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hinese Thinking mode on design thinking

중국적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 상관 연구

  • Li, Xin (Graduate School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
  • Lee, Dong-hun (Graduate School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 리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 이동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12.06
  • Accepted : 2019.01.27
  • Published : 2019.01.31

Abstract

Thinking mode, as the condensation of the internal spirit of a nation, has been inherited till now through abundant historical precipitation, and is also a thinking tool for people to think and solve problem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tyles and materials, the way of thinking not only has a more essential impact on design, but also makes traditional culture more vital in design. Taking the influence of Chinese mode of thinking on design thinking as the main research object,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sorts out the concepts and development of thinking mode and design thinking, and summarizes thre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ode of thinking: relational, collective and perceptive. Furthermore, it puts forward the influence of thinking mode on design thinking, mainly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design problems, sub-problem sequencing and solution construction. Last but not least, through a series of Chinese design cases, this paper concretely analyzes how Chinese thinking mode provides national design language for Chinese design.

사유방식은 한 민족에 내재된 정신의 결정체로서, 풍부한 역사적 누적을 거치면서 지금까지 전해져 왔고, 사람들이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유 도구이다. 전통적 양식, 재질과는 다른 사유방식은 디자인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전통 문화가 디자인 속에서 생명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본문은 중국적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고, 먼저 사유방식과 디자인 사고의 개념 및 발전과정을 정리했다. 그리고 중국적 사유방식이 가지고 있는 관계형, 집합형, 그리고 체득형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제기했다. 주로 디자인 정의 문제, 하위 문제 배열 및 해결 방안 구축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는 일련의 중국 디자인 사례를 통해 중국적 사유방식이 어떻게 중국 디자인에 민족적 디자인 언어를 제공하였는지 분석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