs: 1) The average housework time was 7.8hours per day. Full-time housewives spent 8.2hours and employed housewives spent 6.7hours to housework. 2) Part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 value of housework by employment status. 3) Estimates of economic value of housework by each method of evaluation are : (unit : won) sample mean method monthly (1) Specialized substitute method 587,080 (2) Overall substitute method 760,640 (3) Opportunity cost method 556,060 (4) Reservation wage method 534,070 (5) Subjective evalution method 644,54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