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 유영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9.05.05
  • Accepted : 2009.06.13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levels and the usage of social work practice skills. Dewey definded reflective thinking as active, persistent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any belief. And social work practice skills refer to those purposeful intervention activities, that are intended to alleviate client's distress, enhancing a client's coping abilities. Reflctive thinking levels consists of intensive reflection, reflection, understanding and habit action. The key of social work practice skill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supportive skills, therapeutic coping skills and case management skills. These categories were designed to apply to a diverse range of client populations. This paper proves that social work's reflective thinking ability and interactions with other workers have an effect on the intervention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if social works have a higher reflective thinking levels, they will creat practice siklls and social work practice knowledge.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