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검색결과 751건 처리시간 0.025초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Emergency nurses' experience of coping with moral distress)

  • 이나경;황지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6-184
    • /
    • 2020
  • Purpose: We explored emergency nurses' experiences of coping with moral distress. Method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nurses working at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ain theme of nurses' coping with moral distress was "a passive emotion-based response." We also extracted three categories of coping strategies: "uncritical adaptation to anguished situation," "self-justification for not acting," and "flight from ethical decision making." Conclusion: Nurses coped with moral distress in a passive and emotional way, possibly because of perceived incompetence and compliance to an organizational hierarchy. The findings imply that effective approaches to addressing moral distress in emergency nurses are needed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국내.외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 경향 비교 (Comparison of Korean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Trends through Research Synthesis)

  • 신동희;이지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4호
    • /
    • pp.111-133
    • /
    • 2009
  •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environmental education(EE) during last two decades, we analyzed a total of 801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1990 to 2008, 418 research papers from "Hwankyungkyouk" and 393 research papers from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JEE)",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the authors in both journals majored in EE, followed by authors of science education major in "Hwankyungkyouk" and authors of social science major in JEE. In both journals, more researches were data-collected by quantitative method rather than qualitative method. In particular, the ratio of researches by qualitative method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mid 1990s. The significance test was less used in Korean EE researches than those in JEE. In both journals, more EE research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accomplished, which tended to be more salient in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119 EE programs in both journals proposed that E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more diversely in content as well as in educational method.

  • PDF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Caring for Pediatric Cancer Patients

  • Kostak, Melahat Akgun;Mutlu, Aysel;Bilsel, Ayseg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1955-1960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caring for paedia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qualitativ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4 students studying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the Faculty of Health Sciences of a university in Edirne, Turkey. Data were obta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evaluated based on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students, for the most part, experienced problems related to communication, sadness, helplessness, fear, anxiety, resentment and anger. In addition, the students were affected most often by effects of the disease and invasive procedures on paedia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uring the process of caring for them in the oncology clinic. Conclusions: It would be useful to inform nursing students, prior to clinical practice, about the special needs of paediatric cancer patients and families who stay in oncology clinics, and to follow up with appropriate guidance during the clinical practices.

Investigati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Resource Sharing System in Korea: A Qualitative Research

  • Sewon JOO;Innwoo PARK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4권2호
    • /
    • pp.115-141
    • /
    • 202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regarding educational resource sharing systems(ERS) b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2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laced significant emphasis on high-quality, convenient functions, and reward system for sharing resources. Specifically, teachers identified the necessity for a diverse array of materials,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these resources, and the provision of monetary compensation as essential component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advocated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RS including enhancing accessibility, constructing user-friendly features, increasing awareness, and establishing a reward system to incentivize the resource sharing. In particular, teachers proposed strategies such as developing mobile-based services and AIdriven data recommendation system. These results provide actionable insights for stakeholders engaged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resource sharing platforms.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연구 간의 상호관계연구: 2008~2011년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대한 질적내용분석을 중심으로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Issues and Academic Research: A Case of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Major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8-2011)

  • 최현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63-785
    • /
    • 2014
  • 사회에서 논의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영역에서의 이론적 논의는 상호작용한다. 둘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보다 나은 정책을 제안하고 학술연구의 사회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노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런 배경아래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연구 사이의 상호작용을 탐색하고자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대한 질적내용분석을 수행했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에서 단기간에 등장한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학술영역에서 뒤이어 등장했다. 둘째, 오랜 시간에 걸쳐 한국사회와 기술 하부구조에서 진행되어온 혁신시스템의 변화를 관찰하여 개념화 시킨 학술연구들이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형성에 직간접적으로 반영됐다. 셋째,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과 전통 경제학 영역에서 다루어진 주제에 대해 현장에서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연구수요가 존재하지만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세 가지 연구결과는 정책입안자들이 한국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대상을 확인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탈북여성들이 경험하는 도덕적 손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한 질적 선행연구물 내용분석 (Exploratory study on the Moral Injury amo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 심우찬;이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36-652
    • /
    • 2018
  • 본 연구는 심리적 트라우마를 경험한 후 일상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비정신병리적 접근으로의 도덕적 손상이라는 개념을 탈북여성의 경험을 재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적용시키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KISS와 DBpia를 이용하여 2017년 8월 13일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질적 연구물 중 '탈북여성' '새터민 여성' '북한이탈 여성'이라는 주제어를 포함하는 연구물을 검색 했다. 최종 선정된 총 51개의 질적 연구물의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로는 적응경험, 어머니로서의 경험, 북한 체제와 전쟁에 대한 경험, 일/직업/고용 경험, 정신적인 충격에 대한 극복 및 성장과 회복탄력성의 경험, 중국에서의 삶에 관한 경험, 트라우마나 심리적인 경험, 심리적 불안함을 치료하는 과정과 효과에 대한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손상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감정에 관한 단어는 총 260회, 존재론적 믿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단어는 총 82회, 인지의 변화와 관련 단어들이 총 71회, 그리고 행동의 변화와 관련 표현이 총 21회 나타났다. 셋째, 도덕적 손상의 현상을 일으키는 맥락으로 크게 '정체성 부정'과 '가족 해체'가 드러났다. 그리고 도덕적 손상을 일으킬 만한 맥락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손상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던 정 반대되는 사례들 속에서 '정체성 재구성'이라는 맥락을 공통적으로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탈북여성이 도덕적 손상으로부터 예방 되는, 혹은 도덕적 손상으로부터의 회복에 필요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민간경호원의 스트레스 유발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Triggering Factors of Private Security Guards' Stress)

  • 김진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15호
    • /
    • pp.89-105
    • /
    • 2008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경호경비회사 경호원 50명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집을 하여 질적연구 방법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경호원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면담자료를 귀납적 내용분석(inductive content analysis)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인적 문제에 의한 스트레스요인 신체조건 불만요인 중 타경호원과 비교 시 체력의 열세로 인한 부정적 생각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 및 전공불만요인에서도 경호전공자가 아니기 때문에 동료직원이나 상사로부터 느끼는 부조화로 인한 불안감 등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노출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2. 인간관계 문제에 의한 스트레스요인 업무지시에 대한 부정적 생각과 장래문제로 타 직종으로 전직을 하고 싶다는 희망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친구문제에서는 근무조건이 친구들과 맞지 않아 자주 어울리지 못하는 경우와 그로 인한 애인과의 잦은 다툼과 헤어짐으로 마음의 상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정생활 문제에 의한 스트레스요인 적은 급여에 대한 배후자의 불만으로 대부분의 경호원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호원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연구한 선행연구에서 보고 되지 않았던 성문제가 스트레스의 근원으로 나타났다는 것에 주목을 끌고 있다. 경호원들이 만족한 부부관계가 안될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하고 있고, $20{\sim}30$대 경호원들이 24시간 근무로 인한 야간근무를 할 시 배후자를 의심하는 초기 의처증 증세까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 정체성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Navigating Identity: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Field Professionals' Views on Arts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 신혜선;윤현경
    • 예술경영연구
    • /
    • 제55호
    • /
    • pp.75-113
    • /
    • 2020
  •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재를 성찰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2010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이행안(로드맵)의 세 번째 목표인 지역 내 소수자와 이민자들을 포용하는 예술교육 전략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비판 이론(critical theory)을 바탕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으로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탈북 청소년이 체감하는 사회와 정체성 고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접근방법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탈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학습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그들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한 개인으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인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동시에 탈북 청소년을 구분 짓는 프로그램이 기존의 대상화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한국조리학회지에 게재된 학술적 연구의 통계적 기법 분석 (Analysis of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Scientific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 나영아;나태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9-6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관련 학술적 연구들에 적용된 통계적 기법의 사용 현황 및 일부 통계적 기법의 잘못된 사용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3년도까지 총 4년간 한국조리학회지에 게재된 총 415편 중 자연과학적 연구, 질적 연구, 영문으로 작성된 연구 등을 제외한 총 251편의 학술적 연구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학 연구방법을 사용한 279편의 학술적 연구 중 269편이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0편의 학술적 연구만이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전체 251편의 학술적 연구 중 20편(8.0%)의 연구는 통계방법 또는 통계 프로그램의 이름 등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기간 내에 한국조리학회지에 게재된 학술적 연구의 자료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된 통계 패키지는 SPSS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90.8%). 넷째, 분석대상 전체 251 편의 학술적 연구에 사용된 통계적 기법의 사용빈도를 살펴보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확인적 요인분석, T-test, 분산분석, 교차분석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각의 통계적 기법에서 찾아볼 수 있는 통계적 오류에 대한 검증과 이를 통해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시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that Learn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 남윤석;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75-9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A qualitative case study provided an in-depth description of the whole three weeks of student teaching process. Four pre-service teachers and two mento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data collection techniques were used; classroom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document analysi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 pre-service teachers learn PCK of mathematics in designing mathematics lessons, understanding mathematics learners and delivering mathematics lessons and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they experienc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about some suggestions to pre-service program and future re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