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ycling reuse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4초

목재가구 부산물(副産物)을 활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A Study on Furniture Design Using By-product of Wood Furniture)

  • 정재나;윤여항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5
    • /
    • 2016
  • Increasing concerns of environment need to make change furniture field to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pproach, such as reuse of by-products from wooden products. As it is, the methods of recycling wood for industrial purposes have the advantage of productivity and adaptability. However, the industrial way is required a certain production facility of processing wooden by-products and has possible hygienic problems due to contaminated sources. Many designers have developed their own methods for reuse of wood in unique and artistic ways. Even so, because of confined sources, it could be not enough supply. Therefore, I developed the design methodology utilizing wooden by-products from S Design Company to relieve former ways' problems. The design suggestion took materials from a safe and abundant source. The wooden leftover pieces were connected together with epoxy clay, so previous process traces of furniture are remained as a decorative factor. Moreover, the synthesized material was able to be processed by ordinary woodworking facilities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s. In doing so, console table focused on a commercial purpose and dining table for an artistic objective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as final sugges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proposal using wooden furniture leftovers, diverse recycling designs should be investigated for future reference.

소각재에서의 용출억제제를 이용한 중금속 안정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eavy metal stabilization by dosing of chelate on the bottom ash)

  • 장현종;김성중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81-90
    • /
    • 2009
  • 현재 가동 중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이 약 35여개소 정도 있으며, 폐기물관리 정책에 따라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폐기물 발생억제, 감량, 재이용, 재활용, 에너지 회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소각을 통해 최종처리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려는 정책이다. 하지만, 소각 후에 발생하는 소각재에서 일부 항목(Cu, Pb)의 중금속용출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커다란 사회적 문제가 제기되어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소각재에 포함된 중금속인 유해물질을 용출 확산되지 않도록 소각재에 대한 화학약품처리 방식인 중금속 용출억제제를 혼합하여 용출되지 않도톡 안정화시설을 개발하여 2차 환경오염의 확산억제외 바닥재 함유 중금속의 안정화 효율을 증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결정요인분석 (Determinant Factor Analysis for the Spread of Water Reuse)

  • 박현주;김충일;한무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1-276
    • /
    • 2014
  • 본 연구는 물재이용 활성화 방안 및 물재이용 정책시행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제시하기 위해 20세 이상의 수원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시민들의 물재이용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빗물 재이용과 하수처리수 재이용 2개 분야로 구성하였다. 물재이용 결정요인은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의 신뢰도 Cronbach's Alpha 값이 0.4 이상으로 나타난 19 문항을 이용하였다. 빗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보호, 수도요금, 단수위험 및 기후변화로 나타났다. 빗물 이용에 관한 모든 변수들의 총 설명력은 39.7%이며 환경보호는 28.1%의 설명력을 보였다. 하수처리수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먼저 환경보호 요인이 투입되었으며 설명력은 24.2%였다. 하수처리수 재이용 결정요인에 수도요금, 물관리 정책, 기후 변화 및 단수위험이 추가적으로 투입된 결과, 각각의 설명력이 4.3%, 2.8%, 3.3%, 1.1% 증가되었다. 따라서 물 재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물재이용 정책 개발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 관한 교육과 재이용수의 수질에 대한 신뢰도 향상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cycling and Reuse of Used Electric Vehicle Batteries in Korea)

  • 김유정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1호
    • /
    • pp.83-91
    • /
    • 2024
  • IEA(2022)는 세계 이차전지 배터리 수요는 2040년 1.3TWh로 그 중,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약 80%를 차지하고, 사용후 배터리는 30년 이후 본격적으로 배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는 재사용 및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배터리 공급망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원료 확보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발생량과 이의 재사용 및 재활용 잠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연간 발생량은 '31년부터 10만개에서 '45년 81만개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재활용으로 회수한 자원으로 '45년에는 100만대의 배터리 제조할 수 있으며, 재사용은 36Gwh급 배터리 생산에 맞먹는 시장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 재활용 업체가 공개한 계획 기준에서, 국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는 국내 재활용 처리용량(전처리)의 11% 담당 가능('30년)할 것으로 원료확보의 차원에서 폐배터리 수출입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Lithium ion car batteries: Present analysis and future predictions

  • Arambarri, James;Hayden, James;Elkurdy, Mostafa;Meyers, Bryan;Abu Hamatteh, Ziad Salem;Abbassi, Bassim;Omar, Waid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699-710
    • /
    • 2019
  • Electric vehicles (EVs) are spreading rapidly and many counties are promoting hybrid and fully EVs through legislation. Therefore, an increasing amount of lithium ion batteries will reach the end of their usable life and will require effective and sustainable end-of-life management plan which include landfill disposal or incineration.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more sustainable methods such as remanufacturing, reuse and recycling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battery compositions and provide insights to the need recycling methods to be developed to handle large amounts of batteries sustainably in the near future. The two most prominent material recovery techniques are hydrometallurgy and pyrometallurgy which are explored and assessed on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and feasibility. Hydrometallurgy is a superior recycling method due to high material recovery and purity, very low emissions, high prevalence of chemical reuse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mpounds. Expanding recycling technologies globally should take the research and technologies pioneered by Umicore to establish a sustainable recycling program for end-of-life EVs batteries. Emerging battery technology of Telsa show the most effective designs for high performance batteries includes the use of silicon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capacity of batteries in the future.

가압형평막(한외여과막)과 자외선 및 오존발생 장치(AOP System)를 이용한 중수설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for Recycling Water System)

  • 김상식;한미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5-72
    • /
    • 2006
  • The amount of water demand at large buildings is increasing with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to city and a rise in the standard of living in the city area. In this reason the Water Shortage is expected and a problem of water pollution by the city sewerage is increasing. One of method of saving city water demand and city sewer is applying recycling water system witch make used water reuse by purification of water. The application of recycling water system witch make used performed since the application of Lotte World Complex. But the popularization of this system is not activated because of cost problem and feeling of people to the water recycled. So in this study, provide application method for recycling water system by propose the estimation method of optimal sizing of recycling water system.

부산시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처리수 재이용 방안 (Reuse Methods of Treated Sewage for securing Water Resource in Busan)

  • 김정배;문승건;박률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32-1237
    • /
    • 2009
  • Recently, we often encounter water shortage problem due to drought during dry season. Although we have built dams and expanded our tap water system greatly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water, this approach has its inherent limitation includ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the course of the dam construction. Therefore,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the water recycling model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and modify them to fit into our system. Also the water recycling system in Busan municipal area was analyzed to propose an alternative method for reusing the recycled water from wastewater treatment area.

  • PDF

정수슬러지로부터 중금속 용출 억제를 위한 최적 고화조건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for Suppression of Heavy Metal Elution from Water Treatment Sludge)

  • 이병대;김영찬;이진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9-384
    • /
    • 2005
  • In general, water treatment sludge (WTS) had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thus it made the reuse or recycling of WTS difficult. The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for maximum suppression of heavy metal elution from WTS were decided in this study. Under the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i.e., temperature, $320^{\circ}C;$ ratio of WTS and MgO, 9:1; solidification time, 1hr), all of heavy metal including aluminum were not detected. Therefore there are no problems for reuse or recycling of WTS which was solidified under the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found in the study.

물 재이용 연구개발 지원 및 활성화 정책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Water Reuse R&D Support and Water Reuse Vitalization Policy)

  • 김연식;이용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1호
    • /
    • pp.143-149
    • /
    • 2016
  • 본 연구는 물 재이용 연구개발 지원 및 물 재이용 활성화 정책 인식에 관한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물 재이용의 중요성 및 효과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물 재이용 활성화 정책 필요성, 물 재이용 절수제품 사업체 지원 필요성 및 물 재이용 정부 투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p<.001). 또한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사무 단순노무 종사자보다 관리자 전문가 판매 및 기능 종사자일수록, 빌라보다 주택 거주자일수록, 월평균 수도요금이 4만원대 이상일수록 물 재이용 정책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물 재이용 연구지원의 중요성 및 효과성 인식이 물 재이용 정책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물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 및 지원정책 마련에 근거를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