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types

검색결과 762건 처리시간 0.027초

흡연 여대생의 성격유형별 신체 및 심리.정서 상태에 대한 연구 (Physical and Psychological-Emotional Status according to Type of Personality in Female College Student who Smoke)

  • 김인숙;김귀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11-322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emotional status according to type of person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 smokers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s for wome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2. The subjects were 119 female students who smok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91 (76.5%) A type and 28 (23.5%) B Type personality types, indicating that female student smokers were more frequently type A rather than type B. 2. Perceived health status by personality type indicated that those with type B ($27.71{\pm}4.67$) perceived higher health status than those with type A ($26.53{\pm}4.60$) but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237). 3. Perceived stress by personality type indicated that those with type B ($83.71{\pm}13.13$) perceived more stress than those with type A ($70.52{\pm}12.35$). 4. Differences between depression by personality type indicated that those with type B ($47.21{\pm}8.53$) perceived more stress than those with type A ($45.42{\pm}7.32$)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277). 5.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tress (r=-0.300. p<0.004),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456. p<0.000).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r= .700, p<0.000). 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stress, or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researchers should continually identify women's smoking behavior included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women's health. In addition, programs for improv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to decrease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health motivation for women smokers.

  • PDF

QSCCII, MBTI, STAI를 통해 파악한 사상체질별(四象體質別) 심리적(心理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 -체질별(體質別) 양생법(養生法) 연구(硏究)의 기초(基礎) 연구(硏究)로써- (Study of Psychological Traits in Sasang Constitution According to QSCCII, MBTI, STAI -Preliminary Study for Yangsaeng(養生) in Sasang Constitution-)

  • 송민선;백진웅;최찬헌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76
    • /
    • 2009
  • This study was to examin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its to sasang constitution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4 people, who were consists of 35 persons of Taeeumin, 34 persons of Soyangin and 45 persons of Soeumin. We were analyzed psychological trait with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s(MBTI)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Also, We were analyzed physical trait with the Body Mass Index(BMI)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Each sasang constitutions personality typ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only in the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p=0.012). In the relationship of BMI, Taeeumin showed bigger BMI compared to others (p<0.001).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oyangin was higher in the extraversion(odds ratio[OR], 3.48 ;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18-10.26) compared with Taeeumin. Also, each sasang constitution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rait-anxiety(p=0.047). The score of trait-anxiety in Soeum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aeeum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particular samples could not represent the population, because the students from one college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we will perform this study in general population. At the same time, we will also develop approaches consider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stitution in the management of subjects.

  • PDF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Voice-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gent)

  • 김지근;양현정;이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44-1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의 활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심리상담 맥락에서 음성 기반 대화형 에이전트를 구현하여, 20~30대 성인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상담 대화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가지 유형의 에이전트 목소리(청년여성, 청년남성, 중년여성, 중년남성) 중 선호하는 목소리를 선택한 후 대화하였으며, 목소리 선택에 대한 이유, 기분 변화, 에이전트의 특성에 대한 지각, 상담 성과 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 성별에 따른 에이전트의 목소리 유형 선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소리 선택 이유로 '편안함'이 가장 많이 언급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요구되는 목소리 특성이 탐색되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에이전트와의 대화 후, 기분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지각하는 특성 중, 전문성과 호감이 상담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핀테크 서비스의 UX 라이팅 유형이 사용자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격식체와 전문용어 사용 여부를 중심으로 (UX Writing Style in Fintech Services Effect on User's Satisfaction with Using Formality in Korean and Financial Jargon)

  • 한지수;이정민;신효림;오창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649-657
    • /
    • 2023
  • 현재 핀테크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서비스 내 UX 라이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핀테크 서비스의 UX 라이팅 유형이 사용자에게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핀테크 서비스의 UX 라이팅 유형이 사용자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국어의 격식체 사용 여부와 금융 전문용어 유무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2x2 혼합 설계를 통해 사용자 만족감의 하위 요소인 신뢰감, 간결성, 심리적 안정감, 완벽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할 때보다 더 높은 간결성, 심리적 안정감, 완벽성을 보였다. 격식체 사용 여부는 모든 종속 변인에 대해 주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격식체를 사용하면서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 더 높은 간결성, 완결성, 심리적 안정감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핀테크 서비스 내 UX 라이팅의 격식체와 전문용어 사용 여부가 사용자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BTI 성격유형,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 H사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MBTI Personality Types,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Willingness to Change Job)

  • 강민정;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5호
    • /
    • pp.151-173
    • /
    • 2017
  • 본 연구는 영남지역 H사 전속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와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고객지향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만족의 영향이 MBTI 성격유형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2014년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총 120명의 영남지역 H보험설계사들을 대상으로 MBTI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본 논문의 가설관련 문항들이 포함된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일관성 및 성실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14부를 제외한 106부가 가설검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성격유형(심리적 기능과 태도지표)에 따른 직무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BTI 성격유형의 조절효과 분석결과는 심리적 기능과 태도지표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심리적 기능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태도지표의 조절효과는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직무만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존재하는 MBTI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직무만족을 통한 고객지향성 향상과 이직의도 감소노력에 있어 MBTI 성격유형을 고려한 맞춤전략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사목표 프로파일에 따른 교사효능감, 직업만 족도, 심리적 안녕감 비교: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Goal-Orientation Profiles and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정미라;차기주;신종호;박수원;민지연;김민정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9-187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ofile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goal orientations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se profile group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er questionnaire. The teacher goal-orientation scale consisted of six sub-dimensions: growth, leisure, wealth, relationship, promotion, and social contribu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es. Results: Latent profile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 groups: one group characterized by higher scores across all six dimensions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another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six dimensions, with a relatively higher score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 (relationship-goal-oriented group); another one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dimensions except the leisure goal (leisure-goal-oriented group). MANOVA showed that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otal years of teaching,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compared to the leisure-goal-oriented group. In regression analyses, when controlling for educational attainment, teacher types (kindergarten vs. elementary school)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each of the dummy-coded profile groups (0 = no, 1 = yes). When taking into account teachers'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belonging to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in leisure-goal-oriented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help pre- and in-servic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ster a bala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goals, which would ultimately strengthen and stabilize the supply of a teaching force and the provision of a better education.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을 중심으로- (Impact of School Viol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Students' Happiness and Suicidal Impulse)

  • 김경미;염유식;박연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36-247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폭력 경험이 한국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학교폭력 경험을 피해형, 가해형, 피해-가해형, 무경험형으로 구분해,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2013년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조사 자료를 이용, 다중 회귀와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학교폭력은 피해, 가해 등 경험 유형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자살위험을 높였다. 특히,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를 중복적으로 경험한 양자형의 자살충동은 무경험형과 비교해 7.1배나 높았다. 한편, 학교폭력 경험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즉, 피해 경험과 피해-가해 중복 경험만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해경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관적 행복감 분석에서는 통제변인으로 사용된 스트레스 변인의 영향력이 부각됐다. 특히, 친구관계에서 비롯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경험의 영향을 부정적 안녕감(자살충동) 측면에서만 다루지 않고, 긍정적 안녕감(주관적 행복감)까지 동시에 분석한 최초의 시도로서, 학교폭력 경험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가능케 할 것으로 보인다.

초기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에 따른 집단유형과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 (Clustering by Marital Relationship and Adult Children Relationship and Group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Elderly Couples)

  • 이주연;정혜정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975-991
    • /
    • 2012
  • 본 연구는 초기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에 따른 집단유형 구분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 집단유형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남편이 현재 퇴직한 상태로 부부 모두 만 55 ~ 75세인 초기 노년기 부부 271쌍이며, 편의와 눈덩이 표집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 각자가 지각한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 변인들을 지표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부부-자녀관계 혼미형', '부부-자녀관계 갈등형', '부부-자녀관계 친밀추구형',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의 4개 집단유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기간은 '부부-자녀관계 혼미형'에서 가장 길었고, 교육수준은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 가장 높았으며, 사회활동 참여유형의 경우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는 '주로 혼자' 활동하는 비율이,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는 '부부 함께' 활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집단유형에 따라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는 남편의 경우 우울, 불안, 신체화 모두에서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내의 경우 우울, 신체화는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 불안은 '부부-자녀관계 혼미형'과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 가장 높고,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기 노년기 부부의 심리적 부적응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 모두가 중요하다는 것과 함께 여성노인의 심리적 부적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성인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과 재조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nalysis of Plant Type and Color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for Gardening Activities of Firefighters

  • Jang, Hye Sook;Yoo, Eunha;Kim, Jeong Hee;Jeong, Sun-Jin;Kim, Jae Soon;Ryu, Doo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1-535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plant type and color preference and conducted a psychological assessment for gardening activities of firefighters in a high-risk occupational group.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17 firefighters aged 39.01±9.17 in Sunchang in March 2020 to examine their preferences in plant type and color and conduct a psychological assessment of firefighters on gardening activities. Results: For plant experience and awareness, plant-related event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plant preference tendency and plant growing experience. The level of plant gardening activities was higher among older age and higher job pos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with WHOQOL-BR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among the 20s-30s than 50s, firefighter position than fire lieutenant or higher, those with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singles group than married (p < .05). The administration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fire suppression group working in the field,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Most firefighters showed high preference for herbal plants among the 12 types of flowering plants, in the order of Rosmarinus officinalis>Lavandula spp.>Mentha piperita, Calendula officinalis. Pelargonium spp. was preferred the least out of the flowering plants, Lycopersicon esculentum was preferred the most out of 12 types of vegetable plants, while Angelica acutiloba was preferred the least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preference of plant colors, yellow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followed by white, blue, orange, red, and green,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psychological survey responses of emotion words toward 6 plants colors, it was found that 'bright' was the emotion felt most strongly by the white, yellow, and orange groups, 'calm' and 'comfortable' by the green and blue groups, and 'fancy' by the red group. Conclusion: The effect of agro-healing programs can be increased by using mostly yellow plants when creating indoor healing gardens at the workplaces of fire officials in a high-risk occupational group, and using herbal plants and Lycopersicon esculentum in the gardens for agro-healing activities.

가치 추구, 자연과의 연결감 및 행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values, nature-relatedness, and happiness)

  • 서지영;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3호
    • /
    • pp.313-342
    • /
    • 2016
  • 본 연구는 Schwartz의 가치이론에 근거한 가치형, 자연과의 연결감 및 다차원적 행복 측정치를 사용하여 대학생들(N=224)이 추구하는 가치와 자연과의 연결감이 행복의 측정치에 따라 어떤 관계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의 개념을 확장하여 쾌락주의적 관점에서의 행복인 삶의 만족과 긍정정서, 자기실현적 관점에서의 행복인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안녕감, 그리고 한국형 토착행복 등 다양한 유형의 행복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박애형, 자기주도형, 보편주의형, 자극추구형 가치들은 행복 지표들 중의 어느 하나와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성취형 가치는 삶의 만족과 부적상관, 자연과의 연결감은 모든 유형의 행복 측정치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학적 변인(성, 종교, 경제수준), 가치형, 자연과의 연결감은 행복의 유형에 따라 행복을 25%~36%정도 설명하였으며, 가치형과 자연과의 연결감이 추가되면 행복에 대한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가치는 삶의 만족, 긍정정서, 토착형 행복, 사회적 안녕감 보다는 심리적 안녕감의 예언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박애형 가치, 자기주도형 가치, 그리고 자연과의 연결감은 일관되게 여러 유형의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국민 행복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박애와 자기주도와 같은 건전한 가치의 확산과 일상생활에서 자연과의 연결기회 제공 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