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ligneous liquor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2초

혈청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목초액 (Pyroligneous Liquor)의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on Lipid Metabolism in Serum of CD Rats)

  • 조원기;최진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1호
    • /
    • pp.24-30
    • /
    • 2007
  • 목초액 투여가 생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아제약에서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목초액에서 조제한 시판 목초액 (원액 35% 상당)을 사용하여 0%, 1.0%, 25.0%, 50.0%, 75.0%가 되도록 조제 (control, PL-1, PL-25, PL-50, PL-75 groups)하여 실험용 조제사료로써 8주 동안 자유 음용시킨 다음, 목초액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목초액 투여에 의한 체중변화 및 사료 섭취률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렇지만, 혈청 중의 중성지질의 영향은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20.5% 및 19.5%의 매우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목초액 PL-75 투여군도 대조군 대비 12%의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 대비 79.3% 및 83.7%로서 20.7% 및 16.3%의 매우 유의적인 총콜레스테롤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20.3% 및 16.9%의 유의적 LDL-콜레스테롤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36.4% 및 25.5%의 HDL-콜레스테롤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37.0% 및 50.0%로 매우 유의적인 동맥경화지수 (AI)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중선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HDL-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동맥경화지수(AI)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목초액의 장기투여는 성인병의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목초액의 휘발성 성분과 이화학적 특성 (Volatile Substanc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yroligneous Liquor)

  • 김종수;박승우;최정환;이은영;이상한;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6-661
    • /
    • 2005
  • 목초액을 천연보존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기계식전용 탄화로에서 제조된 목초액을 대상으로 이화적인 특성 및 휘발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초액은 pH, 비중, 산도, 굴절률, 투과률은 각각 2.40, 1.020, $0.8\%$, $1.354\%$, $89.05\%$이었고, 용해타르 및 작열잔사는 각각 $2.31\%,\;0.008\%$이었다. 한편 무기성분은 Al 0.11, Cu 4.13, Fe 2.92, Mn 0.15, Zn 4.37, Ca 3.49, K 5.89, Mg 0.43, Na 6.88 mg/L 함유하고 있었으나 유해중금속인 Pb, Cd, As, Hg, Cr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GC-MS에 의한 목초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기성 분획에 함유된 화합물은 ketones 및 diketone계 화합물이 5,472.3 ${\mu}g/100mg$, phenol류가 5,170.3 ${\mu}g/100mg$, methoxyphenol 화합물이 6,002.7 ${\mu}g/100mg$, dimethoxyphenol 화합물이 5,790.7 ${\mu}g/100mg$, furan 및 pyran 화합물이 5,604.5 ${\mu}g/100mg$, pyrocatechol류가 4,790.3 ${\mu}g/100mg$ 함유되어 있었다. 성분별로는 2, 6-dimethoxyphenol (syringol) 3,453 ${\mu}g/100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2-hydroxy-2-cyclopenten-1-one 2,480.3 ${\mu}g/100mg$, catechol 2,097.5 ${\mu}g/100mg$, Phenol 2,037.2 ${\mu}g/100mg$, 2(5H)-furanone 1,826.7 ${\mu}g/100mg$, 2-methoxyphenol (guaiacol) 1,812.9 ${\mu}g/100mg$, 5-hydro-2-furancarboxaldehyde (HMF) 1,636.8 ${\mu}g/100mg$함유되어 있었다. 수용성 분획에서는 catechol 501.2 ${\mu}g/100mg$, cyclopropyl carbinol 442.0 ${\mu}g/100mg$, 2-hydroxy-2-cyclopenten-1-one 270.0 ${\mu}g/100mg$, 5-hydro-2-furancarboxaldehyde 120.5 ${\mu}g/100mg$, 1,4:3,6-dianhydro-$\alpha$-d-glucopyranose 121.9 ${\mu}g/100mg$ 함유되어 있었다.

오이 및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토양개량제 효과 (Effects of Soil Conditioners on the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 박성옥;박권우;이긍표;김민제;이정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4-199
    • /
    • 2004
  • 염류집적 토양에서 광합성균, Soil plus, 목초액, 활성탄 등 토양개량제가 오이와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활성탄이 수량을 증진시키고 뿌리의 활력도 좋았다. 토마토 배꼽썩음병도 활성탄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토마토의 당도는 Soil plus구가 높았으며 질산염과 인산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흰쥐 간조직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Liver of CD Rats)

  • 최진호;조원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11-117
    • /
    • 2007
  • 시판 목초액 A (원액 35%)을 사용하여 음용수에 0%, 1.0%, 25.0%, 50.0%, 75.0%가 되도록 조제한 다음, CD계 수컷 흰쥐 (150 ${\pm}$ 10 g)에 2개월 동안 조제사료와 함께 자유 음용케 하여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로서 수퍼옥시드 라디칼(O$_{2}\;^-$), 히디록시 라디칼, 과산화수소 및 제거효소로서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SOD),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Px) 및 카탈라아제 (CA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 획분에서는 O$_{2}\;^-$의 생성량은 대조군 대비 12${\sim}$14%의 O$_{2}\;^-$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각각 11.0${\sim}$15.0의 O$_{2}\;^-$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간조직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 ${\cdot}$OH 생성량이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12${\sim}$20%의 ${\cdot}$OH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7${\sim}$20%의 ${\cdot}$OH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2${\sim}$15%의 유의적인 H$_{2}$O$_{2}$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20${\sim}$22%의 상당히 유의적인 H$_{2}$O$_{2}$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M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5${\sim}$25%나 유의적인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Cu/Z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1${\sim}$16%의 유의적인 SOD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의 GPx 활성은 대조군 대비 10${\sim}$17%의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의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트콘드리아획분의 CAT 활성은 대조군 대비 12${\sim}$14%의 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초액 처리가 돈분 퇴비화 과정중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Reduction of the Odors during Pig Manure Composting Using of Pyroligneous Acid Liquor)

  • 이종은;장기운;이종진;황준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33-241
    • /
    • 2005
  • 본 연구는 친환경농자재로 선정된 유기성폐자 원인 목초액을 농 축산분야의 적용과 활용성 평가를 위해 돈분퇴비화 과정 중 발생되는 악취에 대한 저감효과를 조사하여 그 이용가치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암모니아 가스의 분석결과 목초액을 처리한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 초기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이 관행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목초액 처리구에서는 약 18일 이후부터는 측정되지 않았다. 반면, 관행구에서는 보다 오랫동안 나타났으며 약 25일후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달관적인 조사를 통하여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는 발생하는 암모니아가스 냄새의 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목초액내에 함유된 초산성분에 의한 암모니아의 중화반응과 탄화된 목재의 특유의 향으로부터 가려지는 가리움효과(eclipsed effect)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휘발성 유기산의 발생량을 GC를 통해 분석한 결과 PA-10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휘발성 유기산 중에서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propionic acid와 butyric acid는 PA-100 > PA-300 > 관행구 순으로 퇴비화 과정중 감소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acetic acid는 관행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목초액의 주성분인의 하나인 초산(acetic acid)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식품성분과 관능평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 서희영;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14-1319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김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일반 김, 목초액 김, 함초 김, 퉁퉁마디 참숯돌김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중금속 함량, 구성아미노산 분석 및 김을 굽기 전과 구운 후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조 섬유 함량을 제외하고는 일반 김에 비해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에서 칼슘, 칼륨, 구리, 나트륨 함량은 함초 김, 철분 함량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그네슘과 아연을 제외하고는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의 경우 크롬, 카드뮴, 납은 일반 김에서 높았고, 그 외 성분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성아미노산에서 일반 김과 기능성 김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glyc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일반 김에 비하여 기능성 김에서 약 3배 정도 많이 나타난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일반 김과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과 퉁퉁마디 참숯돌김은 ser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김을 굽기 전에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김을 구운 후에는 일반 김에 비하여 대부분의 기능성 김의 관능평가 결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목초액 처리가 돈분퇴비의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Acid Liquor on the Maturity of Pig Manure Compost)

  • 이종은;홍주화;장기운;황준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1-107
    • /
    • 2005
  • 본 연구는 친환경농자재로 선정된 목초액이 돈분 퇴비화 과정중 이화학성과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 이용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퇴비더미의 온도는 목초액 PAL-100 처리구에서 약 8일내에 가장 빠르게 $65-70^{\circ}C$ 정도에 도달하였으며, 약30일 이후에는 변화가 안정화되어 약 $28^{\circ}C$를 유지하였다. 반면, 관행구는 초기의 약 $60^{\circ}C$에서 반복적인 뒤집기와 수분조절에 따른 온도의 증감을 보인 후 약 50일 전후에는 안정화 되었다. pH는 발효초기에 PAL-100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나 약 10일내로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을 유지하였고, PAL-300 처리에서는 최종 pH가 7.7이었으며 관행구에서는 약 8.0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모든 처리구에서 총탄소는 감소하였으며, 부피의 감소에 따른 용적밀도를 기준으로 계산된 총질소는 증가하였다. C/N율의 감소는 PAL-100, PAL-300 및 관행구 순서로 컸으며, 최종 퇴비의 C/N율은 PAL-100, PAL-300 및 관행구 각각 24.3, 29.6, 37.0이었다. 또한 퇴비의 부숙도와 안전성 평가는 원형여지크로마토그래피와 식물독성실험으로 조사하였는데, 목초액을 처리한 PAL-100과 PAL-300 처리구가 관행구의 여지보다 테두리에 용액의 전개현상으로 본 부숙의 안정화가 빨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종퇴비의 GI는 PAL-100 처리구가 관행구보다 약 20%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퇴비의 부숙도가 더욱 안정화 되어 식물의 생육에 저해를 주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목초액을 약 100-300배로 희석하여 퇴비더미를 교반할 때 약 3회 정도 살포해 주면 퇴비 내 미생물의 증식을 도모하여 퇴비의 부숙 촉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몇 가지 식물추출물의 벼 병해충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on Pathogenic Fungi and Pest of Rice)

  • 황기철;신소희;정남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9-280
    • /
    • 2014
  • 본 연구는 고삼, 정향 및 neem 추출물에 대한 항균 항충력을 규명하여 벼 친환경 재배 포장에서 병해충 방제제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추출물에 대한 잿빛곰팡이균에 대한 항균력 실험결과 정향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은 고삼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는데, 고삼추출물의 300배 희석용액에서도 100%의 살충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정향과 고삼추출물에 각각 목초액(10%)과 유화전착제(10%)를 혼합하여 친환경 벼 재배포장에 살포하고 병해충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정향추출물 처리구의 병해 방제가는 무처리구(100%) 대비 50.8%, 해충 발생은 70.6%를 나타내었고, 고삼추출물 처리구는 무처리(100%) 대비 병해 방제가는 43.1%, 해충 방제가는 79.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삼 및 정향 추출물은 벼 친환경 재배 시 병해는 약 50%, 충해는 약 70%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친환경농자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액체상흡착제(HMDS) 주입조건에 따른 응축성 가스상 물질의 거동특성 비교 (Behaviour of Condensing Gaseous Species by Injection of Liquid Adsorbents (HMDS) in Combustion Facility)

  • 김용구;이상열;봉춘근;김현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85-2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의 탄화공정 시 발생되는 목초액을 응축성 가스물질의 전구물질로 이용하여 발생되는 응축성 가스상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액체상 흡착제중 실리카 전구물질인 HMDS의 주입조건에 따른 응축성물질의 입경분포 변화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응축성 가스상 물질을 입자화시켜 제거하기 위하여 액체상 흡착제인 HMDS를 이용할 경우, 흡착제의 주입량, 체류시간 및 가열온도, MFC 유량 등의 적절한 조절로써 입자화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특히 실리카 전구물질을 도입시 끓는점, 밀도(비중), 분자량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면, 발생되는 응축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입자화시켜 제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산, 기능성물질 혼합에 의한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 증진효과 (Enhanced Effectiveness of Spodoptera litura Nucleopolyhedrovirus with Organic Acids and Functional Matters)

  • 김선곤;박종대;김도익;박진영;최형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5-60
    • /
    • 2004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SINPV)의 살충력 증가를 위하여 유기산 및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다각체병바이러스(NPV) 1${\times}$$10^{5}$ PIBs/$m\ell$에 ascorbic acid, succinic acid, sulfanilic acid 2,000ppm을 바이러스 1${\times}$$10^{5}$ PIBs/$m\ell$에 첨가하였을 때 각각 7.0일, 7.일, 10.7일로 바이러스 단독으로 처리한 6.0일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boric acid 2,000ppm을 첨가한 경우 L $T_{50}$은 4.5일로서 단독처리보다 1.5일 짧았다. 유충 체중변화에서도 boric acid는 2,000ppm에서 7일째 이후 생존하는 개체가 없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0ppm과 500ppm에서도 체중이 증가하지 않아 바이러스 활성 증진을 지속시키는 물질로 판단되었다. 기능성 물질과 혼합 처리에서는 바이러스 1${\times}$$10^4$ PIBs/$m\ell$ 단독 처리는 L $T_{50}$이 7.4일이 걸리는 반면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와 전해산화수, 키토산, 목초액 혼합처리는 모두 살충기간이 길어져 혼합효과가 없었다.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농도 1.0${\times}$10$_{6}$, $10^{8}$ PIBs/$m\ell$와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였을 때도 같은 경향으로 오히려 바이러스 병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