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ative continuit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9초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및 금연 경험 연구 (A Study of Experience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out-of-school Youth)

  • 박민희;임소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8-399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out-of-school youth.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out-of-school youths belonging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A and B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8 to 15, 2018, using a FGI(Focus Group Interview). The main sub-domains of the experience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out-of-school youth by 7 questions were categorized from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factors in ecological model. Results: The motivation, continuity, disadvantage of smoking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were analyzed in 10 sub-domains (curiosity, friend's invitation, mood of adapted group, habit, relieving stress, providing breaks, friendship, physical damage, loss of money, a bad sight of smoker). The reason, difficulty, advantage, reason for restarting smoking cessation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were analyzed in 15 sub-domains (physical damage, for future hope, invitation of others, influence of family, weight gain, emotional stress, worsening friendship, improvement physical condition, saving money, better relationships, not with bad friends, withdrawal, smoking of friends, drinking, separated a lov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a Specialized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will be developed for out-of-school youth's health activities in ecological factors.

The Negativ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Acceleration of Startup Innovation in the Retail Supply Chain

  • JUNG, Kum-Jong;JEON, Byung-H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9호
    • /
    • pp.79-90
    • /
    • 2021
  • Purpose: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strict measure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lockdown around the globe and these measures has largely affected the retail industr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gative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acceleration of startups innovation in the retai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urrent authors used the qualitative content approach and the data collection process in this procedure starts with a formulated and direct research question which means that rather than asking how a change in one variable leads to a change in the other, the research question seeks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experiences derived from the piece of communication. Results: This section outlines how retail companies can overcome the adversely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acceleration of startup innovation in the retail industry. The solutions are mostly from peer-reviewed articles. All retailers should respond to the negative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to ensure their continuity while accelerating startups innovations in the sector.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tailing industry, alongside other sectors, should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by encouraging innovations and adaptations. The study has shown that flexibility is very crucial to adapt during the crisis

Numerical simulation on LMR molten-core centralized sloshing benchmark experiment using multi-phase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 Jo, Young Beom;Park, So-Hyun;Park, Juryong;Kim, Eung S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752-762
    • /
    • 2021
  • The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sh-free numerical method for thermo-fluid dynamics. Due to its Lagrangian nature and simplicity, it is recently gaining popularity in simulating complex physics with large deformations. In this study, the 3D single/two-phase n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on the Liquid Metal Reactor (LMR) centralized sloshing benchmark experiment using the SPH parallelized using a GPU. In order to capture multi-phase flows with a large density ratio more effectively, the original SPH density and continuity equations are re-formulated in terms of the normalized-density. Based upon this approach, maximum sloshing height and arrival time in various experimental cases are calculated by using both single-phase and multi-phase SPH framework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benchmark results. Overall, the results of SPH simulations show excellent agreement with all the benchmark experiments both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s.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study of the particle-size, the prediction accuracy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decreasing the particle-size leading to a higher resolution.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multi-phase SPH model considering both liquid and air provides a better prediction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reality.

대학도서관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University Libraries)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7-121
    • /
    • 2000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조직문화를 이해하고 실제적인 관리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국의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전체 대학도서관 조직문화를 파악하고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대학도서관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연구결과 대학도서관 조직문화는 다른 문화유형과 비교해서 위계질서문화에서 지나치게 높은 평균값을 가지고 있었으며 두 번째는 인간관계문화가 우세하였으며, 생산중심문화와 개방체계문화에서는 약한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앞으로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문화를 연구하는 방법으로 양적 방법뿐 아니라 질적 방법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대학도서관 조직문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신규직원의 선발, 부서 배치 혹은 직무순환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전략을 계획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직관리에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Trends in Research on Communication and Media in Indonesia: The Micro Meta-Analysis on Perspective, Theory, and Methodology

  • Bajari, Atwar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41-62
    • /
    • 2017
  • The political reformation in Indonesia is a determinant factor of the change in political communications and the roles of media. Currently, the political elites need media support, since it contextually has a significant role. Whoever has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media, will be loved by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the media also have a vested interest in the elite in running businesses and building the power of industry. Policies and capital pose a challenge to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the media. Independence and control of media are at stake, when the interests of the media and the elite collaborate with each other and then build a benefit on both sides. Meanwhile, the role of social media also cannot be neglected. The Indonesian political communication system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social media in a pseudo-relationship between the elite and the public.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growing trends of research in the academic environment and the research trends in political practice in Indonesia after the occurrence of post-reformation era in legislative and executive elections. The method used is the meta-analysis of research outcomes of university (dissertations) and secondary data sources. Data processing is done by meta-analysis of secondary data. The results of meta-analys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objective conditions, in Indonesia, especially the political conditions, stimulate new spaces in communication research. The study of political communication becomes dominant in the academic environment. In addition, communication research is also characterized by a shift from the linear perspective (positivistic paradigm) to the interactive perspective (naturalistic paradigm).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politic and governance situations in Indonesia has prompted the establishment of polling agencies that help citizens understand the maps of political power and candidates in general elections and regional head elections.

산업적 관점에서 개별 기업들의 연구개발역량 차이에 대한 통계적 고찰: 해양수산 산업 사례 (A Statistical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D Capabilities of Individual Companies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Maritime and Fisheries Industry Case)

  • 김상국;최붕기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99-209
    • /
    • 2022
  • As the uncertainty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rket needs increases due to changes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the interest and demand for R&D activities of individual companies are increasing. To respond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layers are paying great attention to enhancing the qualitative competitiveness of R&D. In particular, R&D companies in the marine and fishery sector face many difficultie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For example, the R&D environment is barren, it is challenging to secure R&D human resources, and it is facing a somewhat more difficult environment compared to other sectors, such as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R&D continuity due to the turnover rate of researchers. In this study, based on the empirical data and patent status of private companies closely related to the R&D technology status, big data analysis, and simulation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ve position of individual companies' R&D capabilities and industrial perspectives. In this study, based on industrial evidence and patent applications closely related to the R&D technology status, the R&D capabilities of individual companies were evaluated using extensive data analysis and simulation analysis methods, and a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capabilities from an industrial point of view. At this time, the industries to be analyzed were based on all sectors, the maritime industry, the fisheries industry, and the maritime industry integration sector. In conclusi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certain level of difference in the R&D capabilities of individual companies in each industry sector, Therefore when developing a future R&D capability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separate the population for each industry and establish a strategy.

유비쿼터스 에코시티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Assess the Quality of Ubiquitous-Ecological Cities)

  • 김한샘;정연우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2호
    • /
    • pp.111-123
    • /
    • 2011
  • 유비쿼터스 에코시티(U-Eco City)는 첨단 IT기술을 도시공간과 접목시킨 유비쿼터스 도시(U-City)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Eco-City)의 개념이 융 복합된 새로운 도시패러다임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처음 시도되고 있기 때문에 U-Eco City에 대한 개발목표, 계획안, 실시설계안, 기술 및 서비스 요소 등이 혼재하여 명확히 정립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U-Eco City의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U-Eco City의 도시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외에서 논의가 미흡했던 U-Eco City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의 질을 달성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U-Eco City의 개념은 기존도시의 경제적 발전과 성장위주 개발방식에서 도시의 질적 환경과 지속성 차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향후 도시개발에서 관리체계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평가체계는 의식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로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도시의 질적 측면은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시의 지속성 측면에서는 사회, 환경, 경제 모두 중요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그 중에서 환경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 도시개발시 우선요소로 안전성과 경제성을 둔 반면 현대에 들어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저탄소 녹색성장'과 같은 각종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사례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실시설계안을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안전성'과 '경제성' 부문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의식조사에서는 환경적 지속성이 중요시 된 반면 설계안에서는 아직까지 경제성장 위주의 개발계획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도시개발시 환경적 측면의 보완이 필요하며, 경제성장과 환경적 지속성간의 연계방안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대학 중도탈락 개선을 위한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to Improve Dropout of Cyber University)

  • 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80-390
    • /
    • 2020
  • 사이버대학교는 20대 중심의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사회적 배경, 경제적 요인, IT 지식 및 활용능력 등. 복잡한 교육환경의 변화 요인으로 신입생들의 중도탈락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사이버대학교 학생은 일반대학교와 다른 중도탈락 방지 대책과 개선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 사이버대학의 2017년 및 2018년 1학기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고 '의사결정트리모델'을 통하여 중점관리 및 상담기준을 분류하여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각 주요 요인에 대하여 의사결정 적용기준과 주차별 추진방법을 제시하여 '중도탈락개선모형'으로 구현하였다. 그리고 2019년 1학기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대학 강의운영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중도탈락개선모형'을 적용한 신입생의 중도탈락률은 4.2% 감소하였고 학업지속비율은 11.4%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의미는 설문지 조사와 사이버대학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활동 결과를 동시에 적용하여 객관적인 분석을 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 자료에 대한 정량적인 요인분석은 되었지만, 정성적인 요인분석이 반영되지 못하였고 연구의 구조적인 한계점이 있어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개선모형은 사이버대학의 중도탈락률 및 학업지속비율 개선에 유효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Elderly Volunteering Commitment and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Activity Theory)

  • 김미혜;정진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21-243
    • /
    • 2003
  • 활동이론은 노년기 역할상실 혹은 감소에 따른 대체적 역할로서 새로운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되어 노년기의 생활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활동이론을 기초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노년기 역할감소에 따른 대체적 역할로서 노인의 생활만족감에 영양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23개 자원봉사센터를 통해 활동하고 있는 55세 이상 노인자원봉사자 192명이다. 활동이론은 직업유무, 가구형태, 봉사활동 성취내용으로 조작좌하였으며, 분석결과, 직업유무는 활동빈도와 활동시간에, 봉사활동 성취내용 중 사회적 성취는 지속기간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가구형태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지속기간이나 활동빈도, 활동시간 등 자원봉사에 대한 헌신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오히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활동이론 변수 이외에 봉사활동에 대한 보상, 건강상태, 교육수준, 성별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으며, 노인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에는 동거가족형태나 경제수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활동이론만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전적으로 설명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인들에게 있어 자원봉사활동은 시간의 투입보다는 봉사활동을 통한 성취감과 이들 활동에 대한 지지 혹은 관심 등의 질적인 측면이 더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 자원봉사 분야에 있어 활동이론을 기초로 한 최초의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가상자산 생태계 관리・감독 방안 (Management and Supervision Measures for Virtual Asset Ecosystem)

  • 이세현;이상연;양희동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3호
    • /
    • pp.73-94
    • /
    • 2023
  • 가상자산 시장의 가파른 성장과 함께, 가상자산 상장 및 거래 절차에 대한 정부 차원의 규제가 가해질 전망이나, 구체적인 규제 방안은 부재한 상황이다. 향후 안정적인 제도권 편입을 위해서는 시장 생태계 조성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더욱 구체적인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의 자체 가이드라인과 한국거래소의 예비상장심사기준(2022)을 비교하였다. 본고에서는 IEO, IPO, ICO의 개념을 정의하고 IEO의 이해상충 문제를 명시하였다. 이후, 규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제 상장 폐지된 가상자산의 사례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유가증권 시장 상장 심사 가이드라인을 형식적 심사 요건과 질적 심사 요건으로 분류하고, 질적 심사 요건은 기업의 계속성, 경영 투명성, 경영의 안정성, 주식회사 속성 및 투자자 보호 총 네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얻은 구조적인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안은 지배 구조 정기 공시, 유통량 정기 공시, 독립 감사 기관 신설 총 세 가지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실제 상장 폐지 사례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는 점, 유가증권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의 유사성을 감안하여 제도권의 프레임워크를 차용하여 보완책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