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al thinking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시선 추적기를 통해 본, 4학년 학생들의 방정식에 대한 관계적 사고 형성 -웹기반 저울을 중심으로 (Elementary Students' Formation of Relational Thinking about Equation - Centered for Web-Based Balance)

  • 이미진;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391-40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활용하여 웹기반 저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수적 실험이 학생들의 방정식에 대한 관계적 사고를 형성 시키는지를 학생들의 시선 움직임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주의 J초등학교 4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방정식(a+b+c=d+_) 문제를 3블록, 4가지 형식(12문항)으로 제시하여 시선추적기를 통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전략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는 면담을 실시하여 인지 과정을 살펴보았다. 수업은 웹기반 수저울 중심으로 등호에 대한 개념 이해와 관계적 사고가 형성되도록 짜여졌다. 그 결과 웹기반 수저울은 받침점을 기준으로 좌우를 비교하도록 하는 과제 해결과정에서 등호에 대한 개념 형성 뿐 아니라, 평형을 이루기 위해 좌우를 살피는 문제 해결과정을 통해 관계적 사고를 형성할 수 있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한 개체 - 관계 모델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Entity-Relationship Modeling System for Designing Relational Database)

  • 유재건
    • 산업공학
    • /
    • 제16권spc호
    • /
    • pp.45-48
    • /
    • 2003
  • Entity-relationship modeling for designing relational database is a very complicated thinking process that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and experiences. It is very likely that designers make mistakes in this process. In order to minimize the mistakes, a systematic method to guide the thinking process is needed. In this research, an entity-relationship modeling system is developed, which resolves the whole process of information modeling, data modeling, and functional dependency relationship analysis into small and simple decision-making steps. Therefore, i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making decision error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odeling process. It's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is verified through some modeling examples.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ing system can be commercialized, if some functions are added, such as detection, warning, and correction of decision errors, and educational help.

관계적 사고를 통한 상품의 지리 교육적 의미 (The Meaning of Geographical Education of Commodity through Relational Thinking)

  • 김병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54-566
    • /
    • 2011
  • 소비 자본주의는 상품 물신화 전략을 통해 상품에 내재되어 있는 실재적인 지리적 지식을 상상적인 지리적 지식으로 대체시켜 나간다. 이로 인해 현대의 소비자 세계 속에서 학생들은 상품의 실재 세계와 단절되고 상품이 가지는 지리적 삶을 망각하게 됨으로써 결국 자신과 상품을 관계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능력이 약화되고 있다. 그래서 학생들은 상품의 글로벌 네트워크 속에서 자신이 가지는 위치의 의미와 자신과 상품 네트워크 사이의 상호 관계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 문제를 윤리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 의식과 현실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햄버거 커넥션을 사례로 상품 소비와 윤리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관계적 사고를 통해 상품과 학생 자신의 관계를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리 교육의 역할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초등학생들은 '='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 문항유형별 실태조사 -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 - Performance on Various Item Types -)

  • 김정원;최지영;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79-101
    • /
    • 2016
  • 등호에 대한 이해는 대수적 사고 발달에 핵심이 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2~6학년 학생 695명의 등호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정답 반응이 오답 반응에 비하여 높게 드러났으나, 정답 반응 가운데 등호의 관계적 관점이 아닌 계산에 치중하는 등호의 연산적 관점 또한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표준 문맥 이외의 등식 문맥에서 등식 구조를 판단하거나 등식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등호 개념에 관한 불안전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호 이해의 실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곱셈적 구조에 대한 2, 4,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의 연결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s of mathematical thinking for multiplicative structures by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 김유경;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57-7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nections of mathematical thinking of students at the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s with regard to multiplication, fraction, and proportion, all of which have multiplicative structures. A paper-and-pencil test and subsequ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mathematical thinking including vertical thinking and relational thinking was commonly involved in multiplication, fraction, and proportion. On one hand,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receding concepts had negative impact on learning subsequent concepts. On the other hand, learning the succeeding concepts helped students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receding concepts. By analyz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receding concepts and the succeeding concepts, this study provides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teaching multiplication, fraction, and proportion.

Rasch 모델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by Using Rasch Model)

  • 김정원;방정숙;최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1호
    • /
    • pp.1-19
    • /
    • 2016
  • Give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equal sign in developing early algebraic thinking, this paper investigated how a total of 695 students in grades 2~6 understood the equal sign. The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ith three types of items (equation structure, equal sign definition, and open equation solving) based on the construct map by four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the equal sign.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Rasch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80% of the students were at least Level 3 which means a basic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However, the success rates varied across grades and it was noticeable that about 70% of the second graders remained at Level 1 or 2 which maintains an operational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The results of item types demonstrated that item difficulty for the advanced relational thinking was the highest and this is the same even for the Level 4 students. This paper is expect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and provide implications of how to deal with the equal sign in the elementary school.

건축 사유체계 변화에 의한 색채사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by change in architectural thinking system)

  • 이선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66-173
    • /
    • 2006
  • Architectural color has been preserved the multipl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e change of social value criteria and technical development. Especially, the change of technical paradigm has led to variation from simple and fixed color system, as through the considerable change of architect's subject thinking, favored and symbolic system. Now, architectural color has also been revealed as the timely, moving, behavioral and existent color by anthropolatric thinking system. Therefore, it could be transformed expressive system reflected from abstract-pictorial characteristics, from the fixed to non-determining system, constructive to non-constructive system, context to expressive system, reasonal to emotional system, respectively. So, the range of architectural color has been extended as a element in reinforced the planned concept of the architect beyond the past decorated and symbolic color scope. As thereinafter, future's architectural color could be expected to concrete to the public-friendly relation system, developed widely to the system for reinforcing the concept not introduction of meaningless, fragmental and instinct color through the relational adaptation with design concept.

중국적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 상관 연구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hinese Thinking mode on design thinking)

  • 리신;이동훈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6권
    • /
    • pp.284-296
    • /
    • 2019
  • 사유방식은 한 민족에 내재된 정신의 결정체로서, 풍부한 역사적 누적을 거치면서 지금까지 전해져 왔고, 사람들이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유 도구이다. 전통적 양식, 재질과는 다른 사유방식은 디자인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전통 문화가 디자인 속에서 생명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본문은 중국적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고, 먼저 사유방식과 디자인 사고의 개념 및 발전과정을 정리했다. 그리고 중국적 사유방식이 가지고 있는 관계형, 집합형, 그리고 체득형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제기했다. 주로 디자인 정의 문제, 하위 문제 배열 및 해결 방안 구축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는 일련의 중국 디자인 사례를 통해 중국적 사유방식이 어떻게 중국 디자인에 민족적 디자인 언어를 제공하였는지 분석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같음과 등호의 의미에 대한 고찰 (Some Remarks on the Sameness and the Meaning of the Equal Sig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백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45-61
    • /
    • 2020
  •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같음'을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고 등호를 읽는 방법으로 제시한다. 등호의 의미는 크게 연산적인 관점과 관계적인 관점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초등학교 학생들은 등호를 연산의 결과로 구한 답을 적으라는 연산적인 의미로 이해한다. 중학교 수학에서 요구되는 대수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는 산술에서부터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를 강조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수학에서 학생들이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를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을 의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사용되는 같음과 등호의 의미와 등호가 사용된 맥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같음과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를 강조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색인법(聯關索引法)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Relational indexing: theory and practice)

  • 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5-42
    • /
    • 1984
  • 정보(情報)의 축적(蓄積)과 검색(檢索)을 위한 개념(槪念) 조직과정(組織過程)에서는 개념(槪念) 뿐만 아니라 이들 개념간(槪念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명확히 표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간(人間)의 사고과정(思考科程)에 기초해야 한다. 연관색인법(聯關索引法)에서는 9개의 연관기호(聯關記號)를 통하여 문신 중에서 각 개념간의 관계표현이 가능하며 이들 개념을 순열(順列)시키므로써 주제색인(主題索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색인(索引)시스템에 비해 검색효율의 개선(改善)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