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비쿼터스 에코시티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Assess the Quality of Ubiquitous-Ecological Cities

  • 김한샘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창의시정연구본부) ;
  • 정연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투고 : 2010.12.20
  • 심사 : 2011.04.20
  • 발행 : 2011.04.30

초록

유비쿼터스 에코시티(U-Eco City)는 첨단 IT기술을 도시공간과 접목시킨 유비쿼터스 도시(U-City)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Eco-City)의 개념이 융 복합된 새로운 도시패러다임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처음 시도되고 있기 때문에 U-Eco City에 대한 개발목표, 계획안, 실시설계안, 기술 및 서비스 요소 등이 혼재하여 명확히 정립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U-Eco City의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U-Eco City의 도시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외에서 논의가 미흡했던 U-Eco City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의 질을 달성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U-Eco City의 개념은 기존도시의 경제적 발전과 성장위주 개발방식에서 도시의 질적 환경과 지속성 차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향후 도시개발에서 관리체계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평가체계는 의식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로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도시의 질적 측면은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시의 지속성 측면에서는 사회, 환경, 경제 모두 중요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그 중에서 환경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 도시개발시 우선요소로 안전성과 경제성을 둔 반면 현대에 들어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저탄소 녹색성장'과 같은 각종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사례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실시설계안을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안전성'과 '경제성' 부문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의식조사에서는 환경적 지속성이 중요시 된 반면 설계안에서는 아직까지 경제성장 위주의 개발계획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도시개발시 환경적 측면의 보완이 필요하며, 경제성장과 환경적 지속성간의 연계방안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A Ubiquitous-Ecological City (U-Eco City) is the new urban paradigm integrated with ubiquitous-city (U-City) connecting the high-tech IT technology to the urvan space with the concept of the sustainable eco-city. As a U-Eco City i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re is insufficient discussions for its develoment goal, planned design proposal, technology and service element and others. Even if there are plans to build up it, policy and technology, service structuring business and others, it is difficult to assess how it would bring the effica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ndicators system to assess a U-Eco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was established to achieve sustainable urban quality, can be suggested by establishing its notion of the U-Eco City. The concept of a U-Eco City as establish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conomic development in growth-oriented level has to be conducted not only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but also in terms of sustainable to consider the complex impact of various development; Secondly, the developed assessment system has heightened the completeness as the evaluation index through the attitude survey.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subject of specialists and interested party of this study, the urban qualitative aspect is formulated for the stability as a relatively important aspect. For the urban continuity aspect, society, environment and economy have all similar importance, but the environment element was shown to be highest. And finally, subject area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analysis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implementation design plan of the area.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safety and economy have shown to be high. This is indirectly indicated for the priority in economic growth driven development plan unlik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ntinuity obtained through the attitude survey. When planning on urban development, there is a need for supplementing the environment part and it has to present the connection plan between the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continu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옥(2009),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11(2): 170-176.
  2. 구혜진(2009), U-Eco city 기술과 계획요소 그리고 공간모델,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구혜진 . 이상호(2008), "Multilayered U-Eco City:개념, 계획요소 그리고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지, 627-634.
  4. 국토연구원(2006), U-City(시공자재도시)구현을 위한 국가전략 연구.
  5. 국토해양부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 U-Eco CITY 사업단(2010), U-City 미래비전과 중장기전략-총괄2과제.
  6. 권오병 . 김지훈(2006),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 수준평가를 위한 다계층적 접근법", Information Systems Review 한국경영정보학회, 8(1): 43-61.
  7. 김귀곤(1993), 생태도시계획론-에코폴리스 계획의 이론과 실제, 서울대한교과서(주).
  8. 김동욱 . 이상경(2009), "U-Eco City 경제성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79-87.
  9. 김성후 . 박창호 . 김청택(2006), "유비쿼터스 서비스 평가를 위한 U-서비스 체험성의 분석", 조사연구, 7(1): 1-28.
  10. 김철수(2001), "생태도시의 조성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5(3): 21-48.
  11. 문석기 외 11인(2005), 환경계획학, 보문당.
  12. 변완희 . 조현우 . 이용택(2007), "U-City사업의 최적 u-서비스군 선정을 위한 가치평가모형(u-SEM) 개발", 한국ITS학회 논문지, 6(3): 153-164.
  13. 손영석 . 김 억(2008), "T.A.I.D.A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과 교차 영향분석을 이용한 U-Eco City 개발과 미래유망기술의 R&D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11): 145-152.
  14. 안재성(2007), "U-Eco City와 도시경쟁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53-70.
  15. 양병이(1993), "환경지표를 활용한 도시환경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환경농촌, 8.
  16. 오규식 . 정승현 . 이동근 . 정연우(2006), "도시개발의 환경적 누적영향 평가체계", 국토계획, 41(5): 147-161.
  17. 유영동 . 김갑득 . 이재승 . 이지현(2009), "U-Eco City 테스트베드 분석을 통한 도시 모니터링 방안 연구-유비쿼터스 기반의 U-City, Eco City 사례를 중심으로", RIST 연구논문, 23(1): 25-31.
  18. 윤 심 . 이계원(2005), "U-City 구축을 위한 응용서비스 모델 개발", 정보과학회지, 23(11): 48-55.
  19. 이동근 . 윤소원(199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인간과 자연과의 공생지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7(1): 93-107.
  20. 이병철 . 이용주(2007), "U-City 사업모델과 u-서비스",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학술정보 TTA 저널, 2007(112): 72-82.
  21. 이상호 . 임윤택(2008), "유시티 계획 특성 분석", 국토계획, 43(5): 179-189.
  22. 이재승(2008), U-ECO City 개념정립과 시스템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재준(2005), "한국형 생태도시 계획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4): 9-25.
  24. 이창무 . 이정수 . 권동석 . 김정수 . 이명휘(2008),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U-Eco 주거단지 지불의사금액 추정", 국토계획, 43(3): 237-248.
  25. 임춘성 . 유은정 . 김병건 . 백남석 . 손영대(2008), U-City PIPE Model 서비스 관점의 U-City 구성요소, 연세대학교 기업정보화연구센터.
  26. 정연우(1998), 퍼지집합을 적용한 도시 주거환경의 평가방법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정우수 . 조병선 . 조향숙 . 박웅희(2006), U-City 산업 및 서비스 분류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28. 정우수 . 조병선(2007), "가중치 모형을 이용한 U-City 유망서비스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52: 193-214.
  29. 조은진 . 정창무(2007), "생태 및 유비쿼터스 기술과 거주자 특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7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105-1112.
  30. 한국전산원(2005a), U-City 응용서비스 모델 연구.
  31. 한국전산원(2005b), 한국형 U-City모델 제안.
  32. 한국전산원(2005c), 유비쿼터스 서비스 이용현황 및 수요조사 : 국민생활부문.
  33. 한국정보사회진흥원(2007), U-City 서비스모델 확대 발전 방안 연구.
  34. 한국정보화진흥원(2008), U-City IT 인프라 구축 가이드라인.
  35. 삼성 SDS(2009), U-세종 1단계 실시설계 최종보고용 발표자료.
  36. LG CNS(2009), 인천청라지구 경제자유구역 U-City USP 및 실시설계보고서.
  37. OECD (1996), Progress Report on Implementing Agenda 21 : Submitted to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ECD Publishers.
  38. Tan Yigitcalar (2009a), Ubiquitous eco cities: a new sustainable city form? Paper economic development path of Brisbane, Australia, Local Economy, 23(3): 197-209.
  39. Tan Yigitcalar (2009b), Managing Ubiquitous eco cities: the role of urban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networks and convertgence technologies.
  40. Lu Wang . Huayi Wu . Hong Song (2002), Framework of Integrating Digital City and Eco-city.
  41. OECD (2003),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42. UNCSD (2001), Indicators or sustainable Development : Guildlines and Method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