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time face detection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8초

화자(話者)와 스마트폰의 거리 측정을 위한 다중 색 좌표계와 다중 임계치 기반 실시간 얼굴검출 (Real-Time Face-Detection Based on Multiple Color-Spaces and Multiple Thresholds for Distance Measurement Between Speaker and Smart-Phone)

  • 이재원;권구락;홍성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81-493
    • /
    • 2011
  • 모바일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핸드폰에 수많은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영상 통화 기능도 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와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중 색좌표계와 다중 임계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피부색의 색상정보에 근거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한다. 두 번째로 검출된 얼굴영역의 크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화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얼굴영역 검출 알고리즘 개발에 있어 고려한 점은 스마트폰의 기본기능과 함께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할 정도로 연산량이 적어야 하며, 움직임이 많은 핸드폰의 특성상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과 조명 및 배경에 따라 검출된 얼굴 영역이 급격히 변화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얼굴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TS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영역 검출 (Real Time Face Detection with TS Algorithm in Mobile Display)

  • 이용환;김영섭;이상범;강정원;박진양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64
    • /
    • 2005
  • This study presents a new algorithm to detect the facial feature in a color image entered from the mobile device with complex backgrounds and undefined distance between camera's location and the face. Since skin color model with Hough transformation spent approximately 90$\%$ of running time to extract the fitting ellipse for detection of the facial feature, we have changed the approach to the simple geometric vector operation, called a TS(Triangle-Square) transformation.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his gives benefit of reduced run time. We have similar ratio of face detection to other methods with fast speed enough to be used on real-time identification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PDF

PCA-Base Real-Time Face Detection and Tracking

  • Jung, Do-Joon;Lee, Chang-Woo;Lee, Yeon-Chul;Bak, Sang-Yong;Kim, Jong-Bae;Hyun Kang;Kim, Hang-Joo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1
    • /
    • pp.615-618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face detection and tracking a method in complex background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echnique. For the detection of a face, first, we use a skin color model and motion information. And then using the PCA technique the detected regions are verified to determine which region is indeed the face. The tracking of a face is based on the Euclidian distance in eigenspace between the previously tracked face and the newly detected faces. Camera control for the face tracking is done in such a way that the detected face region is kept on the center of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pan/tilt platform. The proposed method is extensible to other systems such as teleconferencing system, intruder inspection system, and so on.

  • PDF

능동적 조명을 이용한 실시간 복합 얼굴 검출 (Real-Time Multiple Face Detection Using Active illumination)

  • 한준희;심재창;설증보;나상동;배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55-16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동공 검출을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공검출기는 눈의 역반사 특성을 이용한 능동적 조명을 사용하여 검출을 용이하도록 하였고. 제안된 방법의 검출 범위는 소형컴퓨터나 무인정보 단말기 등의 활용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동공 후보 영역을 계산하여 검출한 후, 학습 규칙을 사용하여 얼굴에 대응하는 두 개의 지점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얼굴 검출 성능을 증명하기 위하여, 얼굴의 최대 돌출 부위를 지정 할 수 있는 이중 모드의 얼굴 추적 장치를 개발하였다. 추정치와 복합 얼굴 검출기의 측정치를 결합하여 특징 관계를 추적함으로 처리의 안정성을 높였으며 또한, 실시간으로 서보의 제어 장치를 원격 조정하여 항상 카메라가 이미지의 중앙을 추적하도록 함으로서 얼굴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HCr과 적응적 임계화에 의한 고속 얼굴 검출 (Fast Face Detection in Video Using The HCr and Adaptive Thresholding Method)

  • 신승주;최석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6호
    • /
    • pp.61-71
    • /
    • 2004
  • 얼굴검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나 아직도 실시간성의 확보는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연속영상에서 컬러와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피부색 검출을 위한 컬러공간은 조명의 변화에 강인하고 피부색을 좁은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는 Hue와 Cr성분을 조합하여 재구성한 HCr을 사용한다. 배경참조영상 기반에서 밝기와 Cr 성분을 함께 사용하여 획득한 움직임 영역에서, HCr과 적응적 임계값을 이용해서 피부색 영역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영역의 모양과 크기정보를 통해 얼굴 후보영역을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얼굴후보영역에서 G와 B성분의 차이, 밝기, Cr성분 값과 눈과 입의 위치 및 거리관계를 이용하여 눈과 입을 검출하여 얼굴을 확정한다. 실험결과 연속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얼굴을 검출 할 수 있었다.

능동적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실시간 3차원 얼굴 방향 식별 (Real Time 3D Face Pose Discrimination Based On Active IR Illumination)

  • 박호식;배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727-73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능동적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3차원 얼굴 방향 식별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적외선 조명 하에서 밝게 나타나는 동공을 효과적으로 실시간 검출하여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다른 방향의 얼굴들에서 동공의 기하학적 왜곡을 탐지하여, 3차원 얼굴 방향과 동공의 기하학적 특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유한 눈 특징 공간을 구축하였고, 입력된 질의 영상에 대한 3차원 얼굴 방향을 고유한 눈 특징 공간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얼굴 방향을 측정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카메라에 근접한 실험 대상자들에 대하여 최소 94.67%, 최고 100%의 식별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성능 실시간 얼굴 검출 엔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High Performance Face Detection Engine)

  • 한동일;조현종;최종호;조재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2호
    • /
    • pp.33-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로봇 시각 처리 활용을 위한 실시간 얼굴 검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조명 변화에 강인하고 초당 60 프레임 이상의 속도로 처리된다.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특성 추출을 위해 MCT(Modified Census Transform) 변환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AdaBoost 알고리즘은 얼굴 특징 데이터의 학습 및 생성을 하며, 이 생성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해 얼굴 검출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이미지 크기 조정부, MCT 생성부, 후보 얼굴 검출부, 신뢰도 비교부, 좌표 재조정부, 데이터 그룹화부, 검출 결과 표시부로 구성된 얼굴 검출 하드웨어 구조 및 Xilinx사의 Virtex5 LX330 FPGA를 이용한 하드웨어 구현 검증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카메라로 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를 이용해 검증한 결과로 초당 최대 149프레임의 속도로 한 프레엠 당 최대 32개 얼굴을 검출함을 확인하였다.

Speaker Detection and Recognition for a Welfare Robot

  • Sugisaka, Masanori;Fan, Xinjia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835-838
    • /
    • 2003
  • Computer vision and natural-language dialogue play an important role in friendly human-machine interfaces for service robots.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integrated face detection and face recognition system for a welfare robot, which has also been combined with the robot's speech interface. Our approach to face detection is to combine neural network (NN) and genetic algorithm (GA): ANN serves as a face filter while GA is used to search the image efficiently. When the face is detected, embedded Hidden Markov Model (EMM) is used to determine its identity. A real-time system has been created by combining the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techniques. When motivated by the speaker's voice commands, it takes an image from the camera, finds the face inside the image and recognizes it. Experiments on an indoor environment with complex backgrounds showed that a recognition rate of more than 88% can be achieved.

  • PDF

Automatic face detection using chromaticity space and deformable templates

  • Lee, Kwansu;Lee, Sung-Oh;Lee, Byung-Ju;Park, Gwi-Tae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28.1-28
    • /
    • 2001
  • An automatic face recognition(AFR) of individuals is a significant problem in the development of computer vision. An AFR consists of two major parts which are detection of face region and recognition process, and the overall performance of AFR is determined by each. In this paper, the face region is acquired using chromaticity space, but this face region is a simple rectangle which doesn´t consider the shape information. By applying deformable templates to the face region, we can locate the position of the eyes in images. With the face region and the eye location information, more precise face region can be extract from the image. Because processing time is critical in real-time system, we use simplified eye templates and the modified energy function for the efficiency. We can get a good detection performance in experiments.

  • PDF

Development of Pose-Invariant Face Recognition System for Mobile Robot Applications

  • Lee, Tai-Gun;Park, Sung-Kee;Kim, Mun-Sang;Park, Mig-N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783-788
    • /
    • 200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approach to detect and recognize human face in the image from vision camera equipped on the mobile robot platform. Due to the mobility of camera platform, obtained facial image is small and pose-various. For this condition, new algorithm should cope with these constraints and can detect and recognize face in nearly real time. In detection step, ‘coarse to fine’ detection strategy is used. Firstly, region boundary including face is roughly located by dual ellipse templates of facial color and on this region, the locations of three main facial features- two eyes and mouth-are estimated. For this, simplified facial feature maps using characteristic chrominance are made out and candidate pixels are segmented as eye or mouth pixels group. These candidate facial features are verified whether the length and orientation of feature pairs are suitable for face geometry. In recognition step, pseudo-convex hull area of gray face image is defined which area includes feature triangle connecting two eyes and mouth. And random lattice line set are composed and laid on this convex hull area, and then 2D appearance of this area is represented. From these procedures, facial information of detected face is obtained and face DB images are similarly processed for each person class. Based on facial information of these areas, distance measure of match of lattice lines is calculated and face image is recognized using this measure as a classifier. This proposed detection and recognition algorithms overcome the constraints of previous approach [15], make real-time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possible, and guarantee the correct recognition irregardless of some pose variation of face. The usefulness at mobile robot application is demonstr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