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service motiva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초

팟캐스트를 활용한 국내공공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Public Library Service Using Podcast)

  • 정옥경;이미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7-2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팟캐스트가 국내외 공공도서관에서 어떻게 제공되는지에 대한 서비스실태 및 현황을 해당 사이트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팟캐스트를 활용한 서비스영역의 확장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 결과 국외도서관은 도서관 행사 및 이용안내, 책 리뷰, 도서관 홍보, 정보제공 및 콘텐츠제공 등을 하였으며, 연령별 팟캐스트와 도서관 소식 팟캐스트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공공도서관은 팟캐스트의 활용도가 낮았으며, 신간도서 소개와 권장도서 소개를 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인천율목도서관의 사서들이 직접 '책속 한 구절을 읽어주기'와 '사서 책을 권하다'는 팟캐스트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해당도서의 대출율과 이용률이 증가하였다. 이렇듯 국내 공공도서관에서도 팟캐스트를 적용하여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기부여와 흥미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 수출지원기관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Determinants affecting to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of Korean Organizations Promoting SMEs' Export)

  • 김재우;정윤세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275-295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무역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해 온 중소기업 수출지원기관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무역 2조 달러 달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수출지원조직의 조직원들의 공공봉사동기와 자긍심은 조직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토대로 검증했을 때 여성과 근속년수가 짧은 직원의 조직몰입도가 낮게 나왔다. 한편, 변수들의 하위요인들 중 내재적 직무만족감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외재적 만족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수출지원기관 직원들이 급여나 승진보다는 직무가치인식이나 사명감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러한 마음가짐이 우리나라 무역발전의 원동력이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수출지원 기관들이 보다 실질적인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을 위해 직무성취감을 높이고 성과를 거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신임해양경찰관의 성격 요인과 보상 요인이 PS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Newly Appointed Coast Guard Officers Personality Factors and Compensation Factors on PSM)

  • 김종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38-844
    • /
    • 2020
  • 본 연구는 신임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성격과 보상이 PSM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첫째, 성격 요인의 하위변인 중 신경성은 PSM의 하위변인인 공공정책 호감도와 공익몰입, 동정심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성격 요인의 하위요인 중 외향성 요인은 PSM의 하위변인 중 자기희생에만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요인은 대부분 PSM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내적 보상은 PSM 하위변인 중 동정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성격 요인이 공공봉사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된 결과 채용에서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보상과 공공봉사 동기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모바일 서비스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내재적 이용동기에 의한 정보기술수용모형의 확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ceptance Decision Factors of Mobile Services: Focusing on Expand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y Intrinsic Motivation)

  • 주시각;손영곤;전상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117-146
    • /
    • 2011
  • 본 연구는 WCDMA로 대표되는 제 3세대 이동통신서비스의 수용의향과 관련된 동기를 파악함으로써 테크놀로지 수용과 관련된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의성이 수용의향을 설명하는 이론중의 하나인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의성 두 가지 요인의 선행 변수로 내재적 동기를 상정하였으며, 이것이 다시 수용의향에 이르는 통합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및 대도시 거주 만 13세 이상 49세 이하 현 이동통신 서비스를 가입, 이용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서비스 수용과 관련된 제반 변수들의 영향 관계 및 모형의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WCDMA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의성은 수용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편의성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동기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서 보여지듯 정보기술수용모형의 타당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테크놀로지 이용에 있어 내재적동기에 의한 이용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 PDF

보건소직원의 조직에 대한 인식과 동기부여요인 및 직무만족요인 (Recognition Level of Organization,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of the Staff of Health Centers)

  • 남철현;위광복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49
    • /
    • 2000
  • 보건소 조직구조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5 점척도 기준으로 재량권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3.55 점으로 가장 높았고 보건소 조직구조에 대한 일반적 인식이 3.06점, 업무분장의 적합성 3.05점, 인력ㆍ예산의 적정성이 2.93 점, 의사결정권 소재에 대한 인식이 2.77 점 순이었다. 보건소 조직구조에 대한 직원들의 일반적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50 대 이상에서, 고졸 이하에서, 6급이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20년이상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2년이하에서, 월평균 보수가 181만원이상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의사결정권 소재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대도시에서, 남자에서, 기혼자에서, 6급이상자에서, 보건ㆍ행정직에서, 월평균 보수가 131-180 만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재량권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20 대에서, 미혼자에서, 대졸이상자에서, 간호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5년이하자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2년 이하자에서, 월평균 보수가 80 만원 이하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다. 인력ㆍ예산 적정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여자에서,30 대에서, 기혼자에서,8 급에서, 보건ㆍ행정직에서, 현부서 근무기간 2-4년인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다. 그리고 업무분장의 적합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기혼자에서, 의료기술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20 년이상자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4년이하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틀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보건소 직원들의 보건소 조직관리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의사결정시 의견반응에 관한 인식도가 2.92 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이 2.88점, 보건소 인사관리에 대한 인식이 2.63점이었다. 보건소 인사관리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40대에서, 6급 이상자에서, 의료기술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이 20년 이상자에서, 현부서 근무기간이 2년 이하자에서, 월평균 보수가 181만원 이상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의사결정시 의견반응에 관한 인식도 점수는 중소도시에서, 여자에서, 8급에서, 보건ㆍ행정직에서, 현부서 근무기간 2 년 이하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도 점수는 50대 이상에서, 고졸 이하자에서,6 급 이상 자에서, 의무직에서, 공무원 근무경력 15-20 년인 자에서 각각 타 군보다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직무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 교육정도, 업무분장의 적합성,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 동기요인, 위생요인 이었으며, 조직문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공무원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기간, 보건소 인력ㆍ예산의 적정성에 대한 인식, 업무분장의 적합성, 의사결정시 의견반응에 관한 인식, 목표량 설정방법의 합리성에 관한 인식이었다.

  • PDF

위조품 구매동기와 사용혜택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모형분석 (Causal Relation Analysis of the Motivation and Benefits Factors Affecting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of Counterfeit Goods)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287-293
    • /
    • 2012
  • 본 연구는 위조품 구매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위조품 동기와 위조품 사용혜택요인 및 위조품 구매의도 간의 인과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위조품 사용 동기중 과시성 동기는 위조품 개인적 혜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감 동기는 위조품 혜택요인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족감 동기는 위조품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쳤다. 셋째, 실용성 동기는 개인적 혜택과 경제적 혜택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용성 동기는 경제적 혜택과의 관련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품질동기는 개인적 혜택과 경제적 혜택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 동기 또한 경제적 혜택과 더 강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조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위조품 구매행동을 줄이려는 목적을 둔 공공 캠페인 담당자와 공익광고를 제작하고 기획하고자하는 광고담당자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치과위생사의 자기결정성동기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및 보상 만족도의 조절효과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Job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 김민정;김지영;류시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3-184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identify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their job engagement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that affect the relevanc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260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Busan, South Korea. These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and SPSS Process Macro 3.5. A frequency analysis, including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percent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as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job engagement. Results :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the dental hygieni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job engagement, which was the dependent variable. Higher intangible compensation satisfaction levels led to a stronger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but a weaker effect of extrinsic motivation on job engagement. Moreover, higher tangible compensation satisfaction levels strengthened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job engagement. Conclusion : Recently, the demand for oral health care has been increasing, Competition in the dental medical service market warrants, high-quality dental services based o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In this context, dental hygienists' job engagement must be improved. For this purpose,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ith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is effective. In addition,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engagement. On the basis of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dental hygienists' welfare system and manpower management.

개발주체별 자연휴양림 시설물의 차이 (Differences in Faciliti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Developed by Public and Private Bodies)

  • 장병문;서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5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faciliti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developed by public and private body to answer the research that what is the difference in development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between public and private developer\ulcorner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s, developer's decision-making and motivation of investment, and the planning proces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we had constructed th conceptual framework and have foun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Using data on development statu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questionnaire surveying of 625 visitors from 9 among 72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Korea, We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comparison of quantity of facilities per 1000 visitors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 for quality of facilities. We have found that 1) the six facilities have bee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difference of public and private recreation forests. i.e., infrastructure including roads, maintenance and information and lodging and evacuation, in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 and shopping, 2) public recreation forests are well equipped such basic facility as roads, maintenance and information, lodging and evacuation while private recreation forests are well equipped such facility as in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 and shopping, and 3) the importance of such facility as roads, maintenance and information, lodging and evacuation, outdoor education, and shopping have been turned out to have 1.99, 2.26, 1.99, 3.01 and 2.24 tim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indoor education, respectively. We can conclude that public recreation forest seems to be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for sound recreational opportunities for general public, and private recreation forest turned out to have more facilities for pursuit of profits, installed basic facilities for user convenience and service, and special facilities for attracting user and raising revenue.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can make a guideline for a market positioning, and standards and provision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We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atisfaction and recreation facility is needed to be examined in the future research.

  • PDF

공중보건한의사의 진료여건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Medical Conditions of Public Health Oriental Medical Doctors)

  • 정명수;오충선;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3-80
    • /
    • 2006
  • Public health oriental medical doctor has played a great role in providing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oriental medical health program with public health medical services, the basic infrastructure, however, is not sufficien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treatment working or service condition of public health oriental medical doctor. 1. The payment, allowance of doctors are fixed upon the law and guideline according to the financial status of local government. The branch of public health center has more support like an official residence with expenses. 2. The public health center mainly has assitants and ratio of full-timer is more than the branch public health center without any assistants if any, they are temporary employee 3. The public health center has 5.22 beds while the branch has 3.14 beds. The daily average number of patient for public health center is 15.01 while the branch has 8.7 More than half of outpatients are over sixtie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4. Regarding the traveling clinic, the public health center put into more operation than the branch. The 3rd year serving public doctor gives negative about the traveling clinic much more than 1st and 2nd year serving public doctor. The treatment service condition of public doctor of the public health center is better than the branch doctor, but we are on the point of role-changing as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ve treatment to bring up motivation, education and competence strengthening for execution the local-bound health program.

  • PDF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Focusing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김여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1권
    • /
    • pp.5-25
    • /
    • 2010
  • 본 연구는 신종플루 관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를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보호동기요인(신종플루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개인과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델(SEM)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신종플루 관련 보호동기 요인들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냈으나 '대처효능감'은 제외되었다. 또한 세 가지 보호동기 요인(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들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대처효능감'을 제외한 모든 보호동기 요인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보호동기 요인들 중에 '인지된 취약성'과 '대처효능감'만이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두 연구모형의 공통점으로는 신종플루 뉴스이용 정도가 개인 또는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질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있어서 건강보호 대상(자신 혹은 타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심리적 보호동기들은 다르게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