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PCR

검색결과 1,376건 처리시간 0.039초

C2C12 myotube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I 이 FAT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sulin-like Growth Factor-I Induces FATP1 Expression in C2C12 Myotubes)

  • 김혜진;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284-12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C2C12 근육 세포에서 IGF-I이 지방산 저장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FATP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IGF-I이 FATP1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을 유의성 있게 조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골격근에서 IGF-I이 근육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여 근부피 유지 및 증대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연구 패턴들에서 벗어나, IGF-I이 골격근 세포의 분화에 있어 지방산의 수송을 담당하는 FATP1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IGF-I에 의한 FATP1의 지방산 저장의 수준과 산화 과정에 있어 상호작용하는 기타 매개체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2C12 근육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홍경천-홍삼 추출물 혼합액 발효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Ferments of Hot-water Extract Mixture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nd Red Ginseng on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

  • 윤보라;김영현;이종석;홍희도;이영경;조장원;김영찬;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85-4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피로 회복 또는 원기 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경천과 홍삼을 이용하여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H_2O_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시킨 C2C12 근육세포에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처리한 후, 세포의 morphology, cell viability 및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C2C12 근육세포의 cell viabil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Cu/Zn-SOD, Mn-SOD 및 GPx 등과 같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세포 분화의 주요 전사인자인 Myo D의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 시스템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in vivo 시스템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을 이용한 항피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홍화, 홍화씨 추출물이 MC3T3E1 세포의 골분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fflower and Safflower Seed Extract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 유성률;신선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8-52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urifi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inne) and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seed; CS) extract, using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 methods , on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Methods The safflower and safflower seed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ethanol. The samples were concentrated by a rotary evaporator and then freeze-dried using a freeze-dryer. The MC3T3E1 cells were propagated and maintained in DMEM (Gibco) containing 10% FBS and a 1% antibiotic antimycotic solution. To indu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the cells were treated for 14 days with DMEM with 10 mM β-glycerophosphate and 50 μM ascorbic acid. Extract doses were confirmed by the results of an MTT assay, and treatment of the extracts was performed in a differentiation medium every two days. The ALP staining and activity were tested after osteogenic differentiation for five days, and after 14 days,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alizarin red S staining. The mRNA expressions of osteogenic-related genes were quantifi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MTT assay, all concentrations of safflower extracts had no toxicity in the MC3T3El cells. But in the groups of 100 ng/ml and 200 ng/ml concentrations of safflower seed extracts,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up to 40-50%. So we fixed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at 50 ng/ml. In the ALP and alizarin red S staining, all extract groups increas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water-safflower extract group showed the highest mRNA level of Alp, Runx2, and Dlx5 genes. The mRNA level of Ocn, an osteogenic gene related to late-stage differentiation, in the ethanol-safflower extract group increased the mineralization more significantly than in other groups.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xtract of safflower increases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ctivates of MC3T3E1 cells like the extract of safflower seed. The water-extract and ethanol-extract of safflower have effects on different stages of osteogenesis in MC3T3El. Not only safflower seed but also safflower will be useful therapeutic reagents for age-associated chronic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바이오에너지 작물 소재로서 자트로파의 염과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상반되는 생리적 특성과 아쿠아포린(JcPIP2)의 발현 (Conflict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quaporin (JcPIP2) Expression of Jatropha (Jatropha curcas L.) as a Bio-energy Crop under Salt and Drought Stresses)

  • 장하영;이지은;장영석;안성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83-191
    • /
    • 2011
  • 열대작물인 자트로파의 염과 가뭄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유전자 발현의 연구를 통해 바이오에너지 작물로서의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100{\cdot}200{\cdot}300$ mM NaCl의 염 스트레스와 $5{\cdot}10{\cdot}20{\cdot}30$% PEG의 가뭄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잎의 생장, 기공의 전도도, 엽록소 형광, 전해질 유출량을 조사하였다. 자트로파의 잎의 생장, 기공의 전도도, 엽록소 형광, 전해질 유출량을 통한 생육조사 결과 가뭄 스트레스 보다 염 스트레스에서 더 많은 피해를 입었다. 2. 수분 수송과 관련된 아쿠아포린 중에서 JcPIP2가 뿌리, 줄기, 떡잎 그리고 잎에서 모두 고르게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잎의 JcPIP2는 대조구와 가뭄 스트레스 처리구에서 모두 발현하는 반면, 200 300 mM NaCl 처리구에서는 잎에서 발현하지 않았다. 3. 염과 가뭄 스트레스에서 JcPIP2가 상반되는 반응을 보이는 것은 JcPIP2가 염 스트레스 관련 주요 내재 단백질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자트로파는 염 스트레스보다 가뭄 스트레스에 더 내성을 보이므로 간척지보다는 가뭄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착상전 이배체 단위발생 돼지난자의 체외 배양에서 세포사멸과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Apoptosis and Apoptosis Related Gene Expression in Preimplantation Porcine Diploid Parthenotes Developing In Vitro)

  • X. S. Cui;Kim, I. H.;Kim, N. H.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9-177
    • /
    • 2003
  • 본 연구는 착상전 이배체 단위발생 돼지난자를 체외 배양시 우태아혈청 (FBS), 우혈청 알부민 (BSA) 및 상피세포성장인자 (EGF)를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배반포, 총 세포수, 세포사멸 및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0.4% BSA를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2세포기 단위발생 난자의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이 증가되었다(P<0.01). FBS는 배반포의 총세포수를 감소시 켰고 세포사멸을 증가하였다(P<0.01). 그리고 EGF는 BSA가 존재하는 조건하에서 배반포의 총세포수를 증가하였는데 EGF와 BSA가 각각 단독으로 존재할 때는 이런 작용이 없었다. 세포사멸도 이와 이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EGF와 BSA가 각각 존재할 때에는 비처리군과 차이가 없었지만 함께 존재할 때에는 세포사멸을 감소시켰다. RT-PCR의 결과에 의하면 EGF는 BSA가 존재하는 배양액에서 Bcl-xL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Bak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과정을 통하여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는것 같다. 반면에 FBS는 Bcl-xL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Bak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배양액의 첨가물에 따라 유의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체외배양시 배아의 초기발달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신기술 이용 식중독균 신속검출법 개발 동향 분석 (Trends in Rapid Detection Methods for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by Using New Technologies)

  • 김현주;김용수;정명섭;오덕환;전향숙;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6-387
    • /
    • 2010
  • 식품으로부터 식중독세균을 검출하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방법들은 분리하고자 하는 미생물에 적합한 선택배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선택배지들은 높은 경제성에도 불구하고 오래 걸려 때를 놓치게 되는 소요 시간이 항상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하나의 선택배지로 한의 균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해 내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IMS 등 면역학적 또는 분자생물학적 기법들을 접목시키고 있고, 증균에서 분리와 확인을 동시에 할 수 있는 package 형태의 제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 중 일부는 국제표준기구로부터 인증을 받았고 대부분 chromogenic 기질을 함유한 선택배지들이 포함되어 있을 만큼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배지 자체만은 이들 단점을 해결할 수 없어 항체를 활용한 신속, 간편하고 환경친화적인 ELISA법, 검출장비가 불필요하여 가장 신속, 간편하게 현장에서 사용하도록 기술을 향상시킨 paper-strip kit나 ELISA 분석 시 직면하는 시료의 matrix effect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형광면역분석법(fluoroimmunoassay)등 새로운 기술이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동시진단 능력이 우수한 현장 진단형 시스템이 개발될 경우, 향후 신 시장 창출, 바이오칩 기술발전, 식중독균을 포함한 위해 미생물의 동시진단 및 역학조사 등에 지대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에서 식품위해미생물 검출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검출 과정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정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정량적 결과 산출이 가능하여야 하고, 자동화된 방법으로 전환이 가능하여야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이상적인 검출방법은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여러 방법들이 각각의 장점을 갖고 있을 뿐이다. 즉, 현실적 대안은 현재까지 개발된 각각의 방법을 목적과 대상에 따라 시의적절하게 병용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자궁근종에서 타목시펜의 수용체를 통한 기전 (The Action Mechanism of Tamoxifen Via Estrogen Receptor on Uterine Leimyoma)

  • 이병석;차동현;정경아;이희대;박기현;조동제;송찬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4호
    • /
    • pp.337-343
    • /
    • 2002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ER{\alpha}$, $ER{\beta}$, c-fos and c-jun in the uterine myoma and myometrium in oder to know how the tamoxifen cause the growth of myoma. Methods: Myoma and myometrial tissue were obtained from the postmenopausal women treated with tamoxifen in th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in the premenopausal patients, who were undergoing myoma of uterus from 1998 through 2000. The espression of each gene was quantitated with quantitative RT-PCR. Results: The expression of $ER{\alpha}$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myoma than the myometrium in the proliferative phase, and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myometrium than the myoma in the secretory phase.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postmemopausal women treated with tamoxifen, $ER{\alpha}$ was expressed in all myoma and myome1rial tissues and the ex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ression ofER~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myome1rium than the leiomyoma in the proliferative and secretory phase, but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postmemopausal women treated with tamoxifen, the expression of ER~ was significantly incresed in the myome1rium than the leiomyoma. The expression of c-fo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yome1rium than the leiomyoma in the proliferative and secretory phase. In the postmemopausal women treated with tamoxifen, the expression of c-fos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leiomyoma than the myomelrium,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amoxifen may cause the growth of leiomyoma by $ER{\alpha}$ with AP-l pathway reducing the counteraction of 6$ER{\beta}$ to $ER{\alpha}$.

Bacillus subtilis HJ18-4를 이용하여 제조한 메밀 속성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Soksungjang manufactured by Bacillus subtilis HJ18-4)

  • 박나영;이선영;김지연;최혜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99-704
    • /
    • 2013
  • 메밀 속성장은 메밀과 콩으로 제조된 별미장이다. 항균 및 효소활성이 우수한 B. subtilis HJ18-4 균주를 starter로 사용하여 메밀 속성장을 제조하였다. 메밀 속성장 제조과정 중, starter 첨가 시기는 메주 제조단계(Treat-1) 및 염수 첨가단계(Treat-2)로 접종시기를 달리하였다. 발효 중 아미노태질소 함량, 환원당, 효소활성(protease, amylase)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총균 수, 유산균 수 및B. cereus 양 변화 등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균 수는 발효 15일부터 7~8 log CFU/mL로 증가되었고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65.38~202.52 mg%로 증가되었다. 반면, 환원당과 효소활성(amylase, protease)은 모든 처리구 에서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중 PlcR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Treat-1 처리구에서 발효 23일 이후 검출되지 않았다. 메주 제조단계에서 B. subtilis HJ18-4를 접종한 Treat-1이 발효관련 이화학적 특성과B. cereus 저해효과가 우수하였다. 단일 균을 접종하여 제조되는 개량식장 제조 시, 자연발효에 제조된 장의 품질을 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발효방법으로 제조되는 메밀 속성장에 항균 및 효소활성이 우수한B. subtilis HJ18-4 균주를 스타터 적용하여 장류 품질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Marker Assisted Selection-Applications and Evaluation for Commercial Poultry Breeding

  • Sodhi, Simrinder Singh;Jeong, Dong Kee;Sharma, Neelesh;Lee, Jun Heon;Kim, Jeong Hyun;Kim, Sung Hoon;Kim, Sung Woo;Oh, Sung Jong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3-234
    • /
    • 2013
  • Poultry industry is abounding day by day as it engrosses less cost of investment per bird as compared to large animals. Poultry have the most copious genomic tool box amongst domestic animals for the detec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nd marker assisted selection (MAS). Use of multiple markers and least square techniques for mapping of QTL affecting quality and production traits in poultry is in vogue. Examples of genetic tests that are available to or used in industry programs are documented and classified into causative mutations (direct markers), linked markers in population-wide linkage disequilibrium (LD) with the QTL (LD markers), and linked markers in population wide equilibrium with the QTL (LE markers). Development of genome-wide SNP assays, role of 42 K, 60 K (Illumina) and 600 K (Affymetrix$^{(R)}$ Axim$^{(R)}$) SNP chip with next generation sequencing for identific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has been documented. Hybridization based, PCR based, DNA chip and sequencing based are the major segments of DNA markers which help in conducting of MAS in poultry. Economic index-marker assisted selection (EI-MAS) provides platform for simultaneous selection for production traits while giving due weightage to their marginal economic values by calculating predicted breeding value, using information on DNA markers which are normally associated with relevant QTL. Understanding of linkage equilibrium, linkage dis-equilibrium, relation between the markers and gene of interest are quite important for success of MAS. This kind of selection is the most useful tool in enhancing disease resistance by identifying candidate genes to improve the immune response. The application of marker assisted selection in selection procedures would help in improvement of economic traits in poultry.

Calmoduli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 Hong, Gyeong-Eun;Kong, Hee Jeong;Nam, Bo-Hye;Kim, Young-Ok;Kim, Woo-Jin;Lee, Sang-Jun;Choi, Tae-Jin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4-237
    • /
    • 2007
  • Calmodulin은 $Ca^{2+}$ 결합단백질로서 생체 내에서 $Ca^{2+}$ 의존적 기작을 통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cDNA library로부터 Calmodulin cDNA를 분리 동정하였다. 염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넙치 Calmodulin cDNA는 782개의 nucleotides로 구성되어 있고, 4개의 잘 보존된 $Ca^{2+}$결합 motifs (EF-I, EF-II, EF-III, EF-IV)를 가지는 149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전사할 수 있는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한다. 또한 번역된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쥐, zebrafish, 개구리의 Calmodulin 아미노산 서열과 100% 동일성을 보이며 보라성게, 침팬지의 Calmodulin 아미노산 서열과 각각 97, 99%의 동일성을 보인다. 넙치 Calmodulin 전사체는 뇌와 장 조직에서 많은 양이 발현되었고, 신장, 아가미, 눈, 근육, 피부, 지느러미에서도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넙치 Calmodulin 전사체는 수정 후 7일째의 발생 초기 단계 시료에서도 발현되어 수정 후 34일째까지 그 발현이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넙치 Calmodulin은 넙치의 발생 초기 단계에서 필요한 단백질로 생각되며 아마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