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process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5초

독해력 증진을 위한 초인지적 관점의 독해수업에 관한 고찰 (The Metacognitively Based View of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 황희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28-40
    • /
    • 1996
  • In the last 20 years, educators have made significant advances in their thinking about how students learn and what it is that teachers ought to teach. They attempted to teach thinking s kills and designed instructional programs to facilitate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metacognitive approaches in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and to provid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school teachers.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Metacognition can be divided by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etacognitive experiences. Metacognitive knowledge consists of knowledge or beliefs about what factors interact to affect the outcome of cognitive enterprises. Metacognitive experiences are executive control of one's own cognitive process, which include planning, monitorning and evaluating. Secon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metacognitively based view. Third, this study reviewed three kinds of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In the metacognitive approaches, instruction is viewed as constructive process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mediate and negotiate meaning from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reading comprehension, teachers should use examples, explicit instruction, modeling, and elaboration to provide sufficient scaffolding to students. The scaffolding gradually diminishes as students learn to use and apply the reading strategies on their own. Also,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attribute successful reading to the use of appropriate strategies.

  • PDF

창의적 글쓰기를 활용한 읽기와 쓰기 통합지도용 학습독서 전략 개발 (Development of Reading Strategies to Learn for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through Creative Writing)

  • 변우열;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5-14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에서 읽기와 쓰기를 통합 지도 할 수 있는 학습독서 전략을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읽기와 쓰기 전략은 인지과정에 기반을 둔 절차와 관련된 간접전략과, 절차의 성공적 수행을 도와주는 직접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학습독서 전략을 교수설계모형에 해당하는 간접전략과 모형의 각 단계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담은 직접전략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독서가 프로그램 형태로 운영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간접전략인 기본 모형을 준비-설계-운영-평가와 같이 4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읽기와 쓰기를 통합 지도하는 학습독서 운영 단계는 '주제정하기-목차쓰기-탐구하기-집필하기-수정하기-출판하기'와 같이 6단계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운영 단계별로 읽기와 쓰기 활동을 구체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직접전략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chema for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57
    • /
    • 2009
  • 본 연구는 독서과정에서 배경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초연구로서 독서의 과정과 스키마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현황을 점검해 보았다. 스키마 활성화를 위해 학교도서관에서 필요한 독서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SQ3R독서법을 적용하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지도안을 설계하고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학습 활동지를 제작하여 학교도서관에서 수업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검토의 결과를 수업모형에 반영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A Study on Exploring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35-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Effects of Cultural Teaching through Movies in English Classes on EFL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Reading

  • Baek, Ji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77-182
    • /
    • 2020
  • In the age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ng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s significantly important. Regarding this perspective,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the focus in the EFL educationa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movies in a culture-integrated English reading course at the colleg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re-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tests, pre- and post-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using movies in the culture-integrated English reading class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s English reading as well as their reading achievement. In this respect, we suggest that cultural teaching through movies in English classes should be learner-centered so that learners can proactively analyze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hown in the movies and build schemas which can be used in their learning process.

The Guessing Model Revisited: A Case Study of a Korean Young Learner

  • Yim, Su Y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3호
    • /
    • pp.273-290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involving one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 and people around him in order to explore the reading process in English of a young Korean EFL learner and to investigate the social context in which his reading takes place. Six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ne primary school student and five adult participants). The student participant was asked to read a text in English and translate what he read into Korean and the teach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student's reading.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student as well as five adult participants (his private tutor, his parent, his state school teacher, and two other state school teachers). The analysis reveals four characteristics of the way a young EFL learner approaches reading: word-by-word reading, disconnected word recognition, selective use of cues, and lack of awareness of difficulties. The four characteristics of Kilsu's reading suggest that reading can become a wild guessing game for young foreign learners, if they give selective attention to unimportant cues while reading.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to help teachers designing reading lessons for young learners.

  • PDF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 196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 Focus in 196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1-294
    • /
    • 2007
  • 이 연구는 196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 경향을 조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기는 공교육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에 대한 학문적이며 정책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1960년대 독서 및 독서 교육의 제반 현상들을 주로 신문 자료를 토대로 기술함으로, 일종의 '독서 사회'의 형성 과정을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살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첫째, 1960년대의 독서 경향으로써 1) 일반 독서 경향 2) 학생 독서 실태를 둘째, 독서 대중화 운동으로서 1) 도서관의 독서 운동 2) 마을문고와 독서 운동을 등으로 대별하여 그 양상을 고찰했다.

  • PDF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수학동화유형에 따른 수학적 담화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Math Talks' during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th Storybook Used)

  • 홍혜경
    • 아동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3-77
    • /
    • 201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ath talks' between concept-based storybook reading and contex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The teachers carried out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using either four concept-based storybooks or four context-based storybooks. Fifty-six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from seven kindergarten classrooms were observ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udio recordings. The transcriptions of 'math talks' during storybook reading activity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he levels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types of mathematizing, and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volv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th talks' during the concep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ex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in terms of both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and in quantifying and redescribing of mathematizing. However, the 'math talks' during the contex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cep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in connecting and reasoning of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volv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improve the level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during math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67-3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및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하여 이들 리터러시의 개념적 차이를 통한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동시대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리터러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리터러시는 IT와 ICT 리터러시로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결과로, 매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용어가 변화되어 온 이들 리터러시를 매체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였고, 텍스트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둔 독서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과정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여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도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는 매체에서 드러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평가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독자들의 독서 및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의 실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Aspect of "the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 소병문;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8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독서 활동은 교과 지식과 이원화되어 정규 교과 수업 시간 밖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국어" 정규 수업 시간 내 이뤄지는 독서 활동으로, <읽기-생각나누기-표현하기>를 기본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실재 11종 "국어" 교과서 22개 유형의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한 권 읽기는 <도서 정하기-읽기-표현하기>로 실현되었다. 단계별 학교도서관과 협력방안으로, 도서 정하기 단계는 학교도서관을 대상 도서 검색 공간으로 활용하고, 읽기 단계는 독서전략을 추가, 보완해 독서일지를 재구성하며, 표현하기 단계는 기존 독후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권 읽기의 단계별로 협력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