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ue management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32초

복수휴가형 이산시간 GI/G/1 대기체계에 대한 수정부가변수법 (On the Modified Supplementary Variable Technique for a Discrete-Time GI/G/1 Queue with Multiple Vacations)

  • 이두호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04-313
    • /
    • 2016
  • This work suggests a new analysis approach for a discrete-time GI/G/1 queue with multiple vacations. The method used is called a modified supplementary variable technique and our result is an exact transform-free expression for the steady state queue length distribution. Utilizing this result, we propose a simple two-moment approximation for the queue length distribution. From this, approximations for the mean queue length and the probabilities of the number of customers in the system are also obtained. To evaluate the approximations, we conduct numerical experiments which show that our approximations are remarkably simple yet provide fairly good performance, especially for a Bernoulli arrival process.

도착시점방법에 의한 M/Gb/1 대기행렬의 분석 (Analysis of the M/Gb/1 Queue by the Arrival Time Approach)

  • 채경철;장석호;이호우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6-43
    • /
    • 2002
  • We analyze bulk service $M/G^{b}/1$ queues using the arrival time approach of Chae et al. (2001). As a result, the decomposition property of the M/G/1 queue with generalized vacations is extended to the $M/G^{b}/1$ queue in which the batch size is exactly a constant b. We also demonstrate that the arrival time approach is useful for relating the time-average queue length PGF to that of the departure time, both for the $M/G^{b}/1$queue in which the batch size is as big as possible but up to the maximum of constant b. The case that the batch size is a random variable is also briefly mentioned.

QoS 적응형 플로우 기반 Active Queue Management 알고리즘 및 성능분석 (QoS Adaptive Flow based Active Queue Management Algorithm and Performance Analysis)

  • 강현명;최환석;이우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80-91
    • /
    • 2010
  • 방송 통신의 융합에 따라 차세대 멀티미디어 서비스인 IPTV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IPTV 서비스는 무한한 채널수용과 미디어의 확장, 품질이 보장되는 서비스의 형태로 발전되면서 기존 네트워크의 트래픽 증가와 서비스 특성에 맞는 품질제어 기술들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플로우별 서비스 품질 제어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도 인터넷 상에서 IP QoS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버퍼 관리 메커니즘으로 RED(Random Early Detection) 알고리즘 및 RED를 변형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QoS를 요구하는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각 서비스가 요구하는 목표 패킷 손실률을 유지시킬 수 있는 QoS적응형 플로우 기반 AQM (Active Queue Management)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ns-2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 분석을 제시하였다.

Dynamic Optimization of Active Queue Management Routers to Improve Queue Stability

  • Radwan, Amr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375-1382
    • /
    • 2015
  •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umerical methods for solving the optimal control theory to model bufferbloat problem. Mathematical tools are useful to provide insight for system engineers and users to understand better about what we are facing right now while experiment in a large-scale testbed can encourage us to implement in realistic scenario.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urvey of the numerical methods for solving the optimal control problem. We propose the dynamic optimization sweeping algorithm for optimal control of the active queue management. Simulation results in network simulator ns2 demonstrate that our proposed algorithm can obtain the stability faster than the others while still maintain a short queue length (≈10 packets) and low delay experience for arriving packets (0.4 seconds).

A Batch Arrival Queue with Bernoulli Vacation Schedule under Multiple Vacation Policy

  • Choudhury Gautam;Madan Kailash C.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2권2호
    • /
    • pp.1-18
    • /
    • 2006
  • We consider an $M^x/G/1$ queueing system with Bernoulli vacation schedule under multiple vacation policy. where after each vacation completion or service completion the server takes sequence of vacations until a batch of new customer arrive. This generalizes both $M^x/G/1$ queueing system with multiple vacation as well as M/G/1 Bernoulli vacation model. We carryout an extensive analysis for the queue size distributions at various epochs. Further attempts have been made to unify the results of related batch arrival vacation models.

IP 네트워크에서 혼잡제어를 위한 새로운 Active RED 알고리즘 (A New Active RED Algorithm for Congestion Control in IP Networks)

  • 구자헌;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4호
    • /
    • pp.437-446
    • /
    • 2002
  • 기존의 인터넷 라우터는 Drop tail 방식으로 패킷을 관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트래픽의 지수적인 증가로 인한 혼잡 상황으로 발생하는 패킷 손실을 해결 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RED(Random Early Detection) 알고리즘과 같은 능동적인 큐 관리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RED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매개 변수의 설정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잘못된 매개변수 설정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ED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ARED (Active Random Early Detection)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ARED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특성에 맞추어 동적으로 매개변수를 조절하므로서 기존의 RED 알고리즘을 개선한 알고리즘이다. ns(network simulation)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ARED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심층강화학습 기반 서비스 그룹별 큐 관리 메커니즘 (A Queue Management Mechanism for Service groups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정설령;이성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99-1104
    • /
    • 2020
  •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응용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 흐름 별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것은 이상적이지만, 이를 실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서비스 품질 요구조건이 같거나 비슷한 여러 흐름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지정하고, 그룹별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방안이 효율적이다. 라우터에서 적용되는 큐 관리 메커니즘은 데이터의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서비스 별로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지능적이고 적응적인 큐 관리 메커니즘 기능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일정 기간 유입되는 각 흐름 그룹의 트래픽 정보와 현재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별 패킷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심층강화학습 기반의 지능형 큐관리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라우터 버퍼 관리 기반 체증 제어 방식의 최적화를 위한 자체 적응 알고리즘 (A Self-Adaptive Agorithm for Optimizing Random Early Detection(RED) Dynamics)

  • 홍석원;유영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3097-3107
    • /
    • 1999
  •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Random Early Detection(RED) algorithm as an active queue management and congestion avoidance scheme in the Internet. In this paper we first overview the characteristics of RED and the modified RED algorith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se studies. Then we analyze the RED dynamics by investigating how RED parameters affect router queue behavior. We show the cases when RED fails since it cannot react to queue state changes aggressively due to the deterministic use of its parameters. Based on the RED parameter analysis, we propose a self-adaptive algorithm to cope with this RED weakness. In this algorithm we make two parameters be adjusted themselves depending on the queue states. One parameter is the maximum probability to drop or mark the packet at the congestion state. This parameter can be adjusted to react the long burst of traffic, consequently reducing the congestion disaster. The other parameter is the queue weight which is also adjusted aggressively in order for the average queue size to catch up with the current queue size when the queue moves from the congestion state to the stable state.

  • PDF

실시간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상태 의존 RED 및 동적 스케줄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te Dependent RED and Dynamic Scheduling Scheme for Real-time Internet Service)

  • 유인태;홍인기;서덕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B호
    • /
    • pp.823-833
    • /
    • 2003
  • 인터넷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큐 관리 및 스케줄링 기법이 고도화되어야 한다. 기존의 큐 관리 기법은 TCP 플로우의 혼잡을 제어하는 기능은 제공하고 있으나 실시간 서비스 지원에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큐가 어느 정도 점유된 이후 계속적인 버스트 성의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특히 큰 지터 값으로 인해 실시간 전송에 부적절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대 임계값과 큐 가중치 등의 RED 파라미터를 큐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지연 및 지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태 의존 RED (SDRED; State Dependent Random Early Detection) 큐 관리 및 동적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큐 상태에 따라 RED의 최대 임계값과 큐 가중치를 네 개의 서로 다른 레벨로 변경하여 트래픽 상황에 적응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SDRED가 평균 큐 크기를 가지는 RED나 평균 큐 크기를 가지지 않고 현재의 큐 크기를 사용하여 흔잡을 제어하는 BLUE, 그리고 RED 게이트웨이의 수율이나 지연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제안된 ARED 및 DSRED에 비해 낮은 지연 값과 안정적인 지터 값을 나타냄을 검증하였다.

TCP/IP 네트워크에서 ARED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Improve ARED Algorithm in TCP/IP Network)

  • 남재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7-183
    • /
    • 2007
  • 인터넷에서 종단간 혼잡제어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제안된 라우터에서 큐에 적용되어 패킷을 폐기하는 방법으로 능동적 큐 관리(AQM;Active queue management)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IETF에서 제안된 AQM 알고리즘은 RED(Random Early Detection) 방식이다. RED 알고리즘은 망의 높은 처리율과 낮은 평균 지연을 얻기 위해 네트워크에서 운영된다. 하지만 평균 큐 길이는 네트워크의 혼잡 레벨에 민감한 결과를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RED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메터의 민감성을 감소시키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정련된 적응 RED(RARED; Refined Adaptive RED)를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전체의 개선된 RARED 알고리즘을 관찰하고 RARED가 패킷 폐기율의 감소와 성공적인 전송률의 개선이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