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훙원의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작은 연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연구 결과이며
References
- 강구섭.정재훈.김유연(2019), 탈북학생 문화예술 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 고찰-교육부 탈북학생 교육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55): 5-39.
- 강구섭(2017), 탈북학생의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학술대회」, 2017(5): 67-91.
- 곽윤정(201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아동복지시설 아동의 우울성향, 자아상,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7(1): 1-14.
- 김나영.이정민.정미지(2016), 탈북청소년의 트라우마 해결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체험연구, 「무용예술학연구」, 62(5): 17-32.
- 김명선(2015), 탈북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경험 분석, 「열린교육연구」, 23(4): 45-74.
- 김소리.문소영(2018), 창작음악극 중심의 음악치료가 제3국 출생 탈북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연구」, (21): 279-299. https://doi.org/10.20976/KJAS.2018..21.012
- 김순임.정경열.이영대(2017), PIE에 기반한 탈북 청소년의 문화예술 적응에 대한 연구, 「JCCT」, 3(4): 117-122.
- 김인설, 서리나, 신혜선, 차지민(2019), 2019 문화예술교육지속발전지수(SAEI)를 적용한 서울어젠다 이행 점검 연구: 중간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김지영.박지원(2015),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전국체육대회기념」, 2015(12): 250.
- 김희경.신현균(2015),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347-367.
- 박아청(2004), 청소년기 자아발달의 촉진요인에 관한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23(2): 73-92.
- 박상영(2015), 북한 이탈주민(청소년), 현장 사례 이해: 연수 자료집. 「학교 밖, 위기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박혜랑(2018), 탈북 청소년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641-663.
- 백령(2015), 「통합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총서 4」,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백승대.안도헌(2016), 탈북청소년의 국민정체성, 「민족문화논총」, 63(-): 73-101.
- 백옥현(2012), 청소년의 소통을 위한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모드니 예술」, 7(-): 77-94.
- 성지영(2018), 탈북청소년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예술기반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손명균.이드보라(2019), 탈북 아동.청소년에 관한 국내 미술, 음악치료 연구 분석, 「공공정책연구」, 35(2): 97-116.
- 신형미.정여주(2006), 탈북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6(2): 81-102.
- 심양섭.김현주(2015),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북한학보」, 40(1): 36-66.
- 아르떼(2006.07.03.),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셋넷학교'를 가다," http://arte365.kr/?p=3257 (최종검색일자: 2019.11.19.)
- 안지언.김석호(2015), 북한이탈 청소년의 북한에서의 문화교육 경험과 한국 내 사회문화적 적응 간 관계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국정관리연구」, 10(2): 217-240.
- 안지언.김재범(2016), 문화적거리가 문화예술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충격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1(5): 1-30.
- 양영자(2020), 교사 저서에 나타난 교사론의 질적 내용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31-60.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1.31
- 앤 뱀포드(2006),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The Wow Factor(백령 역), 파주: 한길아트.
- 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지속가능한 미래와 문화예술교육」 제6차 ESD 콜로퀴엄 & 제4차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 윤정은.김은혜.하영미.김지영(2019), 이중언어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커뮤니티 무용교육: 문화적응 담론과 TPRS원리의 실천, 「문화예술교육연구」, 14(4): 27-49.
- 이기영.김민경(2015),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동북아연구」, 30(2): 93-129. https://doi.org/10.18013/JNAR.2015.30.2.004
- 이기영 외(2014), 「탈북 청소년 및 북한이탈주민 자녀 지원정책 분석 및 효과적 지원방안 모색」, 남북하나재단.
- 이부미(2012),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학습경험 및 정체성 재구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5(2): 23-57. https://doi.org/10.17318/JAE.2012.15.2.002
- 이수정(2019), 한국 청소년에게 부여되는 정체성 메시지에 대한 질적 연구: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30(3): 215-249.
- 이용을(2015), 탈북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5(4): 107-131.
- 임학순(2015),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사회의 관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단체의 인식연구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6): 5-33.
- 주동범(201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탐색, 「상담평가연구」, 3(1): 61-70.
- 전진용(2017), 탈북 청소년 및 제3국 출생 탈북민 자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11): 71-73.
- 전진용(2011), 탈북 청소년의 정신건강,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1(4): 140-143.
- 정경은.임영식.신혜선.조영미(2017),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정문성.석문주.모경환.김해경.박새롬(2012),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0(2): 267-284.
- 정연희(2008), 문화예술교육학 정립의 필요성, 「모드니 예술」, 1(-): 145-155.
- 정현수.한준.김기헌.박종효(2017),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2(2): 1-34.
- 조정아(2014), 탈북 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현대북한연구」, 17(1): 101-155.
- 최대석.조은희(2010),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보」, 14(2): 215-240.
- 최순미.강동완(2017),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채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통일연구」, 21(1): 179-217.
- 통일부(2019a), 「2019 통일백서」.
- 통일부(2019b),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운영지원 효율화 방안 연구」.
- 통일부(2018.03.06.), 배포용 보도자료 「탈북 청소년 대안 학교 부지 확보 쉬워진다 -'폐교 공립 학교부지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북한이탈주민법 개정'-」.
- 통일부-문화체육관광부(2015.02.26.), 「북한이탈주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서」.
- 통일부 정착지원과(2019), 「2019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 한국교육개발원 탈북 청소년교육지원센터(2019),「탈북학생 지도 교사용 매뉴얼 '함께 만들어요, 하나된 세상'」.
- 한국교육개발원(2013),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IV)」.
- 황지영.홍해지(2020), 서울어젠다 기반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방향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53): 127-151.
- Berger, R.(1997), "Adolescent Immigrants in Search of Identity: Clingers, Eradicators, Vacillators, and Integrator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14(4): 263-275. https://doi.org/10.1023/A:1024594308783
- Elbedour, S., Bastien, D. T., and Center, B. A.(1997), "Identity Formation in the Shadow of Conflict: Projective Drawings by Palestinian and Israeli Arab Children from the West Bank and Gaza," Journal of Peace Research 34(2): 217-231. https://doi.org/10.1177/0022343397034002007
- hooks, bell(1994), Teaching to Transgress: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Freedom.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 Kincheloe, Joe L. and Peter McLaren(2000), "Rethinking Critical Theor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eds. by Denzin, Norman K. and Yvonna S. Lincoln(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
- Mayring, P.(200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1(2): 1-10. https://doi.org/10.1075/forum.1.2.01del
- Galletta, A.(2013), Mastering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Beyond,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 Glesne, C.(2011),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4th ed.). Pearson.
- O'Farrell, L. & Kukkonen, T.(2017), Transformative Action on Arts Education: Re-invigorating the Seoul Agenda, A Position Paper, prepared for the Canadian Commission for UNESCO, The Canadian Network for Arts and Learning, and The UNESCO Chair in Arts and Learning, Queen's University.
- Richeson, J. A., & Craig, M. A.(2011),"Intra-minority intergroup relatio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Daedalus, 140: 166-175. https://doi.org/10.1162/DAED_a_00085
- Seidel, S., Tishman, S., Winner, E., Lois, H., & Palmer, P.(2009), The Qualities of Quality: Understanding Excellence in Arts Education, Project Zero: Harvard Graduated School of Education.
- UNESCO(2010),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in Seoul(May 25-28, 2010).
- Verkuyten, M., Wiley, S., Deaux, K., & Fleischmann, F.(2019),"To Be Both (and More): Immigration and Identity multiplicity," Journal of Social Issue, 75(2): 390-413. https://doi.org/10.1111/josi.12324
- White, Marilyn D. and Emily E. Marsh(2006), Content Analysis: A Flexible Methodology, Library Trends, 55(1): .22-45. https://doi.org/10.1353/lib.2006.0053
- 교육부 https://www.moe.go.kr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 남북하나재단 https://www.koreahana.or.kr
- 다음학교 http://www.daumschool.org/webhtml/index.asp
- 드림학교 http://drim.caesc.kr/main.do
-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kr
- 반석학교 http://www.sarangbanseok.org/main.asp
- 셋넷학교 http://34school.net/?page_id=284 ; https://www.setnetschool.com/ ; https://blog.naver.com/setnetmovie
- 여명학교 http://www.ymschool.org/
-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무지개청소년센터) http://m.rainbowyouth.or.kr
- 통일부 https://www.unikorea.go.kr
- 한겨레중고등학교 http://han.hs.kr/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https://www.arte.or.kr/index.do
- 한꿈학교 http://www.greatvisi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