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19.38.1.102

A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nstruction Experience of Science Curriculum  

Lim, Hwa Young (Kangrim Elementary School)
Yoon, Hye-Gyoung (Chnu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38, no.1, 2019 , pp. 102-1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nstruct science curriculum and how they perceive about their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Two distinct types of reconstruction were found; restructuring within the subject and integrating between subjects. The teachers who were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from personal needs usually substitute, delete, add some contents or activities and change the order of unit within science subject. In contrast, the teachers who were participating in research school usually integrated science with other subjects, developing a new unit or project. The latter recognized the need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science curriculum more strongly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in implementing the reconstruction. Though they had som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students' interests and level of understanding and lack of time, all teachers valued curriculum reconstruction by relating it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dentity as a teacher, and job consciousness.
Keywords
elementary teacher; science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성문(2016). 초등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현석, 이지은(2018). 백워드 설계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방안.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 329-339.
3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고시 제 2015-74호 [별책1]). 교육과학기술부(2015. 9. 23).
4 김지현(2016). '교육과정 재구성' 용어에 관한 혼란과 그 대안 탐색.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진필, 박종률, 박대원(2012). 중등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1), 31-50.
6 김평국(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향. 교육과정 연구, 22(2), 135-161.
7 김현규(2015). 국가교육과정 문서 안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용어의 의미연역. 통합교육과정 연구, 9(2), 54-82.
8 박윤경, 정종성, 김병수(2015).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초등교육연구, 28(4), 117-143.
9 서경혜(2016). 교육과정 재구성 논쟁. 교육과정연구, 34(3), 209-235.
10 서경혜(2009).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과정연구, 27(3), 159-189.   DOI
11 서명석(2011).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교육과정연구, 29(3), 75-91.
12 손다정(2016).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연형(2006).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태와 실천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자연(2008).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식과 특징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추갑식, 신재한(2015).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통합 및 재구성 유형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54(1), 120-137.
16 한신영(2014).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허영주(2011).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9(1), 137-163.
18 박은영(2012).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경순(2010).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설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Ben-Peretz, M. (1990). The teacher-curriculum, encounter: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 of text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1 Gribman, A. B. & Blum, A. (1985). Curriculum adaptation in: Husen T., & Postwaite T. N. (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supplementary 1. Oxford: Pergamon Press.
22 Lincoln, Y. S. & Guba, E. G. (1990). Judging the quality of case study report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3(1), 53-59.   DOI
23 Marsh, C. & Willis, G. (1994). Curriculum: An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Columbus, OH: Merrill.
24 Smylie, M. A. (1994). Curriculum adaptation. In: Husen T. Postwaite T. N. (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supplementary 1. Oxford: Pergam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