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hot pepper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신미종(新味種)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栽培時) 주요성분(主要成分)에 미치는 Light Quality의 영향 -I. 생육상태(生育狀態)-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Major Components of Hot Pepper Plant (Capsicum annuum L.) Grown in Polyethylene Film House -I. Growth and Development-)

  • 김광수;노승문;김순동;이성우;윤태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3호
    • /
    • pp.296-299
    • /
    • 1977
  • 신미종(辛味種) 고추(Saemaeul No. 1)의 polyethylene-film house 재배시에 피복재료로써 광질이 다른 white, blue, green 및 red color의 0.06mm polyethylene film을 사용하여 재배시험을 행하고 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red구가 78.8cm로서 가장 크고 white구가 다음이였으며, blue, green구는 각각 67.4, 63.6cm로 매우 저조하였다. 그리고 $5{\sim}7$단 사이의 잎의 평균중량은 white, red구가 각각 0.40, 0.39g으로써 비슷하였고 blue, green 구에서는 0.31. 0.32g으로써 초장에서와 같이 생장상태가 불량하였다. 2. 착과율은 white.구가 48.0%, red구가 46.1%로서 white구가 다소 높았으며, blue, green구에서는 착과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과실의 중량은 red구가 3.32g으로써 white구의 2.81g보다 높았으며, 또 재배중에 유색(blue, green, Red)구, 그중에서도 red구가 white구에서 보다 충해가 적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3. 잎의 무기질 중에서 K. Mg는 생육상태가 불량한 blue, green구에서 white, red구보다 많았고 Fe는 green구에서, 그리고 Mn은 blue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white구에서는 Fe, Mn이 다같이 적었다.

  • PDF

순창전통고추장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 정도연;송미란;신동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0-267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fermented hot pepper-soy bean paste) for quality standardization. The kochujang samples, which have been fermented for 8 months in 1999, were collected from 20 firms at folk village in Sunchang area and analyze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nd color reference. The mean value of moisture, amino-type nitrogen, pH, acidity and salt content of the samples collected were $44.62{\pm}1.79%$, $132.66{\pm}21.67\;mg%$, $4.52{\pm}0.08$, $15.77{\pm}1.62$ and $8.76{\pm}1.55%$, respectively. The moisture, pH, acidity and salt content of each sample did not show much differences among samples. The Hunter values(L, a and b)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were $25.72{\pm}1.58$, $23.26{\pm}1.71$ and $9.86{\pm}0.94$, respectively. The mean content of amino-type nitrogen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was $132.66{\pm}21.67\;mg%$, and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100.33 mg%) and the maximum(164.56 mg%). The main free sugars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were fructose($1.86{\pm}1.01%$), dextrose($4.29{\pm}2.06%$), sucrose($0.54{\pm}1.21%$), and maltose($1.48{\pm}0.77%$). The contents of fructose, dextrose, and maltose had little difference among samples. The fatty acids in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were composed of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octadecatetraenoic, arachidonic and behenic acid. The linoleic acid(18:2) showed the highest, occuping 59.37% of the total fatty acids.

  • PDF

홍파프리카로 담근 깍두기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Prepared with Red Paprika Powder)

  • 이지숙;이영주;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4-71
    • /
    • 2003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substituted red pepper powder with red paprika powder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The fermentation patterns of two Kimchies were similar. While the pH and the acidity of the control were 3.88 and 0.691%(as lactic acid), respectively, those of paprika, 3.85 and 0.690%(as lactic acid), respectively on the 10th day of fermentation, which is the optimal ripe time. Reducing sugar content and Lactobacilli number of paprika Kakdugi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hardness and fracturability of Kakdugi radi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he Hunter color L, a and b values of both Kakdugies increased gradually until l0th day and then decreased. The a and ASTA value of paprika Kakdug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analyzed by HPLC were not detected in paprika Kakdugi. Sensory evaluation (unstructured scale, 10 points) showed the score of hot taste f3r paprika Kakdugi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p<0.05), whereas the score of over-all acceptabillity for paprika Kakdugi(8.0) was higher than those of control(6.1).

  • PDF

고추장 묘사분석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입가심물질 중심으로 (Developing descriptive analysis protocol for gochujang: establishing optimal palate cleanser)

  • 이은혜;정서진;유선미;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89-50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ective palate cleanser when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for gochujang products. In addition,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gochujang products was optimized. A generic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4 types of gochujang samples varying in hot and spicy levels. The sensory attributes developed were 9 odors, 13 flavors, 4 texture and mouth feel attributes, and 4 appearance attributes. In order to select an effective palate cleanser for gochujang, 5 types of cleansers were tested (water, water+bread, water+cucumber, water+milk, water+cracker). Correct answering rate, significant numbers of product effect on sensory attributes, and the mean hot and spicy intensity values were considered to select the optimal palate cleanser. Results showed that as the hot & spicy level increased, red pepper odor and flavor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umami taste intensity decreased. When comparing the efficiencies of various palate cleanser, the correct answer rates were the highest when warm water was used with either cucumber or cracker. Additionally, the attribute intensities were better differentiated between gochujang samples when cracker, white wheat bread, or cucumber were used. Overall, warm water with cucumber or cracker were shown to be the most effective cleansers.

시판 라면스프류 중의 매운맛 성분 분석 최적화 및 활용 (Optimization in Analytical Method and Quantitation of Major Heat Principles from Soup Base of Commercial Ramens)

  • 김현위;김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3
    • /
    • 2004
  • 고추의 매운맛 성분(캅사이신)과 후추의 매운맛 성분(피페린)의 효율적인 추출방법과 동시분석 할 수 있는 HPLC분석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시판 라면스프류를 대상으로 하여 매운맛 성분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수치화한 후 향신료의 사용량을 알아보았다. 즉, 고추(n=8)에는 캅사이신 함량이 48.75-87.58mg/100g, 후추(n=7)에는 피페린의 함량이 2900-5520mg/100g 함유되어있는 것으로부터 라면 중의 고추와 후추의 사용량을 추정할 수 있었다. 라면스프류를 분석한 결과는 봉지면(n=24)의 경우 캅사이신이 $2.47{\pm}1.49mg/100g$, 피페린이 $46.20{\pm}16.10mg/100g$ 사용량 추정치는 고추 $4.02{\pm}2.37%$, 후추 $1.23{\pm}0.43%$이었고, 용기면(n= 17)의 경우는 캅사이신이 $2.02{\pm}1.18mg/100g$. 피페린이 $41.98{\pm}23.12mg/100g$로 사용량 추정치는 고추 $3.28{\pm}1.92%$. 후추 $1.09{\pm}0.60%$이었다. 대체로 용기면의 경우 캅사이신이나 피페린 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고추나 후추의 사용량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매운맛을 강조하는 라면(n= 5)에서는 캅사이신이 $4.83{\pm}2.69 mg/100 g$, 피페린이 $69.49{\pm}20.03mg/100g$로 사용량을 추정해 본 결과는 고추 $8.62{\pm}4.42%$, 후추 $1.79{\pm}0.58%$이었다. 또한 비빔면류(n=5)의 경우 캅사이신이 $14.29{\pm}5.72mg/100g$, 피페린은 불검출 되었으며, 이에 고추사용량 추정치는 $24.73{\pm}10.05%$로서 고추분만을 사용함을 확인하였다.

고온 및 침수에 의한 고추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Air Temperature and Waterlogging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Hot Pepper)

  • 이희주;박성태;김성겸;최장선;이상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69-78
    • /
    • 2017
  • 고온기 고추재배시 고온과 침수에 따른 피해를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온도처리는 비가림하우스 1동은 적온구, 다른 1동은 고온구로 하여 적온구는 하우스내 온도가 $25^{\circ}C$가 되면 자동으로 환기팬 및 측장이 열려서 환기가 되도록 하였고, 고온구는 $35^{\circ}C$가 되면 자동으로 환기팬 및 측창이 열리도록 설정하였다. 침수처리는 정식후 54일(정식후 2화방 착과가 완료된 시점)에 하우스를 5등분하여 무침수(0시간) 처리구와 침수(12, 24, 48 및 72시간) 처리구를 두었고, 점적호스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관수를 하였다. 그 결과 생육특성은 $25^{\circ}C$ 무침수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좋은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속도는 $25^{\circ}C$ 무침수 처리구가 $19.6{\mu}mol\;CO_2{\cdot}m^{-2}{\cdot}s^{-1}$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좋았으며 $25^{\circ}C$ 72시간 침수처리구가 $16.5{\mu}mol\;CO_2{\cdot}m^{-2}{\cdot}s^{-1}$로 가장 낮았다. 근활력은 $25^{\circ}C$ 24시간 침수처리구와 $35^{\circ}C$ 72시간 침수처리구가 0.042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25^{\circ}C$ 12시간 침수처리구가 0.02로, $25^{\circ}C$ 무침수처리구의 0.032에 비해서 63%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주당 적과의 수확과수 및 수량 역시 고온구인 $35^{\circ}C$ 무침수 처리구가 162개/주, 1,662g/주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많았고, 적온구인 $25^{\circ}C$의 12, 24 및 48시간 침수처리구가 적었다. 수량은 고온인 $35^{\circ}C$ 무침수 처리구가 수확과수가 많아서 3,697kg/10a 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온구인 $25^{\circ}C$ 12시간, 24시간 및 48시간 처리구가 $25^{\circ}C$ 무침수처리구 대비 수량지수가 75‚70% 수준으로 낮았다. 따라서 고추는 침수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육, 광합성률, 근활력 및 수량을 감소시키며, 72시간 침수된 고추포장은 물을 빼주고 정상적인 환경관리를 9일정도 해주면 광합성과 기공전도도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뇨중 대사체 정량에 의한 capsaicinoid의 생화학적 섭취지표 개발 연구 (Capsaicin Intake Estimated by Urinary Metabolites as Biomarkers)

  • 추연수;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84-788
    • /
    • 2001
  • 최근 고추섭취량과 위암과의 양의상관도를 보이는 역학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이런 자료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향신료로 쓰이는 고추의 섭취량이 정확히 측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고추의 매운맛 성분 capsaicin의 인체대사산물을 확인하고 이를 응용하여 생리학적으로 의미있는 섭취량을 측정하려는 취지에서 실험을 계획하였다. 먼저 동물실험에서 관찰된 capsaicin의 대사체들을 소변에서 HPLC로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이들 대사체의 신속한 검색을 위해, 이전부터 사용하던 유기용매 추출을 지양하고 효소 glucuronidase 처리한 소변희석액을 바로 HPLC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0대의 젊은 여성 5-6명을 대상으로, 이틀 간의 capsaicin 고갈식이 이후 capsaicin이 포함되지 않은 식사시 capsacin의 제공원으로서 고추장을 섭취하게 하였다. 60g씩 사홀 고추장을 섭취한 실험시 여섯명의 참가자 중 네명에게서 섭취를 시작한지 3일 째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한 명에게서 3일 째 capsaicin이 검출되었다. 80g씩 나흘을 섭취한 2차 실험시는 세 명의 피실험자에게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나흘째 소변에서 검출되었다. 2차 실험에서 나흘째 검출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의 총량은 실험기간 중 섭취한 capsaicinoids 총량의 85% 이상이었다. 따라서 쥐 등을 이용한 capsaicinoid 대사 실험에서는 4-hydroxy-3-methoxybenyl alcohol이 주대사물질이었으나 인체에서는 그와 달리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주대사산물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1, 2차 실험식이를 충실히 따른 두명의 소변에서는 4-hydroxy-3-methoxybenzoic acid를 포함한 어떤 대사체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개인간의 흡수 대사 차이가 크게 기여한다고 추정되며 생리적으로 의미 있는 capsaicin 섭취의 지표 물질은 인체를 대상으로 처음 얻어진 이 결과에 기반으로 한 계속 실험을 통해 선정되리라 기대한다.

  • PDF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 (I) - 일상식 - (Traditional Food Use of Frequency of Gwangju City and Chollanamdo Area - In food everyday -)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1
    • /
    • 200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raditional food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of Gwangju and Chollanamdo. Frequency of main meal ice plain white rice, boiled rice and cereals, bean-mixed rice, gruel Dakjuk, winter squash porridge, sesame porridge, noodles by noodles cut out with a kitchen knife, noodles with assorted mixtures, soup with dough flakes order frequency much have. Soup ate much beanpaste soup, soup cooked with dried radish leaves, seaweed soup, broth by power-pot soup, hot shredded beef soup, loach soup order. Pot stew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beef casserole bean curd beef casserole and small octopus beef casserole often eat. Kimchi ate much cabbage kimchi, radish kimchi, radish cube kimchi,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by sesame leaf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pickled garlics, Maneuljjong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order. Salted sea foods that eat often were salted anchovies, tiny salted shrimps, Gejang order, and soy sauce were toenjang, korean hot pepper paste, bean-paste soup prepared with around fermented soy beans order, and laver fried kelp, tangle fried kelp, green perilla leaf fried kelp order to fried kelp, and it was bean sprouts, bracken herbs, fragrant edible wild aster herbs order to herbs. It is Ssukgatmuchim, squid debt saliva, Jabanmuchim's order that season, hard-boiled food is beef boiled in soy sauce, mackerel radish hard-boiled food, order of bean curd hard-boiled food, panbroiling ate often by order of Kimchi panbroiling, red pepper anchovy panbroiling, pork panbroiling. Steamed dish is egg steamed dish, fish steamed dish, steamed short-ribs order, fried fish egg speech, by Gimchijeon, Pajeon ord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ate often by lav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hair-tai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mackere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order. Minced raw meat are small octopus raw that live, beef dish of minced raw beef, Hongeohoe order, rice cake is cake made from g1u1ions rice, Seolgitteok, songpyon order, dessert ate often by fermented rice Punch, 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 Kangjung order.

  • PDF

Beneficial Effects of Traditional Seasoning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ausages

  • Seong, Pil-Nam;Seo, Hyun-Woo;Kang, Sun-Moon;Kim, Yoon-Seok;Cho, Soo-Hyun;Kim, Jin-Hyoung;Hoa, Van-B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8호
    • /
    • pp.1173-1180
    • /
    • 2016
  • Though traditional seasonings are widely used in many dishes, however, no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vestigation of their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ood products.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s of incorporating several traditional seasonings including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gochu-jang (red pepper paste), fresh medium-hot, and hot peppers, and fresh garlic on the lipid oxidation, cholesterol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ausages. Six fermented sausage treatments (5 with 1% (w/w) each test seasoning and 1 without added test seasoning (control) were prepared. The addition of seasonings generally had beneficial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fermented sausage's quality however the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each type of seasonings added. Significant lower pH values were found in all fermented sausages made with the seasonings while, lower levels of lipid oxidation were found in the treatments with hot peppers and garlic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The treatment with seasonings did not cause color or texture defects in the products whereas the sausages made with gochu-jang had significantly higher Commission International de $l^{\prime}Eclairagea^{\ast}$ (redness) valu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Noticeably, incorporating doenjang, medium-hot peppers, hot peppers and garlic resulted in reduction of 26.50, 32.54, 47.04, and 48.54 mg cholesterol/100 g samples, respectively (p<0.05). Higher scores for the sensory traits such as aroma, taste, color and acceptability were also given for the sausages made with seasonings. The current work demonstrates that the test seasonings represent potentially natural ingredients to be used for producing healthier fermented sausages.

부산 및 부산근교의 명가김치 발굴을 위한 연구 (A Study of Famous Traditional Kimchi in Pusan and Near Pusan Area)

  • 문갑순;송영선;전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4-81
    • /
    • 1996
  • 김치는 우리의 전통식품으로서 가정마다 독특한 김치맛을 이어왔으나 최근 산업화와 주거환경의 변화 등으로 사먹는 김치의 수요가 늘고 있고 점차 레시피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 지역의 기호에 맞는 김치를 표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민의 기호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요긴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고급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 및 부산인근의 예로부터 김치맛으로 유명한 명가김치들을 발굴하고 이를 현대화할 필요성이 높다. 따라서 이의 발굴을 위해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내에 명가김치 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여러 채널을 통해 9종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를 발굴하였고 이를 공장김치나 문헌상의 김치의 레시피와 비교해 보았다. 이들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상의 특징은 고춧가루, 마늘, 젓갈의 사용량이 많았고 젓갈은 대부분 자가의 멸치젓을 사용하고 있어서 맛이 진하고 매운 남부지방 김치의 특성을 나타내 주었다. 생선류와 청각 같은 해산물의 사용이 많았던 것도 중요한 특징으로 여겨진다. 다량의 고추가루를 개기 위하여 멸치 우린물이나 새우 우린물, 배ㆍ무ㆍ양파 즙을 사용하였고 찹쌀풀을 넣어 맛을 부드럽게 하였다. 재료의 선정에 매우 신경을 써서 좋은 배추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고추가루는 색깔을 중시하여 태양초를 선호하였고 풍부한 고명의 사용도 명가김치로서의 품위를 높이는데 소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았다. 절인배추 1000 g에 대한 부재료의 비에서 명가김치와 타김치와의 차이가 확실하여 김치에 첨가하는 부재료들의 다양성과 함량이 김치의 맛과 품위를 높이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염농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남부지방 김치의 특징인 짭짤한 김치는 많지 않아서 2% 부근의 슴슴한 김치가 많았고 이는 소량의 김치담그기, 냉장고의 일반화 및 저염화의 경향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겠고 특히 대부분의 조사대상들은 김치의 소금절임 과정을 대단히 중시하여 슴슴하게 소금절임하는 것이 배추의 아삭아삭한 조직감을 유지하는데 중요함을 알고 있어 김치의 염농도와 조직감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