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air material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33초

고집적 메모리의 yield 개선을 위한 전기적 구제회로 (An Electrical Repair Circuit for Yield Increment of High Density Memory)

  • 김필중;김종빈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73-279
    • /
    • 2000
  • Electrical repair method which has replaced laser repair method can replace defective cell by redundancy’s in the redundancy scheme of conventional high density memory. This electrical repair circuit consists of the antifuse program/read/latch circuits, a clock generator a negative voltage generator a power-up pulse circuit a special address mux and etc. The measured program voltage of made antifuses was 7.2~7.5V and the resistance of programmed antifuses was below 500 Ω. The period of clock generator was about 30 ns. The output voltage of a negative voltage generator was about 4.3 V and the current capacity was maximum 825 $mutextrm{A}$. An antifuse was programmed using by the electric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supply-voltage (3.3 V) and output voltage generator. The output pulse width of a power-up pulse circuit was 30 ns ~ 1$mutextrm{s}$ with the variation of power-up time. The programmed antifuse resistance required below 44 ㏀ from the simulation of antifuse program/read/latch circuit. Therefore the electrical repair circuit behaved safely and the yield of high densitymemory will be increased by using the circuit.

  • PDF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위한 나노 합성 무기계 보수 재료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Nano Mixed Inorganic Repair Material for Crack Repair of Concrete Structures)

  • 김종필;전찬기;정훈;김홍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33-39
    • /
    • 2007
  • 본 연구는 균열이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회복 및 성능 향상을 위하여 첨단 기술을 접목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나노 합성 무기계 균열보수재를 균열이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나노 합성 무기계 균열보수재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균열 보수재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균열보수재가 표준 및 건습반복 상태에서 우수한 부착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염분침투확산, 탄산화 및 내염수성 실험결과도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균열에 의한 성능저하가 발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이 필요할 경우 본 연구에서 적용한 나노 합성 무기계 균열보수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회복 및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 및 일반대기환경의 폭로실험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재료.공법의 성능평가 및 철근의 부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Properties of Reinforcing bar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epair Material and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y Exposure Experiment under the Coastal and Normal Atmosphere Environment)

  • 남정수;노경민;신승봉;김영선;김규용;김무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제6권1호
    • /
    • pp.167-171
    • /
    • 2006
  • In this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of repair material and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quality control standards of durability recovery method, the quantitative exposure data by exposure experiment under the coastal and normal atmosphere environment is accumulated and analyzed. Investigating and evaluating the result of exposure experiment during 30 months of exposure age under the coastal and normal atmosphere environment, carbonation depth and chlorideion penetration depth very little penetrated than cover depth.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main cause of corrosion of reinforcing bar are inner chloride-ion and macro cell from the result of corrosion area and corrosion velocit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fundamental data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quality control standards of repair material and method could be presented through continuous exposure test in the future.

  • PDF

노후항공기의 보수 방법 및 복합재 패치보수의 응용 (Repair methods for aging aircraft and application of composite patch repair)

  • 김위대;김종진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7-172
    • /
    • 2002
  • During the operation of military aircraft, maintenance is divided into organizational, intermediate and depot maintenance. In the depot maintenance, after removal of major parts and removable doors, damage assessment is performed. Locating damage, charactering the damage and determining its extent, zoning the damage on the part being repaired and re-evaluation of the damaged area after damage removal. Repair joints are classified by bonded joints and bolted joints, depending on joining material. In this paper, repair method in aging aircraft is investigated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copmposite patch is surveyed.

  • PDF

In-line Automatic defect repair method for TFT-LCD Production

  • Arai, Takeshi;Nakasu, N.;Yoshimura, K.;Edamura, T.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036-1039
    • /
    • 2009
  • We have developed an automated circuit defect repair method. We focused on the resist patterns on the circuit material layer of TFT substrates before the etching process. In this paper, we report on the repair method that utilizes the syringe system and the stability of the open defect repair process.

  • PDF

국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동향 (Recent Repair and Maintenance Techniques of R/C Structures in Korea)

  • 심종성;배인환;김정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9-184
    • /
    • 1990
  • This paper presents the recent repair and maintenance techniques of R/C structures in Korea.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 the first part introduces the current diagmosis techniques, the second one includes the repair methods and the third one classifies the repair material. Finally a repair case of the R/C structure in a chemical plant in Korea was introduced.

  • PDF

시멘트계 보수재료로 코팅된 강재의 부식 및 휨강성 평가 (Evaluation of Steel Corrosion and Flexural Strength Coated with Cementitious Repair Material)

  • 윤용식;김태상;김호룡;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43-2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계 보수재 코팅이 철판의 부식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가 위해 보통 철판(Normal), 용접철판(Welding), 용접 후 보수재 철판(Welding & coating)의 세 가지 경우에 대하여 7일간 ICM(Impressed Current Method)를 통하여 부식을 촉진시켰다. 이후 Faraday 법칙을 통해 얻은 이론 부식률, 실험 부식률 그리고 부식 실험 후 측정한 휨 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Normal case와 Welding case에서는 약 70% 수준의 부식률이 측정되었으며, Welding & coating case에서는 약 17%정도의 부식률이 측정되었다. 이는 시멘트계 보수재료의 코팅이 염화물 이온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였으며 이로 인해 부식전류의 발생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다. 휨 강도 역시 부식률 평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Welding & coating case에서 Welding case 대비 약 3.4배 큰 강도가 평가되었다. 시멘트계 보수재 코팅이 용접부에 시행되면 용접부 철판의 부식 차단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단면수복재로 보수시공한 철근콘크리트내로의 염화물이온 침투에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Chloride Ion's Permeation of Reinforced Concrete Repaired by Patching Repair Material)

  • 윤선영;신상헌;유병철;이한승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617-620
    • /
    • 2008
  • 구조물의 열화부위를 제거하고 단면수복재로 되메우는 단면수복공법의 합리적인 시공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염화물이온에 대한 단면수복재 및 이를 시공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염화물이온 침투예측의 선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면수복재 시공이후의 구조물의 염해상태를 예측하고, 염화물이온의 침투 및 그에 의한 철근부식을 예측하기위해 단면수복재를 시공한 콘크리트의 염화물이온 확산계수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염화물이온 급속침투실험(Rapid Chloride Permeability Test)를 통한 단면수복재의 염화물이온 확산계수를 실험적으로 산정하고 단면수복재의 두께가 염화물이온 확산에 미치는 영향 또한 수치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에서 도출된 콘크리트 및 단면수복재의 염화물이온 확산계수를 일본토목학회에서 제시한 식 및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Method)를 이용하여 단면수복재로 보수시공한 구조물의 위치별 염화물이온농도를 산출하였다.

  • PDF

콘크리트 박스 구조물용 보수재의 부착강도 향상을 위한 기계식 가압장비(MPE)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Mechanical Pressurizing Equipment(MPE) for Improving Bond Strength of Repair Materials for Concrete Box Structures)

  • 유형식;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77-483
    • /
    • 2020
  • 콘크리트 박스 구조물이 열화되어 보수보강이 필요할 경우 스프레이 장비로 구조물 단면에 보수재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천장 또는 벽체부위의 경우 시공 후 보수재 자중 또는 중력에 의해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지하철 구조물의 경우 진동 등에 의해 초기 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와 시공환경에 따라 보수품질이 변동되기에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에 의한 보수재의 부착력 저하 및 인력시공에 의한 보수품질의 변동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수재 시공 후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기계식 가압장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가압장비의 성능을 알아보고자 현장조건을 모사할 수 있는 챔버를 제작하여 가압 유무, 단면부위 및 환경조건을 달리한 부착강도를 측정한 결과 가압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최대 70%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 micro-computed tomographic study using a novel test model to assess the filling ability and volumetric changes of bioceramic root repair materials

  • Fernanda Ferrari Esteves Torres;Jader Camilo Pinto;Gabriella Oliveira Figueira;Juliane Maria Guerreiro-Tanomaru;Mario Tanomaru-Filh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1호
    • /
    • pp.2.1-2.8
    • /
    • 2021
  • Objectives: New premixed bioceramic root repair materials require moisture for setting.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this study evaluated the filling ability and volumetric changes of calcium silicate-based repair materials (mineral trioxide aggregate repair high-plasticity [MTA HP] and Bio-C Repair, Angelus), in comparison with a zinc oxide and eugenol-based material (intermediate restorative material [IRM]; Dentsply DeTrey). Materials and Methods: Gypsum models with cavities 3 mm deep and 1 mm in diameter were manufactured and scanned using micro-CT (SkyScan 1272. Bruker). The cavities were filled with the cements and scanned again to evaluate their filling capacity. Another scan was performed after immersing the samples in distilled water for 7 days to assess the volumetric changes of the cement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the data was evaluat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test with a 5% significance level. Results: Bio-C Repair had a greater filling ability than MTA HP (p < 0.05). IRM was similar to Bio-C and MTA HP (p > 0.05). MTA HP presented the largest volumetric change (p < 0.05), showing more volume loss than Bio-C and IRM, which were similar (p > 0.05). Conclusions: Bio-C Repair is a new endodontic material with excellent filling capacity and low volumetric change. The gypsum model proposed for evaluating filling ability and volumetric changes by micro-CT had appropriate and reproducible results. This model may enhance the physicochemical evaluation of premixed bioceramic materials, which need moisture for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