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behavior of public servants 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s

  • 임진희 ((사)한국국가기록연구원 학술연구처) ;
  • 이준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발행 : 2010.01.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공개에 대응하여 공공기관의 업무담당자가 업무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정의하고, 각 절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공공기관의 정보제공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기관의 정보관리체계와 관리기준, 업무정보화와 디지털 인터페이스, 정보제공 중개자의 역할과 제공자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총 21명의 공공기관 업무담당자를 심층 인터뷰하여 정보제공 과정에서의 느낌, 경험, 인식 등을 분석한 결과 1) 정보제공 절차 정의 2) 총 55개의 개념과 총 18개의 범주, 총 6개의 상위범주 도출, 3)영향요인 모형을 연구결과로 도출하고 있다. 또한, 기관 업무정보의 기록화 수준 및 형태에 따라 제공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정보공개제도의 배경에서 공무원의 정보제공 행동을 다룬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기관의 정보공개제도 시행과 정보관리 및 정보시스템 구축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을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providing procedure of public servants responding to the request for the business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Disclosure mechanism in Korea. Using dat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e studied their information providing behaviors and factors that affect the procedure.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we first generated 55 concepts, 18 categories and 6 super-categories about the participants' feel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 related to their information providing. Then we developed a factor model among those generated concepts. And, we discussed various information providing modality of 3 difference typ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ormal record keeping level.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nhanc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institution in Korea.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센터의 열람서비스 제공 절차 및 특징에 관한 질적 연구 vol.50,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16.50.177
  2.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