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the clas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 Focused on teaching regular polytopes -

교구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수학적 표현과 행동 특성의 변화 - 정다면체 지도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teaching method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to teach regular polytopes, and applied these to first-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who is attending the extra math class. In that class, we focused on the change of the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especially verval, visual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and mathematical behavioral. By analyzing characterstics the students' work sheets, we obtained affirmative results as follows. First, manipulative materials played an important role on drawing a development figure of regular polyhtopes describing the verval representation definition of regular polytopes. Second, classes utilizing manipulative materials changed students verbalism level of representations the definition of regular polytopes. For example, in the first class about 60% of students are in the $0{\sim}2$ vervalism level, but in the third class, about 65% of students are in the $6{\sim}7$ level. Third, classes utilizing manipulative materials improved visual representation about development figure. After experiences making several development figures about regular octahedron directly, and discussion, students found out key points to be considered for draws development figure and this helped to draw development figures about other regular polytopes. Fourth, students were unaccustomed to make symbolic representations of regular polytopes. But, they obtained same improvement in symbolic representations, so in fifth the class some students try to make symbol about something in common of whole regular polytopes. Fifth, after the classes, we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ents, especially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II items such as mind that want to study own fitness, interest, attachment, spirit of inquiry, continuously mathematics posthumously. This means that classe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Specially, 'mind that want to study mathematics continuously'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and it may give positive influence to inculcates mathematics studying volition while suitable practical use of manipulative materials. To conclude, classe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may help students enhance the verbal, visual representation, and gestates symbol representation. Also, the clas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may give positive influence in some part of mathemat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 Therefore, if we use manipulative materials properly in the class, we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cognitive perspect and behavioral cteristics.

Keywords

References

  1. 강문봉 (1993). Lakatos의 수리철학의 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행고. 이화영. 박성기. 박진석. 이용완. 한경연. 이준홍. 이혜련. 송미현. 박정숙 (2001). 중학교 수학 7-나, 서울: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3. 교육부 (1998).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교육부 (2006a).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5-가,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5. 교육부 (2006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5-가,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6. 고은성. 이경화. 송상헌 (2008).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다면체 정의 구성 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pp.53-77.
  7. 금종해. 이만근. 이미라. 김영주 (2004). 중학교 수학 7-나 교사용지도서, p.155. 서울: (주)고려 출판.
  8. 김남희(1999a). 수학의 기본 구조 지도와 딘지블럭.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1), pp.305-324.
  9. 김남희(1999b). 학교수학 학습에서의 퀴즈네어 막대 활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2), pp.699-721.
  10. 김남희(2000a). 교구이용에 대한 교수학적 논의,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2(1), pp.29-51
  11. 김남희(2000b). 대수타일을 이용한 수학학습,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2(1), pp.259-281
  12. 김남희(2000c). 탱그램 활용을 통한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2(2), pp.563-587
  13. 김남희(2001). 기하판을 활용한 학교수학의 지도,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3(12), pp.155-184
  14. 김덕봉 (2003). 구체적 조작활동을 통한 기하-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김선영 (2005). 다양한 표현 활동이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수미 (2002). 수학교육에서의 조작교구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2(2), pp.459-474
  17. 김수미 (2003). 공간 능력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5, pp.101-118
  18. 김영국 (2008). 수학적 표현이 교수학적 의의,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7(2), pp.155-168
  19. 김은숙 (2002) 도형판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 만들어 보기, 한국수학교육연구회지 <초등수학교육>. 11, pp. 81-87
  20. 김응태. 박한식. 우정호 (1984). 수학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1. 남승인 (2003). 초등학교 수학학습에서 교구활용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8, pp.109-134
  22. 남승인. 권민성 (2007). 수학 이해력 증진을 위한 교구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0(2), pp.125-139
  23. 문광호. 우정호 (1999). 중.고등학교 수학의 시각화,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1), pp.135-156
  24. 박경자 (2002). 조작적 교구를 활용한 게임 학습이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규홍. 한옥동. 김성국. 임창우. 고성군. 김유태. 육상국. 박재용 (2001). 중학교 7-나 교과서, 서울: (주)두레교육.
  26. 박두일. 신동선. 강영환. 윤재성. 김인종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주)교학사.
  27. 박두일. 신동선. 강영환. 윤재성. 김인종 (2004). 중학교 수학 7-나 교사용지도서, 서울: (주)교학사.
  28. 박윤범. 박혜숙. 권혁천. 육인선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주)대한교과서.
  29. 배종수. 박종률. 윤행원. 유종광. 김문환. 민기열. 박동익. 우현철 (2001). 중학교 7-나 교과서, 서울: (주)한성교육연구소
  30.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신항균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형설출판사.
  32. 심상길 (2003). 초등학교 기하에서 교수매체를 활용한 조작 활동 과정에 대한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3. 우정호(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34. 이영하. 허민. 박영훈. 여태경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경기: (주)교문사.
  35. 이준열. 장훈. 최부림. 남호영. 이상은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주)도서출판 디딤돌.
  36. 장혜원 (1997). 수학 학습에서의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표상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전평국. 신동윤. 방승진. 황현모. 정성규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교학연구사
  38. 전평국. 정부용 (2003). 공간시각화 과정에서의 교구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15, pp.87-92
  39. 조영미 (2001). 학교수학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0. 조태근. 임성모. 정상권. 이재학. 이성재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41. 채희진 (1998). 기하영역에서의 수학 외적 연결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 최용준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주)천재교육.
  43. 최남광 (2008). 중등수학영재아들이 공간기하과제 해결과정에서 보여주는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4. 최은희 (2005).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추론과 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5. 최창우. 손숙현 (2002). 수학교구를 활용한 클럽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14, pp.163-176
  46. 황석근. 이재돈 (2001). 중학교 수학 7-나 교과서, 서울: 한서출판사.
  47. Dienes, Z. P.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Hutchinson Educational
  48. Fennema, E. (1973). Manipulatives in the classroom. Arithematic Teacher 20(May), pp.350-352
  49. Harel, G., & Kaput, J. (1994). The Role of Conceptual Entities and Their Symbols in Building Advanced Mathematical concepts. In David TalKEd.), Ada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82-9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50. Lesh, R. et.al (1987). Experts from the conference, In janvier C.(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51. Nakahara, T. (1994). Study of the Representational system in Mathematics Eduction, Hiroshima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2, pp59-67
  52.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류희찬 . 조완영 . 이경화 . 나귀수 . 김남균 . 방정숙(역),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53. Piaget, J, & Beth, E. W. (1966). Mathematical Epistemlogy and Psychology, D.Reidel Publishing Company
  54. Cromwell, P. (1997). Polyhed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Zazkis, R, & Liljedahl, P. (2004). Understnading Primes: The role of represent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3), pp.164-186 https://doi.org/10.2307/30034911
  56. Skemp, R. R. (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황우형 (역), 수학 학습 심리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영어 원작은 1971년 출판)
  57. Suydam, M. N. (1982).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to learn mathematics ERIC/SMEAC Mathematics Education Fact Sheet Number 2
  58. Suydam, M. N. (1986). Manipulative materials and achievement, Arithemetic Teacher(Feb), pp,10, 32
  59. Tsamir, P., & Drefus. T. (2002) Comparing infinite sets - a process of abstraction: The case of Ben,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1. pp.1-23 https://doi.org/10.1016/S0732-3123(02)00100-1
  60. Van Dormolen, J., & Zaslavsky, O. (2003). The many facts of a definition: The case of periodicity.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2. pp.9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