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3000/JFMSE.2012.24.1.123

Preliminary Research for Factor of Obstruc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Kang, Hyeon-Suk (Kyunpook National University)
Bang, Gi-Yong (Mun-jang Elementary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24, no.1, 2012 , pp. 123-1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factor of obstruc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we try to reconstruct curriculum for relevance and adequacy of educational content. There are many reasons for refusing miss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e searched the factor of obstruc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by survey and qualitative intervie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eachers are felt for strong demand of accountability and rigorous evalu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of these themes will be approached by grounded theory and qualitative study because of nature of the reconstruction problem.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searched by teacher in real context of instruction and teaching.
Keywords
Curriculum reconstruction; Obstruction factor; Textbook reconstru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한균.김회용.김두규(2011). 스토리텔링 기반의 교수-학습 과정안 구안 및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302-318.
2 강현석.박영무.이원희.박창언.유제순.이자현(2006). 학교 교육과정 설계론의 새 지평,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3 강현석. 이자현(2006).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교육과정연구, 24(1), 153-180.
4 강현석(2007).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내러티브에 의한 수업비평의 지평과 가치탐색, 교육과정연구, 25(2), 1-35.
5 강현석(2011). 현대 교육과정 탐구, 서울: 학지사.
6 교육과학기술부(200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서울:교육부.
7 권낙원 외(2011).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론, 경기:공동체.
8 김대현(1999). 학교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한 교직원 개발 모형 탐색,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38, 197-211.
9 김대현. 김혜나(2011). CBAM의 관심단계에 관한 쟁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162-181.
10 김평국(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교육과정연구, 22(2), 135-161.
11 김평국(2005).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향, 교육과정연구, 23(4), 91-130.
12 박소영. 김대현(2008).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 편성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168-183.
13 박순경 외(2002).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II):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백승수(1999). 교육과정 지각, 교육과정 재구성 및 교수-학습방법 적용간의 관련성,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경혜(2009).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과정연구, 27(3), 159-189.
16 서명석(2011).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교육과정연구, 29(3), 75-92.
17 성경희 외(2003). 제7차 교육과정이 현장 운영 실태 분석(I).: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성열관, 이민정(2009). 교육과정 일치도 및 컨텐츠 맵의 유용성과 비판적 활용 방안, 교육과정연구, 27(3), 63-82.
19 신영수.강현석(2011).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장학 모형 개발의 예비적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486-502.
20 전현정(2006). 교사에 의한 내러티브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전략,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인효 외(1998). 열린교육을 위한 초등 교육과정 재구성, 서울: 교육과학사.
22 허영주(2011).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9(1), 137-163.
23 홍영기.안경찬.변보미(2006). 초등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 서울: 양서원.
24 Barnes, D.(1992).The significance of teachers' frames for teaching, in Russell, T. and Munby, H.(eds), Teachers and teaching(9-32). London: The Falmer Press. 9-32.
25 Ben-peretz, M.(1990). The Teacher-Curriculum Encounter: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 of Texts, New York: SUNY Press.
26 Shulman,LS.(1986).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In M. C.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3rd edition, 3-36), New York: Macmillan.
27 Synder, J., Bolin, F. & Zumwalt, K.(1992).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P. Jackson(E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New York: Macmillan.
28 Walker, D. F.(1991). Fundamentals of Curriculum, San Diego: Harcourt Brace Javannovich,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