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and Downwardly Rigid Reservation Wages are Responsible for the Youth Joblessness?

청년 고용 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 Received : 2011.03.25
  • Accepted : 2011.06.3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paper criticizes the arguments for the high and rigid reservation wages as main cause of the youth joblessness. First, using longitudinal aspect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I found that there exists declining reservation wage for the young who make the transition from unemployed to employment. Second, the average duration of school-to-work transition in Korea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at of other countries. Moreover the duration between leaving school and staring the first job has not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adult labor market outcomes, but the quality of first job and unstable job experiences have serious negative effects on working career.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high youth joblessness is due to both decent job deficit and labor market segmentation.

본 연구는 청년층의 고용문제가 눈높이 조절의 실패에 기인한다는 주장을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한 실증 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의중임금의 동태적인 변화를 통한 분석을 통해, 눈높이 격차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간의 경과에 따라 시장임금을 고려하여 의중임금이 조정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노동시장 이행경험을 노동시장 진입과정을 넘어서 노동시장 정착과정으로 확장하여, 직업경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첫 일자리를 획득하기까지의 소요기간이 아니라 첫 일자리의 질과 불안정한 취업경험임을 밝혔다. 이는 청년층의 비취업 문제가 좋은 일자리만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괜찮은 일자리의 감소와 노동시장의 이중화라는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