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e technical efficiency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4초

세계 물류산업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the Global Logistics Industry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a Tobit Model)

  • 박우람;권오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1-49
    • /
    • 2008
  • 세계화를 통해 글로벌 공급사슬은 더욱 복잡해지고, 고객들은 모든 물류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객들은 물류 기업에 대해서 가격뿐만 아니라 운영적인 측면에서 높은 효율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중심으로 전세계 물류산업의 효율성의 추이와 비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5개년간 세계의 물류산업의 효율성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비효율성은 규모에 의한 비효율성보다는 순수기술효율성에 의해 나타난 비효율성에 의해서 나타나고 있었다. 비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인 요소를 살펴보면, 우선 세계화는 비효율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세계화의 요소 중에서는 경제적인 요소보다는 전반적인 세계화 정도가 더 영향을 미쳤으며, 인프라와 관련되어서는 인력, 금융적 지원, 기반 등 소프트웨어적 측면의 영향력이 더 유의했으며 법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집행의 투명성, 법제도의 효과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DEA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기업의 평가 (An Assessing of Franchisor's Firm Performance Based on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선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9-369
    • /
    • 2014
  • Due to the severe market conditions, pre-entrepreneur seeks to start their business through franchise company. This paper,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ethod, examines efficiency of a group of franchise company in order to provide efficiency information with pre-entrepreneur. Output-oriented DEA model is applied in the investigation of efficiency, and the overall efficiency score is decomposed into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The input variables sele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are franchise deposit, franchise contribution cost and the output variables are sales and number of franchises, and length of business.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 franchise industry have the low level of overall efficiency and the main sources of inefficiency is found technical rather than scale. As a result, this paper provides not only the current status of efficiency information of a franchise with pre-entrepreneur but also give warning when they sign-up with franchise business.

Malmquist 생산성 지수(MPI)를 이용한 한국 조선 산업의 생산성 변화 (Analysis on Productivity Change in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 박석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1-64
    • /
    • 2018
  • 본 고는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1-2008년, 그 이후인 2008-2015년 두 기간 동안 조선 산업의 생산성변화를 기술효율성변화, 순효율성변화, 규모효율성변화, 기술변화로 구분하여 측정함과 동시에 두 기간 동안 생산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전반기(2001-2008년)에는 2.8%의 생산성 향상되었으며, 이는 기술효율성 보다는 기술진보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후반기(2008-2015)에는 -3.4%의 생산성 하락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세계경제의 침체로 인한 선박수주 물량의 감소, 중국 조선 산업의 부상 등으로 인해 기술효율성 저하, 기술퇴보 등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중 전반기 가 후반기보다 생산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두 기간 간에 이러한 차이는 기술변화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즉, 기술 퇴보는 생산성 감소로 나타났으며, 통계적 검증을 통해서도 이를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정부 그리고 각 DMU들은 향후 생산성 증대를 위해, 글로벌 조선 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신기술개발 그리고 비효율적 요인을 제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s in Russian and Korean Ports using DEA models

  • Den, Mariia;Nah, Ho-Soo;Shin, Chang-Ho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17-328
    • /
    • 2016
  • The steady growth of seaborne trade has resulted in the further development of container ships, ports, and container terminals, and the operating efficiency of a container terminal is a decisive element for its competitive ability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Russian and South Korean container terminals. For this purpose, the output-oriented DEA was applied to 31 container terminals of Russian and South Korean seaports for the years from 2012 to 2014.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container terminals exhibited higher efficiency scores than their Russian counterparts.

DEA모형을 이용한 국적선사의 경영효율성 분석 -접대비와 광고·선전비를 중심으로- (Data Envelopment Analysis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National Shipping Enterprises in South Korea -Chiefly on the Corporate Entertainment and Advertisement Cost-)

  • 박현준;김현아;임영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35
    • /
    • 2016
  •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법(DEA)을 이용하여 기업의 경영관리비용인 접대비, 광고 선전비, 인건비를 중심으로 국내 해운기업의 경영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증시에 상장된 해운기업이다. 투입변수로 접대비, 광고 선전비, 인건비를 설정하였으며 산출변수는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 및 규모수익을 도출하였으며 비효율 DMU의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효율성 측정 결과 CCR모형의 기술효율성 분석에서 6개의 DMU와 BCC모형의 순수기술효율성 분석에서 8개의 DMU가 효율적인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의 수익측면에서는 전체 DMU의 24%인 6개의 DMU가 규모수익체증상태이며, 전체 DMU의 52%인 13개 DMU가 규모수익체감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효율성 분석결과 복수의 효율적인 상태의 DMU가 존재하여 초효율성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효율성 분석 결과 가장 효율성이 높은 DMU의 효율성 수준은 1.314, 다음은 1.243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선전비, 접대비, 인건비 투입에서 각각 31.4%, 24.3% 증가시키더라도 현재의 효율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해운기업의 접대비와 광고 선전비, 인건비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초효율성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단위의 순위를 파악하였으며 비효율 의사결정단위의 비효율성 개선을 위한 목표치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충남지역 밤나무 재배 임가의 경영 효율성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of Chestnut-Cultivating Households in Chungnam Province)

  • 원현규;전준헌;유병일;이성연;이정민;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90-397
    • /
    • 2013
  •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청양, 공주, 부여 등 충남지역의 밤나무 재배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자료는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밤나무 경영에 관한 실태조사'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관리비, 수확비, 재료비, 간접비, 재배면적)와 산출요소(조수입액)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DEA 분석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기술효율성은 평균값이 0.667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분석되었고 그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이 평균 0.944, 규모효율성이 평균 0.703으로 나타나 재배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순수기술효율성이 높았지만 규모의 효율성에서는 비효율성이 존재하였다. 효율성이 1인 임가는 기술효율성 6개, 순수기술효율성 13개, 규모효율성이 6개 임가로 나타났고, 3개 모두 1인 임가는 6개로 나타났다. 표준진단표 점수와 비교한 결과 80점이상 고득점을 기록한 임가는 5개로 나타났고 이 중 기술효율성이 1로 분석된 임가는 3개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효율성과 표준진단표의 최저점수와 최고점수를 기록한 임가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DEA를 이용한 경영 효율성 평가가 표준진단표와 함께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An Efficiency Analysis of Takaful Insurance Industry: A Comparative Study

  • COSKUN, Ali;HABIBNIYA, Houshang;KECELI, Yavuz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111-120
    • /
    • 2021
  • Takaful, which is an Islamic insurance instrument, manages risks in business, according to Shariah (Islamic law) principles and offers risk protection and savings assets. The study analyzes the comparative efficiency of takaful insurance companies by implementing empirical research. The study also provid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takaful industry. The empirical part presents a wide range of efficiency comparisons of 41 takaful insurance companies in 16 countries between 2009 and 2014. The data enveloping analysis technique is utilized using the rDEA package in the R environment to compute the efficiency score. In the study, the technical efficiency, overall technical efficiency,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are calculated and compared per year and per countr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overall average efficiency scores of takaful companies are considerably high. The study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excess in the consumption of inputs decreases while the deficit in achieved outputs has been declining in the covered period. The study suggests the managers of the takaful companies can use the target efficiency scores, which are calculated by using the DEA analysis, as an ideal reference benchmark for planning their inputs and outputs.

시설수박의 출하시기별 효율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Watermelon Using the Bootstrapping DEA Model)

  • 이상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41
    • /
    • 2018
  • The paper aims to estimate efficiency of watermelon by using a bootstrapping approach to generating efficiency estimates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resampling process. We use the input-output data for watermelon 107 farm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estimates of efficiency depends on the methodology. The estimates of general DEA is greater than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technical efficiency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measure of watermelon is 0.72, 0.82 respectively. However the bias-corrected estimates are less than those of DEA. We know that the DEA estimator is an upward biased estimator.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DEA bootstrapping model used here provides bias-corrected and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point estimates, it is more preferable.

공공병원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Measur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Korean Public Hospitals)

  • 유태우;임종은;지홍민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9-98
    • /
    • 2004
  • Despite its contribution to the Korean medical service industry the question of how efficiently the Korean public hospitals have operated has been unresolved. This study gauges and analyzes the overall efficiency and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in the industry over the period 1992 through 2001. In addition to cost efficiency. we also measure technical, allocative,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Furthermore. the Malmquist index is decomposed into efficiency and frontier changes. We identify several important factors which seem to have strong relationship with various inefficiency estima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on average the public hospitals has wasted a significant amount of resources and costs over the period. Unlike many other industries, the low level of cost efficiency of the public hospital industry is mainly due to allocative inefficiency rather than technical inefficiency. The Maimquist productivity indices seem both due to the frontier change and efficiency change, but with more effect by the former.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turnover of hospital bed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is important industry.

3단계 DEA모델을 이용한 중국의 에코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Ecological Efficiency of Chinese Provincial Based on the Three-stage DEA Model)

  • 나상균;우건광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307-327
    • /
    • 2017
  • 에코 효율성은 경제 및 자원 환경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요인이다. 에코 효율성은 중국의 지역 경제 및 자원 환경의 평가 척도가 된다. 본 연구는 3단계 DEA 모델을 이용하여 2014년도의 중국에 있는 31개성의 에코 효율성을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외부환경변수인 환경 거버넌스의 총 투자액, 2차 산업 및 1인당 자동차 소유량이 중국 지역의 에코 효율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부환경 및 임의오류를 제외한 후 중국 지역의 에코 효율성은 0.526에서 0.639로 증가하였고, 순수 기술 효율성은 0.650에서 0.858로 증가하였으며, 규모 효율성은 0.833에서 0.740로 감소하였다. 또한 순수 기술 효율성 및 규모 효율성의 측정을 위해서 중국에 있는 31개성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의 각 성은 에코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각성의 특성에 적합한 에코 효율성 유형에 따라 관리수준을 제고하거나 생산규모를 확대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