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gating Identity: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Field Professionals' Views on Arts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 정체성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 신혜선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문화행정학과) ;
  • 윤현경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 Received : 2020.07.14
  • Accepted : 2020.08.1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current issues of arts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designed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in South Korea and then navigates further steps to better serve the group. The purpose of study also pertains to the '2010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announced at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particularly, to the third Goal indicating how arts education practices can contribute to resolving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promoting social cohesion and intercultural dialogues (UNESCO, 2010). This research engages with critical theory approach and adop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or collected documents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terview participants found its need of current arts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become more value-driven and participant-centered. Currently, those programs available seem to incline to helping their adjustmen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arts-related activities, such as enhancing Korean language skills and learning Korean culture. Rather, it has been addressed that provid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and opportunities to search their own 'voice(s)' should be core objectives of the arts education programs. Moreover, when it is offered, arts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need to make sure that participants can feel safe and secure as being present at the space for programs in order to express and encounter their true inner voice(s).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재를 성찰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2010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이행안(로드맵)의 세 번째 목표인 지역 내 소수자와 이민자들을 포용하는 예술교육 전략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비판 이론(critical theory)을 바탕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으로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탈북 청소년이 체감하는 사회와 정체성 고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접근방법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탈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학습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그들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한 개인으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인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동시에 탈북 청소년을 구분 짓는 프로그램이 기존의 대상화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훙원의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작은 연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연구 결과이며

References

  1. 강구섭.정재훈.김유연(2019), 탈북학생 문화예술 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 고찰-교육부 탈북학생 교육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55): 5-39.
  2. 강구섭(2017), 탈북학생의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학술대회」, 2017(5): 67-91.
  3. 곽윤정(201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아동복지시설 아동의 우울성향, 자아상,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7(1): 1-14.
  4. 김나영.이정민.정미지(2016), 탈북청소년의 트라우마 해결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체험연구, 「무용예술학연구」, 62(5): 17-32.
  5. 김명선(2015), 탈북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경험 분석, 「열린교육연구」, 23(4): 45-74.
  6. 김소리.문소영(2018), 창작음악극 중심의 음악치료가 제3국 출생 탈북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연구」, (21): 279-299. https://doi.org/10.20976/KJAS.2018..21.012
  7. 김순임.정경열.이영대(2017), PIE에 기반한 탈북 청소년의 문화예술 적응에 대한 연구, 「JCCT」, 3(4): 117-122.
  8. 김인설, 서리나, 신혜선, 차지민(2019), 2019 문화예술교육지속발전지수(SAEI)를 적용한 서울어젠다 이행 점검 연구: 중간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9. 김지영.박지원(2015),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전국체육대회기념」, 2015(12): 250.
  10. 김희경.신현균(2015),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347-367.
  11. 박아청(2004), 청소년기 자아발달의 촉진요인에 관한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23(2): 73-92.
  12. 박상영(2015), 북한 이탈주민(청소년), 현장 사례 이해: 연수 자료집. 「학교 밖, 위기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3. 박혜랑(2018), 탈북 청소년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641-663.
  14. 백령(2015), 「통합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총서 4」,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5. 백승대.안도헌(2016), 탈북청소년의 국민정체성, 「민족문화논총」, 63(-): 73-101.
  16. 백옥현(2012), 청소년의 소통을 위한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모드니 예술」, 7(-): 77-94.
  17. 성지영(2018), 탈북청소년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예술기반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손명균.이드보라(2019), 탈북 아동.청소년에 관한 국내 미술, 음악치료 연구 분석, 「공공정책연구」, 35(2): 97-116.
  19. 신형미.정여주(2006), 탈북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6(2): 81-102.
  20. 심양섭.김현주(2015),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북한학보」, 40(1): 36-66.
  21. 아르떼(2006.07.03.),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셋넷학교'를 가다," http://arte365.kr/?p=3257 (최종검색일자: 2019.11.19.)
  22. 안지언.김석호(2015), 북한이탈 청소년의 북한에서의 문화교육 경험과 한국 내 사회문화적 적응 간 관계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국정관리연구」, 10(2): 217-240.
  23. 안지언.김재범(2016), 문화적거리가 문화예술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충격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1(5): 1-30.
  24. 양영자(2020), 교사 저서에 나타난 교사론의 질적 내용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31-60.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1.31
  25. 앤 뱀포드(2006),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The Wow Factor(백령 역), 파주: 한길아트.
  26. 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지속가능한 미래와 문화예술교육」 제6차 ESD 콜로퀴엄 & 제4차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27. 윤정은.김은혜.하영미.김지영(2019), 이중언어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커뮤니티 무용교육: 문화적응 담론과 TPRS원리의 실천, 「문화예술교육연구」, 14(4): 27-49.
  28. 이기영.김민경(2015),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동북아연구」, 30(2): 93-129. https://doi.org/10.18013/JNAR.2015.30.2.004
  29. 이기영 외(2014), 「탈북 청소년 및 북한이탈주민 자녀 지원정책 분석 및 효과적 지원방안 모색」, 남북하나재단.
  30. 이부미(2012),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학습경험 및 정체성 재구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5(2): 23-57. https://doi.org/10.17318/JAE.2012.15.2.002
  31. 이수정(2019), 한국 청소년에게 부여되는 정체성 메시지에 대한 질적 연구: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30(3): 215-249.
  32. 이용을(2015), 탈북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5(4): 107-131.
  33. 임학순(2015),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사회의 관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단체의 인식연구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6): 5-33.
  34. 주동범(201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탐색, 「상담평가연구」, 3(1): 61-70.
  35. 전진용(2017), 탈북 청소년 및 제3국 출생 탈북민 자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11): 71-73.
  36. 전진용(2011), 탈북 청소년의 정신건강,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1(4): 140-143.
  37. 정경은.임영식.신혜선.조영미(2017),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8. 정문성.석문주.모경환.김해경.박새롬(2012),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0(2): 267-284.
  39. 정연희(2008), 문화예술교육학 정립의 필요성, 「모드니 예술」, 1(-): 145-155.
  40. 정현수.한준.김기헌.박종효(2017),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2(2): 1-34.
  41. 조정아(2014), 탈북 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현대북한연구」, 17(1): 101-155.
  42. 최대석.조은희(2010),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보」, 14(2): 215-240.
  43. 최순미.강동완(2017),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채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통일연구」, 21(1): 179-217.
  44. 통일부(2019a), 「2019 통일백서」.
  45. 통일부(2019b),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운영지원 효율화 방안 연구」.
  46. 통일부(2018.03.06.), 배포용 보도자료 「탈북 청소년 대안 학교 부지 확보 쉬워진다 -'폐교 공립 학교부지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북한이탈주민법 개정'-」.
  47. 통일부-문화체육관광부(2015.02.26.), 「북한이탈주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서」.
  48. 통일부 정착지원과(2019), 「2019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49. 한국교육개발원 탈북 청소년교육지원센터(2019),「탈북학생 지도 교사용 매뉴얼 '함께 만들어요, 하나된 세상'」.
  50. 한국교육개발원(2013),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IV)」.
  51. 황지영.홍해지(2020), 서울어젠다 기반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방향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53): 127-151.
  52. Berger, R.(1997), "Adolescent Immigrants in Search of Identity: Clingers, Eradicators, Vacillators, and Integrator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14(4): 263-275. https://doi.org/10.1023/A:1024594308783
  53. Elbedour, S., Bastien, D. T., and Center, B. A.(1997), "Identity Formation in the Shadow of Conflict: Projective Drawings by Palestinian and Israeli Arab Children from the West Bank and Gaza," Journal of Peace Research 34(2): 217-231. https://doi.org/10.1177/0022343397034002007
  54. hooks, bell(1994), Teaching to Transgress: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Freedom.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55. Kincheloe, Joe L. and Peter McLaren(2000), "Rethinking Critical Theor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eds. by Denzin, Norman K. and Yvonna S. Lincoln(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
  56. Mayring, P.(200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1(2): 1-10. https://doi.org/10.1075/forum.1.2.01del
  57. Galletta, A.(2013), Mastering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Beyond,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58. Glesne, C.(2011),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4th ed.). Pearson.
  59. O'Farrell, L. & Kukkonen, T.(2017), Transformative Action on Arts Education: Re-invigorating the Seoul Agenda, A Position Paper, prepared for the Canadian Commission for UNESCO, The Canadian Network for Arts and Learning, and The UNESCO Chair in Arts and Learning, Queen's University.
  60. Richeson, J. A., & Craig, M. A.(2011),"Intra-minority intergroup relatio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Daedalus, 140: 166-175. https://doi.org/10.1162/DAED_a_00085
  61. Seidel, S., Tishman, S., Winner, E., Lois, H., & Palmer, P.(2009), The Qualities of Quality: Understanding Excellence in Arts Education, Project Zero: Harvard Graduated School of Education.
  62. UNESCO(2010),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in Seoul(May 25-28, 2010).
  63. Verkuyten, M., Wiley, S., Deaux, K., & Fleischmann, F.(2019),"To Be Both (and More): Immigration and Identity multiplicity," Journal of Social Issue, 75(2): 390-413. https://doi.org/10.1111/josi.12324
  64. White, Marilyn D. and Emily E. Marsh(2006), Content Analysis: A Flexible Methodology, Library Trends, 55(1): .22-45. https://doi.org/10.1353/lib.2006.0053
  65. 교육부 https://www.moe.go.kr
  66.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67. 남북하나재단 https://www.koreahana.or.kr
  68. 다음학교 http://www.daumschool.org/webhtml/index.asp
  69. 드림학교 http://drim.caesc.kr/main.do
  70.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kr
  71. 반석학교 http://www.sarangbanseok.org/main.asp
  72. 셋넷학교 http://34school.net/?page_id=284 ; https://www.setnetschool.com/ ; https://blog.naver.com/setnetmovie
  73. 여명학교 http://www.ymschool.org/
  74.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무지개청소년센터) http://m.rainbowyouth.or.kr
  75. 통일부 https://www.unikorea.go.kr
  76. 한겨레중고등학교 http://han.hs.kr/
  7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https://www.arte.or.kr/index.do
  78. 한꿈학교 http://www.greatvisi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