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sh test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생에서 push-up과 push-away 방법을 이용한 조절력과 폭주 근점의 측정 (Measurement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using Push-up and Push-away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효진;이은희;오현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9-284
    • /
    • 2012
  • 목적: 12~13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push-up 방법과 push-aw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된 조절력을 비교하고, 폭주 근점을 측정하여 조절 및 폭주 부족의 발생률을 알아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안경교정시력이 1.0이상인 초등학교 학생 88명으로 평균연령은 $12.63{\pm}0.51$세(12~13세) 이었다. 조절력의 측정은 push-up 방법과 push-away 방법을 이용하였다. 폭주 근점은 분리점(break point)과 회복점(recovery point)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단안 평균 조절력은 push-up 방법이 $11.52{\pm}2.50D$였고, push-away 방법은 $10.06{\pm}1.97D$로 측정되었다. 두 방법 간의 디옵터는 $1.46{\pm}1.58D$ 만큼 push-up 방법이 크게 측정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파괴점과 회복점은 각각 $8.66{\pm}1.99cm$$10.98{\pm}2.06cm$이었다. 조절 부족은 전체의 28.75%, 폭주 부족은 전체의 30.00%를 나타냈다. 나이에 따른 정상범위의 조절력을 보인 대상자와 폭주 근점의 측정값이 모두 정상 범위에 포함된 경우는 48.75%였다.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이 함께 나타난 경우는 7.50% 였다. 결론: Push-up 방법과 push-away 방법으로 측정된 조절력은 0.6025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5). 나이에 따른 정상적인 조절력을 가진 경우는 71.25%였고, 정상적인 폭주 근점을 보인 경우가 70.00%였다.

합성보 전단연결부의 구조거동에 대한 비교 분석 (Analysis of a Load Carrying Behavior of Shear Connection at the Interface of the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 신현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통권79호
    • /
    • pp.737-747
    • /
    • 2005
  • 강재 보와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되어 지는 합성보에서 두 부재는 일반적으로 전단연결재에 의해 서로 합성되어져 일체적인 구조거동을 하게 된다. 현재까지 전단연결재로서는 스터드(stud)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합성보의 구조적 거동은 사용된 부재의 재료적 특성 외에도 스터드에 의한 전단합성작용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합성보 전단연결부에서의 전단합성거동은 합성보에서가 아닌 단순화된 Push-Out 시험체(Push-Out Test Specimen)에 의해 실험적으로 결정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Push-Out 실험에서 얻은 전단 스터드의 합성거동과 실제 합성보에서의 전단합성거동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존재하며, 특히 부분합성된 합성보에서는 그 차이가 매우 크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Push-Out 시험체 및 합성보의 구조거동 해석을 위해, Push-Out 실험으로부터 결정되는 스터드에 대한 하중-상대변위 곡선의 도입이 필요 없는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개발하였다. 해석결과의 비교 분석으로부터 합성보 전단연결부에서의 합성거동을 평가할 수 있었고, 이를 Push-Out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보았으며 전단합성거동의 차이점에 대한 구체적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비니어 세라믹과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Push-Shear 결합강도 (Push-Shear Bond Strength of Veneering Ceramics and Zirconia Ceramic)

  • 안재석;노형록;이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84-3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지르코니아 코어에 다섯 종류의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을 축성하여 push-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비니어 세라믹의 이축굽힘강도와 지르코니아 글라스 라이너 처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은 piston-on-three-ball test로 이축굽힘강도를 측정하였고, 지르코니아 실린더 코어와 비니어 세라믹은 push-shear test로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축굽힘강도는 Cercon ceram kiss (CE)군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전단결합강도는 글라스 처리군과 Triceram(TR)군이 높게 측정 되었으며 Creation ZI(CR)군에서 가장 낮은 값이 측정 되었다. 실험군에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군이 라이너 처리하지 않는 군보다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는 지르코니아와 비니어 세라믹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pplication of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to Analysis of Breakthrough Curves from Push Pull Tracer Test

  • Hyun-Tae, Hwang;Lee, Kang-Ku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17-220
    • /
    • 2003
  • In the case of the remediation studies, push pull test is a more time and cost effective mettled than multi-well tracer test. It also gives Just as much or more information than the traditionally used methods. But the data analysis for the hydraulic parameters, there have been some defections such as underestimation of dispersivity, requirement for effective porosity, and calculation of recovery of center of mass to estimate linear velocity. In this research,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is proposed to estimate the center of mass of breakthrough curve for Push pull test. The hydraulic parameter estimation using Weibull function showed more exact values of center of mass than those of exponential regression for field test data.

  • PDF

Out-of-plane performance of infill masonry walls reinforced with post-compressed wedges under lateral-concentrated push load

  • Sanghee Kim;Ju-Hyun Mun;Jun-Ryeol Park;Keun-Hyeok Yang;Jae-Il Sim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6권6호
    • /
    • pp.489-499
    • /
    • 2024
  • Infill masonry walls are vulnerable to lateral loads, including seismic, wind, and concentrated push loads. Various strengthening metal fitting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lateral load resistance, particularly against seismic loads. This study introduces the use of post-compressed wedges as a novel reinforcement method for infill masonry walls to enhance lateral load resistance. The resistance of the infill masonry wall against lateral-concentrated push loads was assessed using an out-of-plane push-over test on specimens sized 2,300×2,410×190 mm3.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dges and wedge spacing were set as variables. The push-over test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unreinforced specimen and the specimen reinforced with 300 mm spaced wedges toppled, while the specimen reinforced with 100 mm spaced wedges remained upright. Peak loads were measured to be 0.74, 29.77, and 5.88 kN for unreinforced specimens and specimens reinforced with 100 mm and 300 mm spaced wedges, respectively. Notably, a tighter reinforcement spacing yielded a similar strength, as expected, which was attributed to the increased friction force between the masonry wall and steel frame. The W-series specimens exhibited a trend comparable to that of the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Overall, the findings validate that post-compressed wedges improve the out-of-plane strength of infill masonry walls.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large high strength bolt shear connector embedded in HFRC

  • Yuliang He;Zhengxin Wang;Weiming Wu;Ying Yang;Yiqiang Xiang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9권2호
    • /
    • pp.197-213
    • /
    • 2023
  • To investigate the static properties of large high strength bolt shear connector in hybrid fiber-reinforced concrete (HFRC) and normal concrete (NC), eight push-out test specimens with single/double nut and HFRC/NC slabs were designed and push-out tests were conducted. A fine 3D nonlinear finite element (FE) model including HFRC constitutive model was established by using ANSYS 18.0, and the test results were used to verify FE models of the push-out test specimens. Then a total of 13 FE models were analyzed with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fiber volume fractions of HFRC, bolt diameter and thickness of steel flange. Finally, the empirical equations considering the contribution of polypropylene fiber (PF) and steel fiber (SF) obtained from the regression of the test results and FE analysis were recommended to evaluate the load-slip curve and ultimate capacity of the large high strength bolt shear connector embedded in HFRC/NC.

H형강 매입형 합성기둥의 부착강도 및 전단연결재의 전단거동 (Bond Strength between Concrete and Steel and Shear Behavior of Shear Connectors of H-shaped Steel Encased Composite Columns)

  • 왕녕;이혜림;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377-387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강판 매입형 합성기둥의 Push-out Test를 통해 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면적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로써 부착면적이 넓을수록 부착응력은 작아진다는 경향이 조사되었다. 또한 소규모 매입형 합성기둥의 경우에는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공칭부착 응력값이 과소하게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H형강 매입형 합성기둥의 Push-out Test를 통해 전단연결재의 수와 간격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로써 전단연결재의 전단거동을 파악할 수 있었다.

Push-Out Test에 의한 스터드와 고장력 볼트의 역학적 거동 (Mechanical Behaviors of Studs and High-Tensile Bolts by Push-Out Test)

  • 김용희;이명동;문태경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69-175
    • /
    • 1999
  • Shear connectors are completely important to composite each other in steel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Therefore a strength of shear connectors and relation of a load-slip have been carried out experimentally and analytically by the Push-Out test for this study. In this paper, eleven specimens were tested and the behavior of shear connectors in steel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are investigated.

  • PDF

합성보에 적용된 앵글 전단연결재의 Push-out 실험 (Push-out Test on Welded Angle Shear Connectors used in Composite Beams)

  • 김영주;배재훈;안태상;장동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55-167
    • /
    • 2014
  •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오랫동안 건물시공에 사용되어져 왔다. 합성보의 필수요소는 강재단면과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전단접합이며, 주로 기계적 전단연결재가 사용되며 다양한 형상의 장치가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앵글 전단연결재를 가진 push-out 실험체의 실험결과를 조사한 것이다. 앵글 전단연결재의 전단성능을 검토하기 위해서 모두 22개의 push-out 실험체를 설계하였으며, 앵글의 높이, 용접길이 및 앵글의 간격 등의 실험변수를 바탕으로 그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앵글 전단연결재의 전단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Fatigue experiment of stud welded on steel plate for a new bridge deck system

  • Ahn, Jin-Hee;Kim, Sang-Hyo;Jeong, Youn-Ju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7권5호
    • /
    • pp.391-404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push-out tests of stud shear connectors to examine their fatigue behavior for developing a new composite bridge deck system. The fifteen push-out specimens of D16 mm stud welded on 9 mm steel plate were fabricated according to Eurocode-4, and a series of fatigue endurance test and residual strength test were performed. Additionally, the stiffness and strength variations by cyclic loading were compared. The push-out test, when the stiffness reduction ratio of the specimens was 0.95 under cyclic load, resulted in the failure of the studs. The stiffness variation of the push-out specimens additionally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cyclic loads reduced the residual strength. The fatigue strength of the shear connectors were compared with the design values specified in the Eurocode-4, ASSHTO LRFD and JSSC codes. The comparison result showed that the fatigue endurance of the specimens satisfies the design values of these c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