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 요인 분석을 위한 탐색 (Preliminary Research for Factor of Obstruc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 강현석;방기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23-13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factor of obstruc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we try to reconstruct curriculum for relevance and adequacy of educational content. There are many reasons for refusing miss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e searched the factor of obstruc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by survey and qualitative intervie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eachers are felt for strong demand of accountability and rigorous evalu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of these themes will be approached by grounded theory and qualitative study because of nature of the reconstruction problem.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searched by teacher in real context of instruction and teaching.

초등 교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nstruction Experience of Science Curriculum)

  • 임화영;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02-115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nstruct science curriculum and how they perceive about their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Two distinct types of reconstruction were found; restructuring within the subject and integrating between subjects. The teachers who were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from personal needs usually substitute, delete, add some contents or activities and change the order of unit within science subject. In contrast, the teachers who were participating in research school usually integrated science with other subjects, developing a new unit or project. The latter recognized the need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science curriculum more strongly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in implementing the reconstruction. Though they had som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students' interests and level of understanding and lack of time, all teachers valued curriculum reconstruction by relating it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dentity as a teacher, and job consciousness.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초등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Theory and Research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focusing on the chapter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신항균;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617-636
    • /
    • 1999
  • This study was executed with the intention of guiding ‘open education’ toward a desirable school innovation. The basic two direction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essential for implementing ‘open education’ are one toward intra-subject (within a subject) and inter-subject (among subjects). This study showed an example of intra-subject curriculum reconstruction with a problem solving area included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diverse strategies to enhance ability to solve problems are included at each grade level. In every elementary math textbook, those strategies are suggested in two chapters called ‘diverse problem solving’, in which problems only dealing with several strategies are introduced. Through this method, students begin to learn problem solving strategies not as something related to mathematical knowledge or contents but only as a skill or method for solving problems. Therefore, problems of ‘diverse problem solving’ chapter should not be dealt with separatedly but while students are learning the mathematical contents connected to those problems. Namely, students must have a chance to solve those problems while learn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oblem content(subject). By this reasoning, in the nam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oward intra-subject, this study showed such case with two ‘diverse problem solving’ chapters of the 4th grade second semester's math textbook.

  • PDF

내러티브가 교육과정 재구성에 주는 의미에 대한 소고 (Exploration of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Narrative)

  • 추갑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673-1682
    • /
    • 2016
  • The paper is the principle of a curriculum, a recent method of teaching-learning in pedagogy, and intended for the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which reconstructs curriculum by narrative through practical exploration and narrative being discussed as the form of exploration. To date, Korean education showed an inclination of the traditional paradigm centered thinking and has emphasized the results by the method of scientific investigation. Even a curriculum reconstruction demonstrates documents that produce results without actually demonstrating the actual school setting. With communication one another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we need the conversion of cognitive thinking that can express dilemma, contradictions, and complexities of the human world of which unexplainable by traditional paradigm mindset. Ultimately, the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that reflects a series of verbal, symbolic, and spiritual activities, which analyze lives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composing the meaning by using narrative, which talks about the experience of the human world in curriculums, is an important task for us.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선호도와 관련 변수 (Curriculum Orienta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Related Variables)

  • 류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
    • /
    • 1999
  •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identify beliefs about curriculum orientation of Korea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change of their curriculum orientation. The curriculum orientations explored were academic rationalism, technical, cognitive process, personal relevance, and social reconstruction. A mail questionnaire, Individual Curriculum Orientation Profile (ICOP), was used to survey randomly selected 525 home economics teachers. Home economics teachers agreed with the cognitive process as their predominant curriculum orientation. The second predominant type with which home economics teachers agreed most was personal relevance orientation. Home economics teachers’age, major, college type, and teaching yea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cademic rationalism curriculum orientation, and the college type for bachelor’s degre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echnical curriculum orientation. Age and major in master’s degre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ocial reconstruction curriculum orientation.

  • PDF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mathematics curriculum reconstruction)

  • 이동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67-588
    • /
    • 2019
  • 교육과정이 수시 개정 체제로 변화되면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권한이 강화되었다. 더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자로서의 교사 역할 또한 중요해졌다. 그런데 선행연구들에서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교육과정 실천 의지에 대하여는 부정적'이라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위계성이 강한 수학 과목의 특성과 고등학교 교사들이 평가에 민감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등학교 수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자로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면담 대상자로 참여한 교사 10명을 교직 경력을 10년 단위로 하여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각 집단을 대상으로 각각 2차시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자로서의 교사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지 관찰할 수 있었다.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 (A Study on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for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sychoanalytic 'Desire of Subject')

  • 김선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77-11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두 가지 영역에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그 첫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을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과 '욕망의 주체를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에 따른 세부목적은 '말하는 존재로서의 주체 구성하기'와 '욕망의 자율적 원천으로서의 주체 깨닫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을 재구성하는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이루며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로서 살아가도록 길인도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두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 및 이에 따른 세부내용'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를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와 '사랑의 교육과정을 통해 전인성 형성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이에 따른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세부내용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의 진실 깨닫기'와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 실천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과제 및 세부내용의 재구성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을 실천하며 사는 전인적 '욕망의 주체'가 되도록 길인도 하는 데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별(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로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실제를 제시한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물이 현장에서 활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교육적 실천을 제안하고, 본 연구 결과물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전망을 함으로써 본 연구의 여정을 마무리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교육과정재구성 담론의 재구성 (Reconstruction of Discourse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 김대영;우옥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9-16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대안적 담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이라는 큰 틀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논의가 교육내용 선정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논문은 학습자 흥미를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에 포함시킴으로써 그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ewey의 성장, 습관, 흥미의 개념이 어떻게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과 연계될 수 있는지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재구성 논의를 풍부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실제 학교 수업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흥미를 바탕으로 교육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해야 할지를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학교성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연구 (Field Research on the Effects of School Sex Education Using Reconstructed Curriculum)

  • 강미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0-3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 school sex education and its effect on character cultivation by reconstructing a unit, sex and health, included in the current health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he study is a mixed research which utilized both two-way ANOVA & MANOVA method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 total of 279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test and the sex education program using the reconstructed curriculum. Then, a total of 253 participated in the post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 school sex education (p<.05) and in character (p<.05)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total test for character cultivation, there were no interacting effects between the test and gender (p>.05). Also,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program helped students to build character including self-care skills Conclusion: By revising the unit of sex and health to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students, curriculum reconstruction increased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aracter cultivation.

제7차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An Evaluative Study on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028-10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수준에서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3개 시도의 140개표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7개 학교를 방문하여 18시간의 과학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후 심층 교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 자료를 기초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각 구성요소별로(즉,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1)운영(재구성) 실태와 (2)재구성 내용에 반영된 학습자 중심 및 다양화 특성화 측면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려운 이유 및 개선점을 점검하였다. 대부분의 초등 교사들은 과학과 수업목표는 물론 내용, 방법 및 평가의 모든 측면에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었으며, 재구성 시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내용 제시 순서를 바꾸거나 일부 단원이나 주제를 첨삭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언의 형태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