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ustering by Marital Relationship and Adult Children Relationship and Group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Elderly Couples

초기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에 따른 집단유형과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

  • Lee, Juyeon (Dept. of Child Studi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Hyejeong (Dept. of Child Studi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5.31
  • Accepted : 2012.11.10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Using data from 271 elderly couples,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es of group classified by couples' perception of marital relationship(marital intimacy, marital comparison level) and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triangulation, differentiation between parents and adult children.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 group types of elderly couples. A cluster analysis result identified four clusters such as chaos, bad, average, and good type. Second, the four clusters were different in the length of marriage, education level, and the type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Third, the four clusters were different in the levels of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dicating that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level was the lowest in the cluster of good type but the highest in the cluster of bad type in both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adult children.

본 연구는 초기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에 따른 집단유형 구분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 집단유형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남편이 현재 퇴직한 상태로 부부 모두 만 55 ~ 75세인 초기 노년기 부부 271쌍이며, 편의와 눈덩이 표집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 각자가 지각한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 변인들을 지표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부부-자녀관계 혼미형', '부부-자녀관계 갈등형', '부부-자녀관계 친밀추구형',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의 4개 집단유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기간은 '부부-자녀관계 혼미형'에서 가장 길었고, 교육수준은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 가장 높았으며, 사회활동 참여유형의 경우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는 '주로 혼자' 활동하는 비율이,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는 '부부 함께' 활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집단유형에 따라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는 남편의 경우 우울, 불안, 신체화 모두에서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내의 경우 우울, 신체화는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 불안은 '부부-자녀관계 혼미형'과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 가장 높고,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기 노년기 부부의 심리적 부적응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 모두가 중요하다는 것과 함께 여성노인의 심리적 부적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성인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과 재조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