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4.636

Exploratory study on the Moral Injury amo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Shim, Woochan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Lee, Soon Min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applying the concept of moral injury in re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and are struggling with adjusting in their everyday lives. The database KISS and DBpia were used to search for academic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before August 13th in 2017, using 'female or women North Korean,' 'female or women relocated North Korean,' and 'female or women North Korean defector' as keywords. In total 51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for content analysis and the result were the following. First, listing from the most often occurring study topic to the least occurring topic in order: post-defection adjustment related, mothering experience,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gime and Korean War, work or job or employment related, recovering from psychological trauma as well as growth and resilience related, experiences in China, trauma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xiety treatment process and effects. Second, words related to psychological aspect of moral injury appeared 260 times in 51 selected studies, changes in the existential belief appeared 82 times, cognitive aspects of moral injury appeared 71 times, and behavioral aspects 21 times. Third, two main contexts emerged to be the antecedent that led to moral injury and they were 'identity denial' and 'dismantled family.' In attempts to find opposite cases or stories where aspects of moral injury were not found despite the existence of its antecedents and it was 'identity restructuring.' Based on the finding, practice implications that could help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prevent or recover from moral injury were suggested.
Keywords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Moral Injury; Identity; Guil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영주, "북한이탈여성의 구술전략과 담론적 수행: 어머니되기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309-338, 2015.
2 한미라, "탈북여성의 초국가적 어머니 경험," 다문화와 평화, 제9권, 제2호, pp.160-178, 2015.
3 한순옥, 이기숙, "남한남성과 결혼한 북한이탈 여성의 결혼 의미와 경험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제24권, 제2호, pp.197-233, 2014.
4 한인영, 홍선희, "북한이탈여성의 한국사회적응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주관성연구, 제 25호, pp.75-93, 2012.
5 홍나미, 이인정,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접근,"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1호, pp.307-344, 2010.
6 홍승아,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제 25권, 제2호, pp.173-205, 2013.
7 황선영, "북한이탈주민의 고용 배제 요인,"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3호, pp.349-373, 2009.
8 H. K. Kim, "A Study on the Perceived Growth after Adversity among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Method,"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Vol.27, No.1, pp.33-66, 2012.
9 H. F. Hsieh and S. E. Shannon, "Three Approaches to Qualitat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5, No.9, pp.1277-1288, 2005.   DOI
10 진미정, "탈북자의 가치관 변화와 사회문화적 적응 및 만족도: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제15권, 제1호, pp.139-157, 2008.
11 W. P. Nash and B. T. Litz, "Moral Injury: A Mechanism for War-Related Psychological Trauma in Military Family Members," Clinical Child & Family Psychology Review, Vol.16, No.4, pp.365-375, 2013.   DOI
12 D. Blinka and H. W. Harris, "Moral Injury in Warriors and Veterans: The Challenge to Social Work," Social Work & Christianity, Vol.43, No.3, pp.7-28, 2016.
13 http://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 statistics/
14 이영선, 구혜완, 한인영,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통일문제연구, 제56권, pp.147-193, 2011.
15 손영미, 강숙정, 박정열, "여성 새터민의 성격유형에 따른 심리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0권, 제1호, pp.19-44, 2014.
16 최빛내, 김희경,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3권, 제1호, pp.195-212, 2011.
17 김재엽, 류원정, 김지민, "탈북여성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46권, pp.85-107, 2014.
18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황현주,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2호, pp.33-56, 2013.
19 김희경,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7권, 제 4호, pp.535-558, 2012.
20 이민지, 장혜인, 전진용,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1권, 제3호, pp.459-481, 2016.
21 강숙정, 김은미, 손영미, "하나원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이 여성탈북민의 정서,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 11권, 제1호, pp.137-149, 2016.
22 김승현, 최빛내,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4호, pp.533-548, 2013.
23 조하나, 최연실,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과 죄책감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327-1345, 2013.
24 정유진, 최빛내, "탈북에서 입국까지의 기간 및 북송경험이 탈북 여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1호, pp.47-67, 2017.
25 심우찬,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한 범국민적 트라우마에 대한 사회 맥락적 접근으로의 도덕적손상에 관한 연구," 생명연구, 제44권, pp.167-222, 2017.
26 J. Shay, Achilles in Vietnam: Combat Trauma and the Undoing of Character, Scribner, 1994.
27 J. Shay, "Moral Injury," Psychoanalytic Psychology, Vol.31, No.2, pp.182-191, 2014.   DOI
28 K. D. Drescher, D. W. Foy, C. Kelly, A Leshner, K. Schutz, and B. Litz, "An Exploration of the Vi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Construct of Moral Injury in War Veterans," Traumatology, Vol.20, No.10, pp.1-6, 2011.
29 B. T. Litz, N. Stein, E. Delaney, L. Lebowitz, W. P. Nash, C. Silva, and S. Maguen, "Moral Injury and Moral Repair in War Veterans: A Preliminary Model and Intervention Strate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9, No.8, pp.695-706, 2009.   DOI
30 M. Levinson, "Moral Injury and the Ethics of Educational Injustice,"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85, No.2, pp.203-300, 2015.   DOI
31 J. G. Tillma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uicide: Moral Injury and the Mysterious Object in the Work of Walker Percy," JAPA, Vol.64, No.3, pp.541-547, 2016.
32 A. Kleinman, What Really Matters: Living a Moral Life Amidst Uncertainty and Danger, pp.1-26,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3 W. Haight, E. Sugrue, M. Calhoun, and J. Black, "A Scoping Study of Moral Injury: Identifying Directions for Social Work Research,"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70, pp.190-200, 2016.   DOI
34 W. Haight, E. Sugrue, and M. Calhoun, "Moral Injury among Child Protection Professionals: Implications for the Ethical Treatment and Retention of Worker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82, pp.27-41, 2017.   DOI
35 W. Haight, E. Sugrue, M. Calhoun, A. Krentzman, and J. Black, "Moral Injury in the Context of Child Protection,"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21 st Annual Conference, p.239, 2017.
36 여성가족부, 폭력피해 탈북여성 맞춤형 자립지원방안 연구, 2012.
37 성정현,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한국가족복지학, 제53호, pp.79-115, 2016.
38 이화진, "탈북여성의 이주경험을 통한 정체성 변화과정: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이성관계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제21권, 제3호, pp.173-211, 2011.
39 이희영, "탈북-결혼이주-이주노동의 교차적 경험과 정체성의 변위,"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2권, 제1호, pp.1-45, 2012.
40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고문으로 인한 외상 후 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3호, pp.81-106, 2011.
41 강차연. "중국내 거주 탈북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여성연구논총, 제 21권, pp.39-53, 2006.
42 김화순, "직행 탈북이주자의 노동이동과 탈북 결정요인," 통일정책연구, 제26권, 제1호, pp.235-264, 2017.
43 박경숙, "탈북이주자 생애사에 투영된 집단적 상흔과 거시 권력구조," 경제와 사회, 제95호, pp.288-332, 2012,
44 최현실, "탈북여성들의 트라우마와 한국사회 정착지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학연구, 제 21권, 제1호, pp.161-204, 2011.
45 G. S. Yoon and A. M. Park, "Acculturation as a Frustration-Negotiation Cycle: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Vol.22, No.4, pp.462-476, 2016.   DOI
46 김경희, 강은애, 손명아,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국가가부장제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제55권, 제1호, pp.131-164, 2016.
47 김기창,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9권, 제1호, pp.201-225, 2015.
48 김광호, "불안증상을 가진 탈북여성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명상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제75권, pp.429-465, 2015.
49 김성경, "'젠더'화된 '장소'로서의 북.중 경계지역: 북한이탈여성의 경험과 현상학적 인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제2012권, 제6호, pp.191-209, 2012.
50 김성경,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한국사회학, 제47권, 제1호, pp.221-253, 2013.
51 김성남, 양옥경,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자녀양육과 교육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12권, 제1호, pp.5-37, 2015.
52 김영순, "인천 논현동 북한이탈주민 공동체의 경계 짓기와 경계 넘기," 로컬리티 인문학, 제12 권, pp.121-154, 2014,
53 김유정, "북한이탈여성의 부모화 경험," 사회과학연구, 제40호, 제2권, pp.77-108, 2014.
54 김태현, 노치영,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41권, 제8 호, pp.1-17, 2003a.
55 김태현, 노치영,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2: 생존전략을 중심으로 한 중국생활체험,"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41권, 제12 호, pp.229-243, 2003b.
56 김현경, "탄력성(resilience) 관점에서 조명한 북한이탈여성의 생애 연구: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중심으로. 젠더," 젠더와 문화, 제4권, 제2호, pp.7-36, 2011.
57 박성정, 오은진,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 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4 권, pp.135-152, 2012.
58 박정란,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 연구: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맥락적 접근," 통일정책 연구, 제16권, 제1호, pp.153-180, 2007.
59 박재인,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사례 연구," 문학치료연구, 제 41권, pp.335-370, 2016.
60 배진형, 박미현, "여성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60-74, 2016.   DOI
61 성정현,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117-131, 2014.   DOI
62 신난희, "탈북여성 구술생애 깊이 읽기: 두 탈북 여성의 중요 생애사건과 사회적 갈등 분기점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제50권, pp.153-182, 2015.
63 신희정,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제10권, 제1호, pp.161-194, 2017.
64 안태윤, "북한여성들이 겪은 한국전쟁: 전쟁동원활동과 체제하의 생존전략," 여성과 역사, 제20권, pp.181-216, 2014.
65 안태윤, "한 엘리트 북한여성의 생애사로 본 분단체제하의 여성의 삶과 가족의 생존전략," 여성과 역사, 제20권, pp.235-274, 2015.
66 안태윤, "전후 북한여성의 삶과 탈북의 전략적 선택," 여성과 역사, 제24권, pp.187-219, 2016.
67 염유식, 김여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형성과 유형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 한국사회학, 제45권, 제2호, pp.91-129, 2011.
68 이기영, 김민경, 백정원, "중국 출생 자녀를 둔 한국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9권, 제3호, pp.213-240, 2014.
69 이기영, 김민경, "중국출생 무국적 자녀와 동반 입국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52권 pp.209-239, 2015.
70 이기영, 백정원, 김민경, "이주의 사회과학적 고찰: 북한이탈여성의 "돌봄과 일"에 관한 연구-제3국출신 아동을 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민족 연구, 제60권, pp.4-23, 2014.
71 이민영, 김현경, "새터민 여성의 이주로 인한 상실 극복 체험: 남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5권, pp.525-554, 2007.
72 이숙영, 이동혁, 조해연, 김경미, 김효정, "북한 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4호, pp.1073-1102, 2016.
73 이은주, "북한이탈여성들의 직업교육 경험과 취업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7권, pp.173-189, 2017.
74 이현주, 오보람, 이은혜, "북한이탈여성노인의 남한사회 정착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 29권, 제4호, pp.1501-1520, 2009.
75 이화진, "이주공간의 변화에 따른 탈북여성의 모성갈등 양상과 극복과정," 한국여성학, 제30권, 제3호, pp.161-200, 2014.
76 임영호, 강주현, 이동희, "새터민 여성들의 드라마 시청과 젠더 담론 수용,"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3권, pp.143-176, 2012.
77 장정은, 최정숙,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6 권, 제4호, pp.375-419, 2015.
78 전주람, "북한이탈여성들의 심리사회적자원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0 권, 제4호, pp.47-72, 2016.
79 정현숙, "북한이탈여성의 어머니 됨 경험," 질적연구, 제15권, 제2호, pp.130-145, 2014.
80 조영아, 전우택,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0권, 제1호, pp.17-35, 2005.
81 조영아,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 여성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4권, 제1호, pp.197-22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