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on-on-ac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19초

액션러닝기반 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 요인분석 - 보건학부 융합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for Action Learning-based Class Operation - Focused on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Convergence Major -)

  • 정대근;양상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47-2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융복합 교육과정을 수강하는 재학생들에게 액션러닝을 활용하여 일정 기간 팀 학습 형태로 자아성찰을 통해 과제를 해결 능력을 함양하여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남에 소재한 스포츠건강관리학과와 물리치료학과를 융복합 한 스포츠재활학과 재학생 40명으로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생과 전통적 강의식 학습방법을 적용한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 능력 및 전공만족도의 효과 차이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군 집단 내 변화비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p<.05). 전통적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대조군 집단 내 변화비교에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집단 간 변화비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융복합 교육과정에서 액션러닝 교수방법을 재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적용시키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추후에도 대상을 확대하고 변수들을 추가하여 질적연구를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노인복지관 당뇨병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과정과 평가: 실행연구방법 (Senior Center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Program: An Action Research Approach)

  • 고하나;송미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69-185
    • /
    • 2018
  • 당뇨병 노인환자의 자기관리 교육은 대상자의 건강행위를 변화시켜야 하는 목표를 성취해야하므로 노인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노인 대상자의 특성과 개별적인 상황 및 조건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인 특화 프로그램은 매우 제한적이고, 대상자 중심의 효과가 평가된 경우도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거주 당뇨병 노인 맞춤형 당뇨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연구 방법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의 계획, 실행, 평가, 성찰단계를 각 회기마다 시행하여 이전 회기의 결과가 다음회기의 중재계획의 변화에 근거가 되는 체계적인 순환과정을 3회기에 걸쳐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일개의 지역사회 복지관에서 15개월에 걸쳐 12주의 소규모 노인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양적, 질적 자료를 모두 사용하여 참여대상자 측면의 평가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였다. 총 46명중 43명(93.48%)이 프로그램을 이수하였다. 양적인 프로그램의 효과결과에서는 당화혈색소(p<.001), 공복혈당(p<.001), 신체질량지수(p=.016), 허리둘레(p=.001), 수축기혈압(p=.036),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p<.001), 노인 건강행위지식(p=.008)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질적 평가 자료에서는 본 프로그램은 개별적인 맞춤 관리로 느껴지며 이를 통해 역량 강화하게 되었고,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자신의 자기관리 이행에 자신감과 실천의 즐거움을 느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로 대상자의 신체적 지표와 행위지표, 유용성 등의 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대상자 측면에서의 주관적인 효과성을 확인 한 것은 효율성과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는 의미 있는 시도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행연구 방법을 통한 프로그램의 적용과정과 평가는 현장 실무자에게 대상자의 요구 중심의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시행의 가이드가 될 것이다.

한국 농업회의소의 창립과 농촌지도사업의 위상 변화에 대한 전망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gricultural Chamber and the Perspectives on Changes in Agricultural Extension)

  • 오현석;김진호;김정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5권2호
    • /
    • pp.177-186
    • /
    • 1998
  • It is nearing the establishment of KAC(Korean Agricultural Chamber) as an institution for intensive reflection of farmer's public opinions i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 this study, researchers examined the management of Agricultural Chambers in France and Japan, which have experienced the action of Agricultural Chamber in advance of Korea. And discussed the anticipated change in agricultural extension taking advantage of departure of KAC. Discourses and movements to establish KAC is putting pressure the existing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to innovation. Taking a side view that there were little contribution of agents belonging to the existing agricultural extension agencies, the problem of restructuring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has assumed very serious dimensions. Therefore, agents in agricultural extension agencies should lay their own view before the probable reorganiz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 PDF

Constructivist Reflection on the Training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Korea

  • Kwak, Young-Su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75-686
    • /
    • 2004
  •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teaching practice is a major factor in securing better school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In this article, initial teacher preparation of secondary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mproving teacher policy are discuss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exemplary science teachers were use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In term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most exemplary teachers contended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al knowledge by translating theory into practice. Their suggestions for how to improve in-service education are also discussed. Regarding directions of improving teacher policy in Korea, the teachers proposed an alternative teacher-promotion structure that incorporates the master-teacher position.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action research courses into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are also discussed.

제주시 탑동 호안 월파 대응 방안에 관한 모형실험 (A Study on Experiment for Countermeasures to Overtopping at Tapdong Revetment in Jeju)

  • 고혁준;김정록;조일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3-16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제주시 탑동 호안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월파 피해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한 수리모형실험을 다루었다. 모형실험에서는 입사파의 주기 변화에 따른 탑동 호안의 반사율을 피복석 설치 유무에 대해 측정하였다. 또한 50년 반복주기 NE 설계파를 기준으로 선정된 파고와 주기 변화에 따른 월파량 및 탑동 호안 구조물 내 파압을 상부구조물의 높이 증가와 곡면 돌출부의 형상을 바꿔가면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상부구조물의 높이 증가와 곡면 돌출부의 형상 변화가 월파량을 감소 측면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운영의 효과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장금성;김은아;박현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128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EBN) course using action learning-based team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ho consented were 45 second-year nursing students (22 in the experimental, 23 in the control group) from a university in G-city, Korea. The intervention included lectures, practicals, team activities and reflection on overviewing EBN, formulating clinical questions, searching the evidence, and criticizing the research article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7-week EBN course,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equencies, $x^2$-test, t-test, and ANCOVA with the SPSS program 18.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EBN competency (F=25.80, p<001), information literacy (F=13.75, p=.001),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F=5.32, p=.026)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an EBN course improves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BN competencies, information literacy,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Team learning in EBN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7-36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

대학생의 활동중심 진로교육을 위한 웹기반 인터페이스 설계 (The Web-Based Interface Design for University Students' Activity-Oriented Career Education)

  • 이용희;오동주;박수홍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45-360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활동중심으로 구현할 수 있는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래피드프로토타이핑에 의하여 웹 인터페이스 초안을 설계하고 이를 전문가에게 검토 받아 설계안을 확정하도록 하였다. 전체적인 설계방향은 첫째, 진로교육의 활동 순서는 체계적 액션러닝의 순서에 준하여 실행한다. 둘째, 학습의 순환이 발생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로 설계한다. 두 가지 큰 설계 방향에 따라 구안된 인터페이스는 학습환경 플랫폼 위에 자기이해, 타인이 보는 나 찾기, 직업세계 알기, 진로결정하기, 진로실행 계획하기, 활동설계하기, 개인, 공동 평가 및 성찰하기 등의 단계가 상호작용성이 강한 위키 및 웹 2.0의 설계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 경험 중심의 진로교육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을 기반으로 하여 진로교육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 시대의 아동 미디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Media in the Digital Era)

  • 이란;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7-40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children's media, to anticipate any transi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nd finally to provide a guidance for future directions in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55 research papers were chosen. The tool used for this analysis was that developed by Meyrowitz(1998; 1999), which classifies(1998, 1999) three main viewpoints towards media. Based on these three viewpoi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common category is 'media as a vessel.'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some studies in 'media as a vessel' have a tendency to be mixed with the notion of 'media as a language.' Subsequently, all the research papers in the category of 'media as a language' were subcategorized into 6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the manner proposed by Hobbs(2010). Consequently, the studies in the category of 'creation' were revealed to be the most common, and 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the research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reflection' and 'social action' both begins to partially appea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peculates on a number of educational point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media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열린어린이집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어린이집 원장, 교사 및 부모를 중심으로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Open-Childcare Center: Focused on Director, Teacher, and Parent)

  • 최혜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93-10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needs among director, teacher, and parent for an open-childcare center focused on parent 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6 directors, 231 teachers, and 299 parents in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Gyeongsang province.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the perception and needs of an open-childcare center, which was later analyzed by SPSS ver. 23.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ive areas of open-childcare center were 'participating activities as various roles,' 'willingness of parent participation,' 'reflection of parent needs,' 'concern about CCTV,' and 'sharing outdoor spaces.' Second, the perception of directors concerning open-childcare centers were higher than the ones for teachers or parent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depending on their perspective position. The biggest perception of directors was 'participating activities as various roles,' and parents' one was 'concerned about CCTV.' However,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ere a lower level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 the directors showed a higher level of needs to promote an open-childcare center (except for one concerned about CCTV). Parents also showed their needs 'increasing awareness of open-childcare program,' 'promoting to parent'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with on-line,' and 'concerning CCTV.'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s action plans to promote an open-childcar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