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utation effect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38초

윤리경영과 기업성과간 기업지배구조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between Management of Ethics and Firm Performance)

  • 한진환;연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33-140
    • /
    • 2012
  • 본 연구는 기업의 윤리경영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논리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윤리경영의 측정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6년간 한국경제정의 연구소에서 발표된 윤리경영지수(KEJI지수)가 측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윤리경영은 기업성과인 ROA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윤리경영을 더 잘 수행하는 기업들이 더 좋은 경제적 성과를 거둔다는 기존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둘째, 윤리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기업 지배구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문적으로는 윤리경영을 통한 명성효과(reputation effect)와 다시 이것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윤리경영을 강화하는 사회적 흐름에 대하여 비단, 사회적 활동만을 강화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 배경의 윤리경영에 대한 중요성과 영향력을 인식하여 기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윤리경영에 맞는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기업 명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이 위기 시 기업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삼성중공업 기름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rporate Reputation, Perceived Motivation and Perceived Fi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Legitimacy in Crisis - Based on the Oil Spill Incidence of Samsung Heavy Industries)

  • 박수정;차희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5권
    • /
    • pp.496-532
    • /
    • 2009
  • 본 연구는 기업의 존폐가 갈리는 위기상황에서 기업이 필요한 것은 기업의 정당성이라 가정하고, 평상 시 기업의 명성 관리와 사회적 책임 활동 수행이 위기 시 기업의 정당성 확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삼성중공업의 기름유출 사건과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삼성중공업이 발표한 지원대책을 분석사례로 선정하여 성인 3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기업 명성이 기업의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이 기업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인식 간 상호작용이 기업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삼성중공업의 기업 명성은 위기 시 기업의 제도적 정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행동적 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정당성에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 명성,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사회적 책임 활동의 책임성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의 실용적 차원 정당성에 대한 3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평소 명성 관리와 사회적 책임의 이행으로 공중의 요구를 충족시킨 기업의 경우 위기 상황에서도 기업 자체의 존재와 기업의 행동을 지지하고 인정하는 기업 정당성을 더 쉽게 부여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기업 존재가치와 기업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여 효과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명성 및 관계 관리와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 이행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중소기업 CSR 적합성이 기업명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itnes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on Corporate Repu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 김종원;김승민;김은정;조수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47-257
    • /
    • 2010
  •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대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적합성이 기업명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소기업 CSR의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101부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소기업의 CSR 적합성이 기업명성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기업명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에게 CSR 활동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MZ세대의 SNS 콘텐츠 관광정보특성, 관광지이미지, 관광행동의도 간 영향 관계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Information of the MZ Generation's SNS Content, Tourist Destination Reputation, and the Intentions of Traveling Behavior: Focusing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이종현;김우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328-338
    • /
    • 2022
  • 본 연구는 MZ세대의 SNS 콘텐츠 관광정보특성, 관광지이미지, 관광행동의도 간 영향 관계를 제주특별자치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설문전문업체에 의뢰하여 MZ세대 중 최근 1년 이내 SNS 관광정보특성을 접한 이후 제주특별자치도 관광 경험이 있는 관광자 27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총 270부 회수하여 모두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SNS 관광정보특성 요인 신뢰성, 유용성, 적시성, 상호작용성 모두 관광지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관광정보특성 요인 신뢰성, 유용성, 적시성, 상호작용성 모두 관광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지이미지는 관광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지를 찾는 MZ세대 관광자의 향후 관광지이미지 형성과 미래 행동 결정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기여하는 이론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비스경영의 융복합 산업에서 온라인 가격할인과 뮤지컬 명성이 관람객의 만족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Re-watch Intention of Visitor in On-line Price Discounts and Musical Fame in the Convergence Industry of Service Management)

  • 임기흥;전지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157-163
    • /
    • 2015
  • 본 연구는 서비스경영의 융복합 산업에서 뮤지컬의 명성과 온라인 가격할인이 만족과 재관람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가격할인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뮤지컬의 명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재관람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고객관리와 밀착 마케팅을 통하여 관객들이 재관람을 할 수 있게 끊임없이 온라인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받는 관객은 만족도가 높아지고 결국은 재관람으로 이어질 것이다.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ll Center Representatives : Focus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정경숙;곡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82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job performance of call center representatives based on the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AST). This study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h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affect the technological and task adaptation, how they affec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explains how r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 a reputation which are considered as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is paper aim to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d a model based on the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sed variables and the AST for individual, we conducted an empirical test on the call center representativ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unselor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multitasking abilities, and innovative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skill adaptation, and skill adap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ask adaptation, furthermore, it influences 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among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dimensions of the call center,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reputation not only increase continuance commitment but also increase normative commitment.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perceived rational culture didn't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re valid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but they have nothing to do with turnover intention. On the contrary, emotional commitment is the only one variable among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is not a valid predictor of job performance.

기업의 환경적 사회적책임 활동이 신뢰와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SR on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ity)

  • 배정호
    • 서비스연구
    • /
    • 제9권2호
    • /
    • pp.17-29
    • /
    • 2019
  • 지금껏 CSR애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환경적 차원의 CSR과 기업평판 및 진정성에 대한 연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환경적 차원의 CSR 활동과 신뢰, 기업평판, 진정성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환경적 차원의 CSR 및 신뢰, 기업평판, 진정성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을 기준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전국의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SPSS 및 AMOS 통계기법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환경적 CSR활동은 신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신뢰는 기업평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차원의 CSR활동은 기업평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환경적 CSR활동과 기업평판 간의 관계에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기업의 환경적 CSR활동에 대한 고객의 진정성 지각은 기업의 환경적 차원의 CSR활동과 신뢰 간의 영향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SR 및 마케팅 관련 문헌 및 기업의 CSR 정책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서비스 명성에 따른 준거가격광고 효과 (Effects of Reference Price Advertisements by Service Reputation)

  • 박민숙;천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24-132
    • /
    • 2008
  • 경제적 환경의 변화와 인터넷 등의 다양한 유통경로 등장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면서 가격은 아주 강력한 마케팅 수단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격할인 등의 가격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강화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많은 광고에서 가격할인 정보를 제시하면서 준거가격을 함께 제시하는 전략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준거가격제시에 따른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품에 한정된 준거가격 연구에서 확장하여 서비스 경우에 준거가격을 제시함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 서비스의 명성에 따라 준거가격제시 방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검증한다. 서비스의 명성과 준거가격제시 방법에 따른 실험을 설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광고에서 준거가격을 제시하는 경우에 가격태도 및 이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서비스 명성이 높은 경우에는 준거가격을 제시하는 것 보다 할인율을 표시하는 것이 더 효과가 높으며, 서비스 명성이 낮은 경우에는 준거가격 제시만으로 광고효과가 높아짐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경우에는 그 명성에 따라 준거가격을 제시하는 방법과 관련한 전략적 관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enefit thought and Fashion Image on Purchase Intention fo Gal-ot)

  • 홍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3-84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 of clothing benefit sought on fashion image sought and 2)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ashion image and benefit sought on purchase intention of Gal-ot.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172 female tourist(20 to 50 ages) in Cheju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ur factors of benefit sought were identified : Practicality/economic-value, aesthetics, reputation, and souvenir-value. Six factors of fashion image were found and labeled as: Sexy/feminine, wild/mannish, easy/simple, Cheju image, ecology and natural image. The effects of benefits sought(Practicality/economic-value, aesthetics, reputation and souvenir-value) on fashion image(Sexy/feminine, easy/simple, Cheju and natural image) were fou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effects of benefit sought(souvenir-value) and fashion image(Cheju image) on purchase intention of Gal-ot.

  • PDF

의류 제품의 할인판매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Consumers's Distrust for Discounting Claims and Purchase Intention for Apparel Products)

  • 오영아;정명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307-1314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distrust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discounting, specifically discounting of clothes. Through literature, discounting rate, retailer type and brand reputation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and were tested. A 2$\times$2$\times$3 factorial design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each factor on consumers' distrust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jean products. Retailer type was manipulated as high and low, brand reputation as well-known and less-known, and discount rates 10, 30 and 60%. An convenience sample of 165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did distrust discounting claims and consumers' distrust of the claims was greater for less-known brand. In addition, no significant effect of retailor type was found. Further effort is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 to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