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lulan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1초

Expression of Cyclodextrinase Gene from Paenibacillus sp. A11 in Escherichia coli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urified Cyclodextrinase

  • Kaulpiboon, Jarunee;Pongsawasdi, Piamsook
    • BMB Reports
    • /
    • 제37권4호
    • /
    • pp.408-415
    • /
    • 2004
  • The expression of the Paenibacillus sp. A11 cyclodextrinase (CDase) gene using the pUC 18 vector in Escherichia coli JM 109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an insoluble CDase protein in the cell debris in addition to a soluble CDase protein in the cytoplasm. Unlike the expression in Paenibacillus sp. A11, CDase was primarily observed in cytoplasm. However, by adding 0.5 M sorbitol as an osmolyte, the formation of insoluble CDase was prevented while a three-fold increase in cytoplasmic CDase activity was achieved after a 24 h-induction. The recombinant CDase protein was purified to approximately 14-fold with a 31% recovery to a specific activity of 141 units/mg protein by 40-60%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Toyopearl 650 M, and Phenyl Sepharose CL-4B chromatography. It was homogeneous by non-denaturing and SDS-PAGE. The enzyme was a single polypeptide with a molecular weight of 80 kDa, as determined by gel filtration and SDS-PAGE. I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pH 7.0 and $40^{\circ}C$. The catalytic efficiency ($k_{cat}/K_m$) values for $\alpha$-, $\beta$-, and $\gamma$-CD were $3.0{\times}10^5$, $8.8{\times}10^5$, and $5.5{\times}10^5\;M^{-1}\;min^{-1}$, respectively. The enzyme hydrolyzed CDs and linear maltooligosaccharides to yield maltose and glucose with less amounts of maltotriose and maltotetraose. The rates of hydrolysis for polysaccharides, soluble starch, and pullulan were very low. The cloned CDase was strongly inactivated by N-bromosuccinimide and diethylpyrocarbonate, but activated by dithiothreitol. A comparison of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CDases from Paenibacillus sp. A11 and E. coli transformant (pJK 555) indicates that they were almost identical.

대전광역시 옥녀봉과 연자산 나뭇잎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Yeasts Isolated from Leaves of Trees of Oknyeobong Peak and Yeonjasan Mountain in Daejeon, Korea)

  • 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3-30
    • /
    • 2017
  • 각종 나뭇잎들의 효모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서부지역에 위치한 옥녀봉과 연자산의 나뭇잎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로부터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옥녀봉의 나뭇잎 20점으로부터 15종 22균주의 야생효모를 분리, 동정하였고 Cryptococcus bestiolae가 5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또한 연자산 나뭇잎 20점에서는 모두 12종 24균주의 야생효모를 분리하였고 Aureobasidium pullulans가 8주로 가장 많았다. 옥녀봉과 연자산에서 분리한 야생효모 46균주 중에서 6종(Cryptococcus kuetzingii JSL508, Cryptococcus vishniacii JSL509, Dioszegia takashimae JSL510, Plowrightia periclymeni JSL514, Erythrobasidium hasegawianum JSL0193, Rhodotorula nothofagi JSL0196)을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하였다.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E. hasegawianum JSL0196은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다. D. JSL510 외 모든 미기록 효모들은 내염성 또는 호염성이었고, C. JSL508과 D. JSL510은 $37^{\circ}C$에서 생육하는 고온성 효모들이었다.

알칼리성 플루라나제를 생산하는 세균 Bacillus sp. S-1의 분리와 효소특성에 관한 연구 (lsolation of A Moderately Alkaline Pullulanase-Producing Bacillus sp. S-1 and Enzyme Characterization)

  • 이문조;심재경;박진우;김동수;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5-106
    • /
    • 1997
  • 전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토양으로부터 균체외 플루탄아제효소를 대량분비하는 약알칼리성균주 Bacillus sp. S-1를 분리하였다. 본 균주의 풀루란아제효소 생샨의 최적 pH는 6-10 사이였으며, 조효소의 가용성전분과 플루란에 대한 주요반응 최종산물은 말토트리오스로, 본 효소가 ${\alpha}$-1,6-glycosidic 결합에 특이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균주는 지금까지 알려진 알칼리성균주들의 플루란아제 생산성보다 월등히 높은 7.0U/ml를 생산하였으며, 정제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8.0-10.0와 50-60$^{\circ}$C로서 알칼리성 및 호열성의 특성을 나타났었다. 또한 정제효소는 pH12에서도 약 10%의 활성을 유지하며, 넓은 pH범위에서도 안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균주가 플루란아제 생산균주로서의 이용가능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해양미생물 Psychrobacter aquimaris LBH-10가 생산하는 산성 carboxymethylcellulase의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Acidic Carboxymethylcellulase Produced by a Marine Microorganism, Psychrobacter aquimaris LBH-10)

  • 김혜진;고와;이유정;정정한;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7-495
    • /
    • 2010
  • Carboxymethylcellulose (CMC)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해수에서 분리하였으며,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Psychrobacter aquinaris로 학인 되어 P. aquinaris LBH-10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는 CMC, 셀로바이오스, 커드란, 여과지,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pNPG), 풀루란 및 자일란을 분해하였으나, avicel 및 섬유소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P. aquinaris LBH-10이 생산하는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의 최적 반응 온도는 $50^{\circ}C$이었으며, $20^{\circ}C$에서 $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9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이 균주가 생산하는 CMCase의 최적 반응 pH는 3.5이었으며 pH 2.5에서 pH 7.0 사이의 산성 조건하에서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7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P. aquinaris LBH-10이 생산하는 CMCase의 최적 반응 pH는 지금까지 발견된 섬유소 분해효소 중에서 가장 낮은 pH로 판단된다. 제한된 농도의 $CoCl_2$, EDTA, 및 $PbCl_2$은 P. aquinaris LBH-10가 생산하는 CMCase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HgCl_2$, KCl, $MnCl_2$, $NiCl_2$, 및 $SrCl_2$는 이 균주가 생산하는 CMCase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천연 색소인 안토시아니딘 기반의 인쇄형 시간-온도이력 지시계 개발 (A Novel Printable Time-temperature Integrator with Anthocyanidin, a Natural Coloring Matter)

  • 장한동;양정화;김도현;안명현;한서현;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9-56
    • /
    • 2018
  • 인쇄형 TTI의 잉크로 천연물질인 안토시아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인쇄형 TTI를 제작하여 색 변화를 확인하였다. 안토시아닌은 반응속도가 느려 TTI에 적용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eta}$-글루코시다아제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의 탈당화를 유도하여 보다 불안정한 안토시아니딘 잉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인쇄형 TTI로 제작이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인쇄적성을 확인하고 적용가능한 식품군을 탐색하였다. 실험결과, 인쇄적성의 경우, 틱소트로피의 히스테리시스 성질을 나타내어 인쇄적성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색 변화의 경우, 같은 온도와 pH 조건 하에서 안토시아닌 TTI의 색 변화 속도보다 안토시아니딘 TTI의 색 변화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안토시아닌 인쇄형 TTI의 활성화 에너지는 65.21 kJ/mol, 안토시아니딘 인쇄형 TTI의 활성화 에너지는 86.92 kJ/mol로 확인되었다. 이는 ${\beta}$-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한 안토시아닌의 탈당화가 안토시아닌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활성화 에너지도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TTI의 활성화 에너지와 식품의 활성화 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안토시아닌 TTI는 냉장 육제품에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하였다. 반면에 안토시아니딘 TTI는 냉장 육제품과 냉장 어류에 적용 가능하였다. 하지만, 안토시아닌 TTI는 색 변화 종말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냉장 육제품에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안토시아니딘 TTI의 경우, 색 변화 종말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냉장 육제품과 냉장 어류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이 생산하는 Biopolymer YU-122의 물리, 화학적 특성 (Properties of Biopolymer YU-122 from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

  • 최용석;옥승호;유주현;배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8-144
    • /
    • 1997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이 생산하는 biopolymer YU-122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그의 식품 및 생물산업에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여보았다. Biopolymer YU-l22의 flow behavior index (n)는 0.173으로서 pseudoplastic한 non-Newtonian용액 특성을 보였으며, 농도, 온도 및 pH의 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0.3%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농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60^{\circ}C$, pH 11.0까지 점도의 변화 없이 안정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다른 polymer와는 달리 $NaCl,\;CaCl_2$ 등의 무기염의 첨가에 대하여서도 점도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이 생산하는 biopolymer YU-122의 산업적 응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화안정제로서의 성질 및 film 형성능, 해빙시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한 결과 옥수수유를 사용한 경우 xanthan gum보다 4배인 120시간동안 유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xanthan gum보다 우수한 film 향성능을 나타내었으며, 1% biopolymer YU-122용액에서 해빙시간이 3배까지 연장되어 해빙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다당류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8-Cholesteryloxycarbonyl)heptanoated Polysaccharides)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0권4호
    • /
    • pp.338-349
    • /
    • 2006
  •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키토산, 키틴, 알긴산, 풀루란 또는 아밀로펙틴을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 노일 클로라이드 (CH8C)와 반응시켜 전치환 또는 거의 전치환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 헵타노화 다당류 유도체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액정의 거동들을 검토하였다. CH8C 의 경우와 같이, 아밀로펙틴 유도체를 제외한 모든 다당류 유도체들은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니며 온도상승에 의해 광학피치들 $({\lambda_m}'s)$이 감소하는 단방성 콜레스테릴 상들을 형성하였다. 아밀로펙틴 유도체도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닌 단방성 콜레스테릴 상을 형성하나 다른 다당류 유도체들과 달리 콜레스테릴 상의 전 범위에서 반사색깔들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아밀로펙틴 중의 분기구조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다당류 유도체들에서 관찰되는 액정 상의 열적 안정성과 질서도, 동일한 온도에서의 ${\lambda}_m$ 의 크기 그리고 ${\lambda}_m$의 온도 의존성은 콜레스테릴 그룹들을 유연한 스페이서들을 통하여 유연한 흑은 반강직한 골격들에 도입시켜 얻은 고분자들에 대해 보고된 결과와 전혀 다르다. 이들의 결과를 주사슬과 곁사슬의 화학구조 그리고 주사슬의 유연성의 차이와 관련하에서 검토하였다.

목재 유물 돈궤의 미생물 제어를 위한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 연구 (Study of Optimal Gamma Irradiation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for the Control of Fungi on Wooden Cultural Property)

  • 윤민철;정용재;강대일;김익주;김광훈;이윤종;이주운;최종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7-134
    • /
    • 2011
  • 본 논문은 목조문화재의 생물학적 제어를 위하여 몬테카를로(Monte Carlo) 방법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선량의 예측과 실증에 관한 연구이다.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목재 유물 돈궤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한 결과 채집된 곰팡이들은 대부분 Aureobasidium pullulans로 동정되었으며 돈궤를 20 kGy의 감마선 조사한 결과 모두 불활성화 되었다.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돈궤의 방사선 조사선량 분포를 예측하였으며, alanin dosimeter를 이용하여 돈궤의 앞, 뒷면에 각각 7 지점에 대한 방사선 조사선량 분포를 실측하였다. 그 결과 몬테카를로 모사값과 실험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마선의 높은 투과력과 모사 예측을 통하여 최적 방사선 조사선량으로 목조 유물의 미생물학적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부터 분리한 β-1,3/1,6-glucan의 면역활성의 연구 (An in vitro study of immune activity by β-1,3/1,6-glucan isolated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 윤종영;황권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06-912
    • /
    • 2016
  • ${\beta}$-Glucan은 효모나 버섯의 세포벽이나 곡물의 섬유에 들어있는 천연 화합물이며,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 한다고 알려져 있다. Aureobasidium pullulans 수용성의 ${\beta}$-1,3/1,6-glucan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A. pullulans 로부터 생성된 ${\beta}$-1,3/1,6-glucan의 면역활성에 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면역활성에 관여하는 NK 세로의 활성과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NK 세포에 의한 Yac-1 세포의 사멸율은 ${\beta}$-1,3/1,6-glucan을 처리한 군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63-3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은 zymosan을 처리한 군보다 15-21% 증가함을 보였다. LP-BM5 바이러스 복제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SC-1/LP-BM5 세포주에 ${\beta}$-1,3/1,6-glucan을 처리한 결과 $200{\mu}g/mL$ 처리에서 LP-BM5 바이러스 복제능이 최대 74%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beta}$-1,3/1,6-glucan이 면역활성에 관여하는 NK 세포와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면역체계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들고, LP-BM5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여 면역력을 증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둔산과 칠갑산 나뭇잎에서 야생효모들의 분리 및 특성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Leaves Obtained from Mt. Daedun and Mt. Chilgap, Korea)

  • 한상민;이상엽;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1-42
    • /
    • 2017
  •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 걸쳐있는 대둔산과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의 각종 나뭇잎 87점을 수집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대둔산 나뭇잎들에서는 Cryptococcus tephrensis JSL0131를 포함하는 Cryptococcus속 균이 18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Aureobasidium pullulans도 16균주가 분리되었다. 이들 중에서 Asterotremella humicola JSL502, Barnettozyma californica JSL503, Bullera unica JSL501, Bulleromyces albus JSL505와 Candida vaccinia JSL507이 국내 희귀 효모들이었고 Bulleromyces albus JSL505와 Bullera unica JSL501은 10%의 NaCl을 함유한 배지에서도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였다. 칠갑산 나뭇잎에서는 Pseudozyma aphidis JSL614를 포함하는 Pseudozyma속 균이 가장 많이 분리 되었다. Rhodotorula phylloplana JSL515, Rhodotorula pinicola JSL516과 Schwanniomyces vanrijiae JSL517과 Sporisorium loudetiae JSL518 등 4균주들이 국내 희귀 종이었고 Sporisorium loudetiae JSL518은 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였으며 Rhodotorula pinicola JSL516과 Schwanniomyces vanrijiae JSL517은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