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2초

공공도서관 의학정보서비스를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in a Public Library)

  • 이란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3-86
    • /
    • 2001
  • 지금 전 세계에서는 인간수명의 연장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의 발달로 의료정보 접근과 의료 상담에 관련된 사이트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의학정보에 대한 오남용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이제 공공도서관에서도 이용자에게 건강·의학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능동적인 지역정보봉사를 제공해야만 하는 시점에 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정보봉사의 개선을 위한 한 방안으로 의자정보사이트의 구축과 관리를 지원하는 통합 지식관리시스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도서관의 의학 정보서비스에 관련된 이슈와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에 관련된 이슈를 다룬다. 그 다음 국내외 12개 의학정보사이트를 분석한 후 공공도서관 의학정보사이트 구축에 대한 계획 및 구성을 제안한다. 끝으로 의학정보사이트를 지원하는 5개의 하부 시스템으로 구성된 통합 지식관리시스템의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지식창출 시스템, 2)기술지원 시스템, 3)교육지원 시스템 4)커뮤니티 시스템, 5)지식공유 네트워크 시스템. 이 시스템은 지식경영에 기초를 둔 통합 지식관리시스템으로서 공공도서관이 보다 경쟁력을 갖고 지역정보봉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것이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마케팅 (Applic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Public Library Marketing)

  • 이성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9-19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공공도서관 자료선정과 서비스개발에 갖는 의미를 마케팅적 시각에서 탐색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이란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조작해서 표현해낼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이다.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교통관련정보, 정치적, 법적, 인구 통계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지리정보시스템을 마케팅의 첫 단계인 시장조사 즉 이용자분석에 활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자료선정과 서비스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이용자와의 지속적 관계형성이라는 마케팅의 최종목적을 달성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 분석을 통한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in Seoul)

  • 김신영;권나현;김선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85-409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차 서울시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8~2022)」과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 따른 서울시의 시행계획을 연계하여 분석하고,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종합하여 정책개발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어 서울시 25개 자치구 173개 공공도서관의 투입지표와 자료서비스, 프로그램 이용실적, 웹이용, 상호대차 등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별 도서관 서비스의 성과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성과관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관리를 위하여 전략목표와 핵심과제의 선정에 내실화, 성과관리의 범주 설정, 이용자 중심의 성과지표 개발, 정성지표 한계점 개선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물리적인 투입지표의 부실로 인하여 산출지표로 표현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투입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 지표 간의 관련성이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성과관리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서비스 격차의 해소를 독려할 필요성이 있다.

공공도서관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Service Scape on Customer Loyalty)

  • 김영희;조동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9-36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scape, flow,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r adults who use public libraries for academic purposes in a changing public library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s of public library service-scape, immersion,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th existing literature,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is, and empirically verified them.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data for adults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e purpose of reading books or studying. The collected data were check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ul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atiality, aesthetics,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Second, spatiality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ird,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Fourth, Flow and us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strategic direction to enhance the service competitiveness of public libraries by strengthening the service-scape.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 조찬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1-188
    • /
    • 2008
  • 사회의 발전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존재와 그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운영을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론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현재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는 문화프로그램을 웹페이지를 통하여 다양한 파도에서 조사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서울시 소재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 그램의 운영실태 조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그 운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그 목적이 있다.

도서관 관리의 이론과 공공도서관 관리의 현황 (Theories and Present Status of Public Library Management)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7-10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of public library management. The assumptions on which this research is based are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 theories taught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brarians and the practices actually managed at libraries, and that the differences are greater in Korea than thos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the former has a shorter library history and is a more bureaucratic society. The data were collected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sent to fifty-five public library managers in Taegu and Kyungpook province. Forty-two respondents replied, making the returned rate of 76.4%. Th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but they are not so great as expected.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hat the theorists state and what the practicing managers accept.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library managers agree that the new management theories and techniques can be adopted to their libraries. The hindering factors are found out, and based on the findings, a few suggestions are provided.

  • PDF

국내외 도서관의 아동서비스와 직무사례 분석 (Analysis of Children's Services and Children's Librarian Jobs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 윤희윤;김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32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아동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표준 직무모형 개발의 예비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영국, 일본 국내의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아동서비스의 현황과 특징, 직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서비스를 위한 도서관 경영관리, 아동장서의 개발과 보존관리, 아동자료의 정리와 DB관리, 직접적 및 간접적 아동서비스, 도서 및 독서관련 프로그램 서비스, 그리고 지역사회의 유관기관 및 시설과의 연계 협력 서비스 등이 아동사서가 수행해야 할 핵심직무로 밝혀졌다. 이를 논거로 삼아 후속연구에서는 표준 직무모형을 개발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정책의 사도와 정도 - 도서관재단의 설립논의를 중심으로 - (The Wrong Path and the Right Path of Library Policy in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Library Foundation)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24
    • /
    • 2010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식정보의 센터인 동시에 게이트웨이이다. 따라서 자치단체의 재정지원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행정당국이 도서관 정책문제를 책임져야 한다. 그러나 최근에 국내 공공도서관은 정체성과 공공성의 훼손, 경영관리의 아웃소싱 또는 위탁, 행정체계의 난맥, 외연확대와 같은 여러 정책적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 논문은 서울시와 인천시의 공공도서관 인프라 및 정책의 현주소를 분석하고 양대 자치단체의 도서관재단 설립과 경영위탁을 중심으로 자치단체 도서관정책의 사도와 정도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식센터로서의 공공도서관 분석 프레임워크 (Analysis Framework of Public Library as Knowledge Center)

  • 남수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81-190
    • /
    • 2013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공공도서관을 지식생성관점에서 연구한 문헌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공도서관을 전통적인 도서대출기능을 수행하는 주체로부터, 지식과 사회자본을 생성하는 주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지식관리와 지식도시 개념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제시한다. 이 분석틀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뉴저지 주 리지우드 도서관을 하나의 사례로 분석한다.

공공도서관 실내 공용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Interior Common Spaces in Public Libraries)

  • 이효창;허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55-62
    • /
    • 2007
  • Modern public library is expanding its role as generalized cultural facility. Therefore public library that has comfortable and physical environment for various age and various user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common space of public library, and trying to suggest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that various users could comfortably use the library based on its data. The scope of this research were adjusted as 8 public librarie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of Seoul. Spacial scope that was set of this research was common space of public library and scope of content was about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toward common space of public library were appeared as low. Second, constant manage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is needed. Third, as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library become various from now on, application of delicate universal design is needed for intention of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