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resentations

검색결과 1,277건 처리시간 0.027초

GEOMETRIC REPRESENTATIONS OF FINITE GROUPS ON REAL TORIC SPACES

  • Cho, Soojin;Choi, Suyoung;Kaji, Shizuo
    • 대한수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1265-1283
    • /
    • 2019
  • We develop a framework to construct geometric representations of finite groups G through the correspondence between real toric spaces $X^{\mathbb{R}}$ and simplicial complexes with characteristic matrices. We give a combinatorial description of the G-module structure of the homology of $X^{\mathbb{R}}$. As applications, we make explicit computations of the Weyl group representations on the homology of real toric varieties associated to the Weyl chambers of type A and B, which show an interesting connection to the topology of posets. We also realize a certain kind of Foulkes representation geometrically as the homology of real toric varieties.

"Once You Go Black": Performative Acts of "Blackness" in Contemporary Cinema

  • Chung, Hye Jean
    • 영미문화
    • /
    • 제14권1호
    • /
    • pp.241-267
    • /
    • 2014
  • Media representations of race have attempted to contain blackness by packaging and commodifying it to reflect and affect preconceptions and prejudices of dominant culture. From the early beginnings of blackface minstrelsy as entertainment form in the $19^{th}$ century, representations of African Americans in popular culture and mainstream media have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notion of performance. The performative nature of racial representations is situated within the discursive struggle over what it meant to be Black, or what it meant to be labeled and portrayed as Black in American culture. This essay discusses four films that contain performances of "blackness" that assemble race and gender in complex configurations: Bamboozled (Spike Lee, 2000), Girl 6 (Spike Lee, 1996), Big Momma's House (Raja Gosnell, 2000), and White Chicks (Keenen Ivory Wayans, 2004). I explore how the performative nature of "blackness" is emphasized, thematized, and problematized in these films through the physicality of corporeal figures that embody the close link between race and gender identities. Once we are cognizant of the fact that race and gender are fabricated cultural constructs and performative acts, we can recognize that notions of "blackness" and "femininity" are not naturalized or essentialist, but open to recontextualization and revision.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Experience in Tourism: Two Forms of Mimesis

  • Hunter, William Cannon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1권1호
    • /
    • pp.65-67
    • /
    • 2021
  • This paper fills a gap in smart tourism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link between online representations and their physical counterparts. This sort of phenomenology visualizes a doubled cultural mimesis that can be described by the story of the ship of Theseus, where the original is replaced by an ongoing process of installing new components. In this sense, social reality is conceptualized as having real cultural events and the production of cultural items as well as having digital reproductions that appear and circulate online. These are accessed by a variety of platforms where reality is simulated onsite throug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r remotely through forms of virtual reality. This paper seeks to frame and to present this notion and its potential impacts on destination culture particular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REPRESENTATIONS OF C*-TERNARY RINGS

  • Arpit Kansal;Ajay Kumar;Vandana Rajpal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23-135
    • /
    • 2023
  •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one 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representations of C*-ternary ring M and C*-algebra 𝒜(M). We discuss primitive and modular ideals of a C*-ternary ring and prove that a closed ideal I is primitive or modular if and only if so is the ideal 𝒜(I) of 𝒜(M). We also show that a closed ideal in M is primitive if and only if it is the kernel of some irreducible representation of M. Lastly, we obtain approximate identity characterization of strongly quasi-central C*-ternary ring and the ideal structure of the TRO V ⊗tmin B for a C*-algebra B.

2009 개정교육과정과 2015 개정교육과정의 화학 I 및 화학 II 교과서에서 산·염기 모델의 준미시적 표상에 대한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Problems in the Submicro Representations of Acid·Base Models in Chemistry I and II Textbooks of the 2009 & 2015 Revised Curricula)

  • 박철용;원정애;김성기;최희;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19-29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서 4종과 화학II 교과서 4종, 2015 개정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서 9종과 화학II 6종의 교과서에 제시된 산·염기 모델에 관련된 표상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표상의 문제점은 정의 표현의 문제와 논리사고 표현의 문제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평형의 개념이 없어서 2009 개정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서에서는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정의에서 가역반응의 표상에 문제가 있었지만, 이러한 문제는 화학평형 개념이 포함된 2015 개정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서에서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리사고 표현은 입자 종류 보존논리, 조합논리, 입자 수 보존논리, 비례논리 등이 있다. 2009 개정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에서는 논리사고와 관련된 표상의 문제가 적었지만, 2015 개정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논리사고와 관련된 표상의 문제가 많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산·염기 모델에 관련된 교과서의 표상들이 학생들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과학적 글쓰기를 활용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Using Scientific Writing)

  • 조혜숙;남정희;이동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9-490
    • /
    • 2014
  •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글쓰기와 논의를 활용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은 모델링의 목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자신이 만든 모델을 논의와 글쓰기를 통해 과학적 언어를 사용하여 스스로 정리하거나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모델을 평가하고 수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 전략은 과학교육에서 모델링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과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 네 가지 요소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여러 문제 상황을 관찰하여 문제를 연관지어 인식하는 문제인식이다. 둘째는 과학적 설명을 위해 충분한 과학개념을 구조화하여 제시하는 과학개념 구조화이며, 셋째는 주장에 대해 적절한 표상을 증거로 제시하는 주장-증거 적절성이다. 마지막은 증거제시에서 다양한 표상의 사용과 이 표상들을 전환하고 통합하는 다중표상 지수이다. 이 네 가지 요소의 발달을 위해 세 가지 stage를 구성하였다. '인지 과정'은 다중표상에 대한 이해를 위한 것이고, '해석 과정'은 다중표상 활동을 통해 증거 제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며, '적용 과정'은 학생들이 논의-기반 모델링을 직접 접해보는 것이다. 이 적용 과정에서는 질문 또는 문제 만들기-실험 설계 및 수행하기-관찰 통한 조사하기-자료의 분석 및 해석하기-임시 모델 설계하기-논의하기-되돌아보기-모델 평가하기-모델 수정하기의 아홉 개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은 학생들이 자신이 설계한 임시모델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증거를 바탕으로 발표하고 반박하는 논의과정을 통해 증거 제시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논의과정 후 학생들은 주장과 증거를 다중표상으로 나타내는 것에 대해 되돌아보는 과정을 거치면서 주장-증거 적절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모둠이나 다른 모둠의 모델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 받으면서 수정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관찰한 자연세계의 현상에 대한 자신의 설명체계를 만듦으로써 과학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수학 문제 해결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표상 활용 능력과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Representation Usage Ability and Characteristics in Solving Math Problems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김민경;권혁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475-5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113명을 대상으로 수학 문제 해결에서 표상 활용 능력을 학업성취도에 따라 분석하고, 학업성취도에 따른 표상 활용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표상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최대 세 가지방법을 이용하여 풀도록 하였다. 또한 지필 평가의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6명의 학생을 선발하여 인터뷰를 실시하고 학업성취도에 따라 표상 활용에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상위권 학생들은 50%이상이 모든 문항에서 두 가지 이상의 표상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중위권 학생들은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편차가 있었고, 하위권 학생들은 문제 해결에 표상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였다. 표상 활용의 특징으로, 상위권 학생들은 수식사용을 선호하였고 문제 해결과정에서 수학적 기호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반해 중 하위권 학생들은 표나 그림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였고, 같은 표상 양식이라 할지라도 상위권 학생이 중 하위권 학생보다 더 구조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하고 있었다.

교구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수학적 표현과 행동 특성의 변화 - 정다면체 지도를 중심으로 - (The change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the clas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 Focused on teaching regular polytopes -)

  • 최정선;박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3호
    • /
    • pp.303-328
    • /
    • 2009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teaching method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to teach regular polytopes, and applied these to first-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who is attending the extra math class. In that class, we focused on the change of the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especially verval, visual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and mathematical behavioral. By analyzing characterstics the students' work sheets, we obtained affirmative results as follows. First, manipulative materials played an important role on drawing a development figure of regular polyhtopes describing the verval representation definition of regular polytopes. Second, classes utilizing manipulative materials changed students verbalism level of representations the definition of regular polytopes. For example, in the first class about 60% of students are in the $0{\sim}2$ vervalism level, but in the third class, about 65% of students are in the $6{\sim}7$ level. Third, classes utilizing manipulative materials improved visual representation about development figure. After experiences making several development figures about regular octahedron directly, and discussion, students found out key points to be considered for draws development figure and this helped to draw development figures about other regular polytopes. Fourth, students were unaccustomed to make symbolic representations of regular polytopes. But, they obtained same improvement in symbolic representations, so in fifth the class some students try to make symbol about something in common of whole regular polytopes. Fifth, after the classes, we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ents, especially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II items such as mind that want to study own fitness, interest, attachment, spirit of inquiry, continuously mathematics posthumously. This means that classe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Specially, 'mind that want to study mathematics continuously'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and it may give positive influence to inculcates mathematics studying volition while suitable practical use of manipulative materials. To conclude, classe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may help students enhance the verbal, visual representation, and gestates symbol representation. Also, the clas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may give positive influence in some part of mathemat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 Therefore, if we use manipulative materials properly in the class, we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cognitive perspect and behavioral cteristics.

  • PDF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단원에 제시된 시각적 입자 표상의 활용 방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Uses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Matter Units)

  • 전유선;김성훈;노태희;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5호
    • /
    • pp.353-361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물질 단원에 제시된 시각적 입자 표상의 활용 방식을 분석하였다. 4종의 과학 교과서의 물질 단원을 설명, 탐구, 평가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시된 시각적 입자 표상의 활용 형태, 요구되는 활동 방식, 활동 수준을 분석하였다. 설명 영역의 경우 시각적 입자 표상은 주로 보조적 활용 형태로 제시되었으며 탐구와 평가 영역의 경우 직접적 활용 형태로 주로 제시되었다. 직접적 활용의 시각적 입자 표상의 활동 방식은 설명과 평가 영역에서는 주로 해석하기가, 탐구 영역에서는 다른 두 영역에 비해 완성하기와 생성하기가 비교적 높은 비율로 제시되었다. 활동 수준의 경우 설명 영역에서는 찾기 수준이, 탐구와 평가 영역에서는 유추하기 수준이 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서 속 시각적 입자 표상의 제시와 활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