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Productivity Change in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almquist 생산성 지수(MPI)를 이용한 한국 조선 산업의 생산성 변화

  • Received : 2018.02.16
  • Accepted : 2018.03.26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change of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between 2001-2008 and 2008-2015 by using MPI(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o decompose the sourc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into technical efficiency change, scale efficiency change, pure efficiency change, technical change.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2001-2008), productivity increased by 2.8%, which wa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rather than technical efficiency. In the second half (2008-2015), productivity change declined by -3.4%. This is attributable to the technical efficiency deterioration and technological degeneration caused by a decrease in shipbuilding orders due to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ise of Chines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productivity change was higher than in the second half.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is attributed to the technical change and it was proved by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government and each DMU need to develop new technologies to cope with changes in the global shipbuilding industry environment and strategies to eliminate inefficiencies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future.

본 고는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1-2008년, 그 이후인 2008-2015년 두 기간 동안 조선 산업의 생산성변화를 기술효율성변화, 순효율성변화, 규모효율성변화, 기술변화로 구분하여 측정함과 동시에 두 기간 동안 생산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전반기(2001-2008년)에는 2.8%의 생산성 향상되었으며, 이는 기술효율성 보다는 기술진보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후반기(2008-2015)에는 -3.4%의 생산성 하락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세계경제의 침체로 인한 선박수주 물량의 감소, 중국 조선 산업의 부상 등으로 인해 기술효율성 저하, 기술퇴보 등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중 전반기 가 후반기보다 생산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두 기간 간에 이러한 차이는 기술변화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즉, 기술 퇴보는 생산성 감소로 나타났으며, 통계적 검증을 통해서도 이를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정부 그리고 각 DMU들은 향후 생산성 증대를 위해, 글로벌 조선 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신기술개발 그리고 비효율적 요인을 제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목.이주명(2008), 항만물류 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그 분해요인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제24집, 제4호, 47-70.
  2. 강강석(2012), 한국과 중국.일본의 조선산업 국제경쟁력 비교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구종순(2014), BSC-DEA와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활용한 우리나라 해운선사의 벤치마킹 관리에 관한연구, 해운물류연구,제83집, 제1호,579-615.
  4. 신덕(2001), 조선기업의 경쟁우위 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박만희(2008),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서울: 한국학술정보.
  6. 박석호(2010), 국내 대형조선업계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한국항만경제학회지,제26집,제4호,188-206.
  7. 박석호.김호남(2012), 조선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2호, 155-177.
  8. 박홍균(2012), 지역에 따른 육상운송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4호,59-77.
  9. 오성동.박노경(2001), 컨테이너항만의 국제경쟁력 분석방법: EDA접근-생산효율성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7집,제1호,27-51.
  10. 오원균(2012), 글로벌 물류기업의 경영생산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2호,113-128.
  11. 이정동.오동현(2010),효율성분석이론,IB BOOK.
  12. 이영재.공정민.전준우.여기태(2016), DEA와 Malmquist 지수를 활용한 화물자동차 운송업체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2호, 91-103.
  13. 정영근.임응순(2011),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129-143.
  14. 정학빈.김율성(2016), Super Efficiency DEA와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활용한 한.중컨테이너 터미널의 효율성 비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3호 1-20.
  15. 조영상(2012), 한국, 중국, 일본 조선해양산업 경쟁력에 관한 실증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은경(2011), 조선해양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환경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윤기.배규한(2009), 중국 지역경제의 수렴성 및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동북아경제연구, 제21권 제 12호, 255-281.
  18. 지창구(2008), 후발기업의 추월전략에 관한 연구:한일조선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채종훈(2010),지역산업 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4집, 제1호, 33-53.
  20.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조선자료집, 매년호.
  21. 한국수출입은행(2012),"2012년도 중국 조선산업 동향" Issue Briefing.
  22. 한국수출입은행(2012), "2013년도 조선해운시황 전망", 산업리스크 Report, Vol. 2012-S-13.
  23. Farrell, M. J.(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120, 253-281. https://doi.org/10.2307/2343100
  24. Fare, R., Grosskopf, S., Norris, M. and Zhang, Z.(1994), "productivity growth, technical progress and efficiency change in industrrialized countries", American Economic Review, 84, 66-83.
  25. Francois, J.F. and J. Woerz(2008), "producer Services, Manufacturing Linkages, and Trade", Journal of Industry, Competition and Trade, Vol. 8, No. 3, 199-229. https://doi.org/10.1007/s10842-008-0043-0
  26. Kim, S. W., Chou, Y. H.(2007), "Total Fator Productivity and Determinants in China: Regional Perspective", Journal of Economic Studies, 25(2), 191-215.
  27. Krishnasamy, G., Ahmed, E. M.(2009), "productivity Growth Analysis in OECD Countries: Application of Metafrontier Functions", The Journal of the Korean Economy, 10(2) 225-244.
  28. Lee, J. Y.(2008), "global Trends of Productivity Growth: Evidence from the Malmquist Index" Journal of International Eonomic Studies, 12(1) 111-136.
  29. Mazumdar, M., Rajeev, M.(2009), "Compar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Indian Pharmaceutical Firms: A Malmquist -Meta-Frontier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s, 8(2) 159-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