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ative factor

검색결과 675건 처리시간 0.029초

Uncertainty investigation and mitigation in flood forecasting

  • Nguyen, Hoang-Minh;Bae, Deg-Hy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5-155
    • /
    • 2018
  • Uncertainty in flood forecasting using a coupled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 is arisen from various sources, especially the uncertainty comes from the inaccuracy of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s (QPFs).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flood forecast, the uncertainty estimation and mitigation are required to perform.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reduce such uncertainty. First, ensemble QPFs are generated by using Monte - Carlo simulation, then each ensemble member is forced as input for a hydrological model to obtain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Likelihood measures are evaluated to identify feasible member. These members are retained to defin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uncertainty interval and assess the uncertainty. To mitigate the uncertainty for very short lead time, a blending method, which merges the ensemble QPFs with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consider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kills, is proposed. Finally, blending bias ratios, which are estimated from previous time step, are used to update the members over total lead time.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for the two flood events in 2013 and 2016 in the Yeonguol and Soyang watersheds that are located in the Han River basin, South Korea. The uncertainty in flood forecasting using a coupled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and Sejong University Rainfall - Runoff (SURR) model is investigated and then mitigated by blending the generated ensemble LDAPS members with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that uses 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by Lagrangian extrapolation (MAPLE). The results show that the uncertainty of flood forecasting using the coupled model increases when the lead time is longer. The mitigation method indicates its effectiveness for mitigating the uncertainty with the increases of the percentage of feasible member (POFM)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observations that fall into the uncertainty interval (p-factor).

  • PDF

보편적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미친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al Child Care Subsidy on Female Labor Supply and Fertility)

  • 민규량;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4호
    • /
    • pp.143-177
    • /
    • 2020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이 보육시설공급률에 따라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상이한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육시설공급률이 높을수록 보육료 지원에 의해 보육시설 입소에 유리한 다자녀모의 경력유지 확률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첫째 자녀의 출산율이 높아졌고,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률이 높은 경우에는 보육비 지원 이후 둘째 자녀 출산율도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이는 보육료 지원정책의 효과가 출생순위에 따른 보육시설 입소 우선순위, 거주지역 보육시설의 양적, 질적 공급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준다.

  • PDF

Increasing Profitability of the Halal Cosmetics Industry using Configuration Modelling based on Indonesian and Malaysian Markets

  • Dalir, Sara;Olya, Hossein GT;Al-Ansi, Amr;Rahim, Alina Abdul;Lee, Hee-Yul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8호
    • /
    • pp.81-100
    • /
    • 2020
  • Purpose - Based on complexity theory, this study develops a configurational model to predict the profitability of Halal cosmetics firms in the Indonesian and Malaysian market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nvolves two level configurations-industry context and selling strategies-to predict high and low scores of a firm's profitability. The industry context configuration model comprises industry stability, product homogeneity, price sensitivity, and switching cost. Selling strategies include customer-focused, competitor-focused, and margin-focused approaches. Design/methodology -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hat calculates causal models using a combination of industry context and selling strategy factors to predict profitability. Data obtained from the marketing managers of cosmetics firms are used to test the proposed configurational model using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It contributes to the current knowledge of business marketing by identifying the factors necessary to achieve profitability using analysis of condition (ANC). Findings - The results revealed that unique and distinct models explain the conditions for high and low profitability in the Indonesian and Malaysian halal cosmetic markets. While customer-focused selling strategy is necessary to attain a higher profit in both the markets, margin-focused selling strategy appears to be an essential factor only in Malaysia. Complexity of the interactions of selling strategies with industry factors and differences between across two study markets confirmed that complexity theory can support the research configurational model.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illustrated. Originality/value - Despite the rapid growth of the global halal industry, there is little knowledge about the halal cosmetic marke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literature of the halal market by performing a set of asymmetric analytical approaches using a complex theoretical model. It also deepens our understating of how the Korean firms can approach the Muslim consumer's needs to generate more beneficial turnover/revenue.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Voice-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gent)

  • 김지근;양현정;이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44-1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의 활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심리상담 맥락에서 음성 기반 대화형 에이전트를 구현하여, 20~30대 성인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상담 대화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가지 유형의 에이전트 목소리(청년여성, 청년남성, 중년여성, 중년남성) 중 선호하는 목소리를 선택한 후 대화하였으며, 목소리 선택에 대한 이유, 기분 변화, 에이전트의 특성에 대한 지각, 상담 성과 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 성별에 따른 에이전트의 목소리 유형 선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소리 선택 이유로 '편안함'이 가장 많이 언급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요구되는 목소리 특성이 탐색되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에이전트와의 대화 후, 기분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지각하는 특성 중, 전문성과 호감이 상담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behavior of public servants 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s)

  • 임진희;이준기
    • 기록학연구
    • /
    • 제23호
    • /
    • pp.179-225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공개에 대응하여 공공기관의 업무담당자가 업무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정의하고, 각 절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공공기관의 정보제공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기관의 정보관리체계와 관리기준, 업무정보화와 디지털 인터페이스, 정보제공 중개자의 역할과 제공자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총 21명의 공공기관 업무담당자를 심층 인터뷰하여 정보제공 과정에서의 느낌, 경험, 인식 등을 분석한 결과 1) 정보제공 절차 정의 2) 총 55개의 개념과 총 18개의 범주, 총 6개의 상위범주 도출, 3)영향요인 모형을 연구결과로 도출하고 있다. 또한, 기관 업무정보의 기록화 수준 및 형태에 따라 제공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정보공개제도의 배경에서 공무원의 정보제공 행동을 다룬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기관의 정보공개제도 시행과 정보관리 및 정보시스템 구축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을 하고 있다.

상담 챗봇 구현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유용성 검증 (Developing Scenario for Implementation of Counseling Chatbot and Verifying Usefulness)

  • 이지원;양현정;김지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2-29
    • /
    • 2019
  • 본 연구는 상담 챗봇 구현의 기반이 되는 대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룰 기반 상담 챗봇을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울감과 관련된 호소문제 탐색 및 초기 상담관계 확립을 위한 상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를 룰 기반 상담 챗봇으로 설계하였으며, 상담심리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명확한 상담 구조화, 선택형 및 서술형 응답의 적절한 활용, 룰 기반 챗봇에 특화된 경청반응이 상담 챗봇의 중요 요소로 확인되었다. 상담 챗봇 유용성 평가에서는 대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최종 개발된 상담 챗봇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적극적 경청은 사용자의 상담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 기분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자 평가의 질적 분석을 통해 상담 챗봇이 지니는 고유한 장점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상담 챗봇이 극복해야 하는 한계점이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전자펜 하이테크 상품의 소비자 만족도와 기술수용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TAM of High Technology Electric Pen Product)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61-168
    • /
    • 2019
  • 전자펜의 소비자 활용도 및 제품 개선점 분석을 위해 Davies(1989)의 TAM 모형을 적용하여 전자펜 사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 이용용이성 및 기대가치를 통한 기술수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기업 설문내용에 기반 한 내용분석법과 고객들의 참여도인 Activity 분석을 통해 전자펜 제품의 기술수용정도와 제품 전략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펜의 활용도를 보인 고객들은 30~49세의 남성과 사무직과 연구원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사항에 대한 키워드 중심의 내용분석법의 분석결과 전원동작의 개선, App 연계 펜 기능의 확장성, 전자펜의 수정기능, 펜의 데이터인식 기능, 전자펜이 펜으로서의 필기감, 그립감, 펜 굵기 선택 등 세분화 기능의 개선, 타 스마트 기기와의 동기화 개선과 충전기능의 개선 필요성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자펜에 TAM을 적용하여 전자펜이 초기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확산되기 위한 제품속성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등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된 전자펜 제품 확산과의 차이점 규명 통해 차별화 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픽셀화 이미지의 조형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Developing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 김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4호
    • /
    • pp.13-2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ixe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stituting a digital image, dra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expressed through non-digital media, and develop fashion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by involving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s, related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and dissertations on the pixel and pixelation image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In ad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ases that borrowed pixelation images in non-digital media like contemporary art and design, etc., an attempt was made to dra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ation image. Apparently, six fashion design looks are presented in the present stud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ation image include: first, the repeatability that repeats the minimum unit; second, the incompleteness of the shape appearing through the phenomenon of alias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 and third, the combination that completes the shape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independent pixels. The results of the expression through reflecting them in fashion design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hose one small geometric formative element and presented repeatability by repetitively expressing that element in a textile pattern; second, for incompleteness, this study expressed an incomplete form, handling the edge part of the shape with the method of disentangling the strand; and third, the combination by completing a single look through overlapping of independent textiles and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independent individuals is expressed.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의 치매환자에 대한 구강관리실태 및 노인 구강보건지식 (Oral care status and elderly oral health knowledge of care workers and caregivers with regard to patients with dementia)

  • 이경희;최윤영;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91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oral hygiene 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dementia by understanding the oral care status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care workers and caregivers with regard to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s: For about two months from May to June 2018, a survey of care workers and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nursing homes and elderly-specialized nursing hospitals was performed, and 442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oral care status and oral health knowledge regarding patients with dementia,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oral health knowledge of care workers and caregiv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elderly oral health knowledge. Results: With respect to the factor of oral health education in elderly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knowledge was shown to be highest when participants responded that education was unnecessary (p<0.001), and regarding the will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est when participants responded as having no desire to participate (p<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tandard manual should be developed for the accurate and qualitative management of oral hygiene care tasks performed by care workers and caregivers who are in charge of oral care for patients with dementia in order to provide continuous and systematic oral care.

상담에서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국내 연구 동향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f Supervison Working Alliance for Counseling in Korea)

  • 정지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3-72
    • /
    • 2018
  • 본 연구는 상담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관계인 작업동맹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최근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 12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별, 연구대상과 상담자 요인,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2006년을 시작으로 총 12편의 연구가 진행되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수퍼바이지(83.3%)로 편중되어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16.7%), 수퍼바이저(0%) 대상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상담자 특성에 대한 연구도 수퍼바이저(17.3%)는 추론된 상태(8.3%), 추론된 특성(3.5%)이 높았다. 수퍼바이지 (82.5%)도 추론된 상태(56.3%)와 추론된 특성(27.1%)으로 연구되어 관찰가능한 상태와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연구(100.0%)로 이루어져 질적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연구의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