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ediation

검색결과 1,260건 처리시간 0.025초

HOLISTIC DECISION SUPPORT FOR BRIDGE REMEDIATION

  • Maria Rashidi;Brett Lemas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52-57
    • /
    • 2011
  • Bridges are essential and valuable elements in road and rail transportation networks. Bridge remediation is a top priority for asset managers, but identifying the nature of true defect deterioration and associated remediation treatments remains a complex task. Nowadays Decision Support Systems (DSS) are used extensively to assist in decision-making across a wide spectrum of unstructured decision environments. In this paper a requirements-driven framework is used to develop a risk based decision support model which has the ability to quantify the bridge condition and find the best remediation treatments using Multi Attribute Utility Theory (MAUT), with the aim of maintaining a bridge within acceptable limits of safety, serviceability and sustainability.

  • PDF

마이크로이멀젼을 이용한 유기오염물로 오염된 지반의 정화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with Organic Contaminants using Microemulsion)

  • Park, Ki-Hong;Kwon, Oh-Jung;Park, Jun-Boum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97-604
    • /
    • 2003
  • In the soil washing process, the contaminants are usually removed by abrasion from soil particles using mechanical energy and water However, organic contaminants with low water solubility lik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 are remained on soil particl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urfactant possessing amphipathic activity enhances the solubility of organic materials. For this reason solutions with surfactants have been used to improve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on soil washing process. But, in this manner, many problems were found like complete loss of surfactants and additional contamination by surfactant. The remediation method using microemulsion has been introduc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In this case, surfactants are recycled by phase separation of microemulsion after remediation. In microemulsion process, the surfactant will be recycled by phase separation of the microemulsion into a surfactant-rich aqueous phase and an oil phase after extraction. That is why remediation concept applying microemulsion as washing media has been Introduced. Suitable microemulsion have to be used in order to have the chance of refilling the soil after decontamination and to avoid any risk due to toxic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effect of microemulsion to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We performed test with various organic contaminants like Pyrene and BTEX, also compared efficiency of remediation in microemulsion process with soil washing

  • PDF

콘크리트 댐 기초 누수방지 보수그라우팅 사례 (A Case Study of Remediation Grouting for Stopping Leakage of Concrete Dam Base)

  • 천병식;김진춘;최영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9-456
    • /
    • 2000
  • Remediation grouting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rehabilitation of various civil works like hydraulic and traffic structures. Recently there were some cases of remediation grouting for repairing old dams in korea. So this study will describe the case of remediation grouting of the concrete dam base located east-northern part of Seoul. We use Lugeon Test and 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BIPS) for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remediation grouting of this projec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lots of joints between the old concrete body and the weathered rock base. So the about 30% quantity of total cement grouts was injected at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concrete and rock base. And Lugeon Test and BIPS could be compared relatively because BIPS results could be present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Finally, we could find microfine cement was very effectively injected to the fine fissured concrete body compared with ordinary portland cement, but there was little injectability differences beteween microfine cement and ordinary portland cement at the large cracks or cavities were developed rock base.

  • PDF

녹색정화를 위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Towards More Efficient Energy Use for Green Remediation)

  • 황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6호
    • /
    • pp.95-1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녹색정화를 국내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문인 에너지사용량 최소화 방안을 다루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국내 정화사업 사례조사를 통해 어떤 정화공법이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많은 지를 조사한 결과, 열탈착법과 양수-처리법이 포함된 지중처리방식이 에너지 소모량이 크고 토양세척법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모량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화조치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화석연료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i) 정화시설의 에너지 사용 최적화, ii) 에너지 저소비 정화공법의 적용, iii) 재생에너지의 사용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녹색정화를 위해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경제적 유인제도(보조금 지급 등)와 같은 정책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On-Line Monitoring of Low Biochemical Oxygen Demand Through Continuous Operation of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 MOON, HYUN-SOO;CHANG, IN-SEO;JANG, JAE-KYUNG;KIM, KYUNG-SHIK;LEE, JI-YOUNG;LOVITT, ROBERT W.;KIM, BYUNG-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92-196
    • /
    • 2005
  • Abstract Oligotrophic microbial fuel cells (MFCs) were tested for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low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by using artificial wastewater, containing glucose and glutamate, as check solution. Ten times diluted trace mineral solution was used to minimize the background current level, which is generated from the oxidation of nitrilotriacetate used as a chelating agent. The feeding rate of 0.53 ml/min could increase the sensitivity from 0.16 to 0.43 ${\mu}$A/(mg BOD/l) at 0.15 ml/min. The dynamic linear range of the calibration curve was between 2.0 and 10.0 mg BOD/l, and the response time to the change of 2 mg BOD/l was about 60 min. The current signal from an oligotroph-type MFC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alts concentration, and the salt effect could be eliminated by 50 mM phosphate buffer.

활성탄 주입을 통한 퇴적물 내 소수성 유기오염물질 원위치 안정화 기술: 작동 원리 (In-situ Stabilization of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by Activated Carbon Amendment: Working Principles)

  • 이현민;정지현;최용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1호
    • /
    • pp.1-16
    • /
    • 2022
  • In-situ activated carbon (AC) amendment is a promising remediation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sediment impacted by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HOCs). Since its first proposal in the early 2000s, the remediation technique has quickly gained acceptance as a feasible alternative among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northern Europe. This review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n in-situ AC amendment for the treatment of HOC-impacted sediment with a major focus on its working principles. We began with an introduction on the practical and scientific background that led to the proposal of this remediation technique. Then, we described how the remediation technique works in a mechanistic sense, along with discussion on two modes of implementation, mechanical mixing and thin-layer capping,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We also discussed key considerations involved in establishing a remedial goal and performing post-implementation monitoring when this technique is field-applied. We concluded with future works necessary to adopt and further develop this innovative sediment remediation technique to ongoing and future sediment contamination concerns in Korea.

플라즈마 블라스팅, 공압파쇄, 진공추출이 활용된 지중 토양정화공법의 정화 개선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 Situ Soil Remediation Using Plasma Blasting, Pneumatic Fracturing and Vacuum Suction)

  • 송재용;이근춘;강차원;김은섭;장현식;장보안;박유철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85-103
    • /
    • 2023
  • 점토와 같은 세립질 또는 유기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거나 다져진 지층을 대상으로 지중(in-situ) 정화를 진행하는 경우, 정화효율이 떨어져 정화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한계가 발생한다. 또한, 토양조건이 양호하더라도 균일하지 않은 토질특성과 낮은 투수특성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정화를 수행하여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 지중정화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압파쇄, 진공추출,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접목한 기술(PPV공법)의 정화효과 확인과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상대적인 비교를 위하여 본 연구에 적용된 기술을 실험군으로 하고 기존 공법인 화학적산화공법을 대조군으로 하여 TPH로 오염된 토양에서80일에 걸쳐 각각 지중정화를 수행하였으며, 총 4차에 걸쳐 모니터링 시료를 채취하여 정화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대조군은 정화제 전달효과가 불량하여 오염도의 감소 경향성을 보이지 않는 반면 실험군(PPV공법) 적용에서는 정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오염도 저감효과가 나타난다. 주입정으로부터 거리별 TPH 최고농도 저감율을 평가하면, 대조군은 경향성이 없으나 PPV공법은 주입정 반경 1 m 이내에서는 62.6%, 1.1~2.0 m에서 90.1%, 2.1~3.0 m에서 92.1%의 정화효과를 보인다. 주입정으로부터 거리별 TPH 평균농도 저감율을 평가하면, 대조군은 실질적인 정화효과가 없으나 PPV공법은 주입정 반경 1 m 이내에서는 53.6%, 1.1~2.0 m에서 82.4%, 2.1~3.0 m에서 68.7%의 정화효과가 확인되었다. TPH 최대 및 평균 오염농도의 변화를 토대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정화효율을 평가한 결과, PPV공법은 대조군 대비 149.0~184.8%의 정화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평균 정화효과 상승률은 약167%이다. 시간경과에 대한 TPH 농도를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초 농도 대비 80% 저감기간을 평가한 결과 PPV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화학적산화공법 적용시보다 184.4%의 정화시간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단일 부지에 대한 평가 결과이기 때문에 모든 지층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그 효과를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수치해석 방법에 의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오염토양 복원효율 비교분석 (The Comparison of Remediation Efficiency for Contaminated Soils under Vertical Drain System by Numerical Analysis Method)

  • 신은철;이성철;박정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9-36
    • /
    • 2011
  • 오염지반 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영향 인자에 대한 지반공학적 특성을 기초로한 파일럿 규모의 실내 오염복원 실험시 오염물질의 복원 효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유한요소 및 유한차분방법에 의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시 적용된 물성값에 대한 매개변수를 평가하였다. 오염복원 모형실험과 수치해석에서 최소한계농도비를 기준으로 하여 오염복원율 해석 결과, 지반이 조밀한 경우 최소한계 농도비 도달시간이 더 길어지며, 지속시간에 따른 농도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농도는 주입배수재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서 더 빠르게 제거되고, 반면에 추출배수재 주변에서는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전극배치에 따른 2차원적 동전기 정화 특성의 수치해석 (The Numerical Analysis of Two-Dimensional Electrokinetic Remediation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Electrode Configurations)

  • 김수삼;한상재;김병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C호
    • /
    • pp.291-30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HERO-2D를 이용하여 전극배치에 따른 2차원 동전기 정화 특성을 예측하였다. 즉 1차원 전극배치와 2차원 전극배치에 대해 전극 간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나타나는 동전기 현상을 예측하고, 이러한 예측결과를 토대로 소비 전력량, 전극 설치 비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각의 전극배치마다의 전극간격을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지역의 높은 정화효율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높은 전체 정화효율을 나타내는 전극배치를 채택하는 것이, 대상부지에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2차원 전극배치에 비해 시공이 용이한 1차원 전극배치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각형 전극배치는 전력소비량과 단위전력당 정화속도, 그리고 전극설치비용 등 경제성 면에서 다른 전극배치보다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시공에 투입되는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 적용한다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우라늄 제거를 위한 실험실 규모 동전기 장치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Pilot-scale Electrokinetic Remediation Technology for Uranium Removal)

  • 박혜민;김계남;김승수;김완석;박욱량;문제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7-83
    • /
    • 2013
  • 방사능 오염 토양 복원을 위해 실험실 규모의 동전기 복원장치를 제작하여 가동 하던 중 토양 내 존재하던 금속이온의 용출로 금속 산화물이 발생하여 음극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류의 차단으로 토양 내 우라늄 제거 능력이 상실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 개선된 동전기 복원 장치를 제작하였다. 개선된 실험실 규모 동전기 복원 장치를 이용하여 토양복원 실험을 25 일간 수행 하였을 때 우라늄 잔류 농도는 0.81 Bq/g으로 약 96.8%의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초기 우라늄 농도 50 Bq/g 일 때 우라늄 규제 해제 농도인 1 Bq/g 이하로 제거 되기 까지는 34 일의 복원 기간이 필요하고, 초기 우라늄 농도 75 Bq/g, 100 Bq/g 일 때 각 42 일, 49 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