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distress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8초

입원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Readiness for Death and Death Anxiety among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 권향숙;서인선;김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34-343
    • /
    • 2013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정도 및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암으로 진단 받고 4개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183명으로 자료수집은 2010년 5월에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죽음준비 정도는 4점 만점에 1.99(${\pm}0.69$)점으로 심리적 준비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죽음불안 정도는 4점 만점에 2.21(${\pm}0.59$)점으로 죽음과정에 대한 불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죽음준비와 죽음불안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죽음준비 정도는 연령, 내세관, 암 병기, 투병기간 및 증상 수에서, 죽음불안 정도는 신앙심과 내세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환자들은 특히 죽음과정에 대한 불안이 높기 때문에 투병 및 임종과정에서 겪게 되는 불안을 경감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영적 간호중재가 포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이혼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경험 (Divorced Single Mothers'Experience of Self-Independence)

  • 성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37-152
    • /
    • 2017
  • 본 연구는 이혼을 경험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 경험을 탐색하여 한부모들의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 자립을 한 10명의 이혼여성을 대상으로 자립 및 적응 경험을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들은 이혼 당시 배우자에 대한 배신감과 실망감, 우울 등의 심리 정서적 어려움과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경제적 문제, 주거 빈곤을 경험하였으며, 이런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임시직을 경험하고 지속적인 정보탐색 및 고등교육 과정의 이수, 자격증 취득 등 경력을 개발하는 노력을 하였고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정서적으로는 이혼을 수용하고 자녀와 전배우자 간 관계를 재정립했으며, 생활과 자녀관계에 대해서는 자아통제력을 행사하였다. 또 원가족의 승인과 한부모 자조모임, 지역사회지지 망을 확보하였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장기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여 매진하는 삶을 삼으로써 희망과 기대를 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자립 및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언하였다.

응급구조원, 지하철 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mergency Workers, Subway Operator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 이영선;이소래;주성아;고영빈;김예진;한인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249-273
    • /
    • 2012
  • 본 연구는 응급구조원, 사상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종, 심리적 고통, 대리 외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 첫째, 대리 외상은 세 집단 모두 위험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지하철승무원의 대리 외상이 높았으며, 외상 후 성장은 사회복지사가 가장 높고 지하철승무원이 가장 낮았다. 둘째,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은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침습과 회피의 하위항목이 외상 후 성장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종, 침습, 회피, 종교, 성별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리 외상 위험 직종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외상 후 성장의 치료적 적용을 제언하였다.

암생존자 가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 투병 중인 암환자 가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di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amilies with Cancer Survivor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Families of Cancer Patient Receiving Treatments)

  • 이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43-454
    • /
    • 2018
  • 본 연구는 암생존자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된 횡단적 연구설계의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년 자료에서 암생존자 가족 153명, 투병 중인 암환자의 가족 115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건강, 심리적, 사회적 변인을 구성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이를 SPSS WIN/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암생존자 가족과 투병환자 가족간 삶의 질에 대해 심리적, 사회적 변인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고, 암생존자 가족의 삶의 질에 스트레스(${\beta}=-.192$, p<.05), 경제활동에서의 배제(${\beta}=-.191$, p<.05)가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암생존자 가족과 투병환자 가족간 삶의 질 영향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이 다른 양상을 보여 생존단계별로 적합한 개입의 필요성에 대해 의료사회복지 실천에 임상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round-the-clock technique for correction of gynecomastia

  • Tarallo, Mauro;Taranto, Giuseppe Di;Fallico, Nefer;Ribuffo, Dieg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3호
    • /
    • pp.221-227
    • /
    • 2019
  • Background Gynecomastia is a common condition that can cause severe emotional and physical distress in both young and older men. Patients in whom symptomatic recalcitrant gynecomastia persists for a long time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surgery.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January 2016, 15 patients underwent correction of gynecomastia through a single 3-mm incision at our institution. Only patients with true gynecomastia underwent surgery with this new technique. Through the small incision, sharp dissection was performed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scribing two half-circl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esthetic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Breast Evaluation Questionnaire (BEQ). Results The patients' average age was 23.5 years (range, 18-28 years), and their average body mass index was $23.2kg/m^2$ (range, $19.2-25.3kg/m^2$). One case was unilateral and 14 cases were bilateral. The weight of glandular tissue resected from each breast ranged from 80 to 170 g. No excess skin was excised. Bleeding was minimal. The mean operating time was 25 minutes (range, 21-40 minutes). No complications were recorded. All lesions were histologically benign. The patients' average score was 3.5 (on a 5-point Likert scale) in all domains of the BEQ for themselves and their partner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a new technique that allows mastectomy through an imperceptible 3-mm incision. We obtained high patient satisfaction scores using our surgical technique, and patients report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heir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surgery.

Practical Consideration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the Era of COVID-19

  • Kim, Yejin;Yoo, Shin Hye;Shin, Jeong Mi;Han, Hyoung Suk;Hong, Jinui;Kim, Hyun Jee;Choi, Wonho;Kim, Min Sun;Park, Hye Yoon;Keam, Bhumsu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2호
    • /
    • pp.130-134
    • /
    • 2021
  • In the era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ocial distancing and strict visitation policies at hospitals have made it difficult for medical staff to provide high-quality end-of-life (EOL) care to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re are various issues related to EOL care, including psychological problem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ifficulties in EOL decision-making, the complicated grief of the bereaved family, moral distress, and exhaustion of medical staff. In relation to these issues, we aimed to discuss practical considerations in providing high-quality EOL care in the COVID-19 pandemic. First, medical staff should discuss advance care planning as early as possible and use the parallel planning strategy. Second, medical staff should play a role in facilitating patient-family communication. Third, medical staff should actively and proactively evaluate and alleviate dying patients' symptoms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Lastly, medical staff should provide care for family members of the dying patient, who may be particularly vulnerable to post-bereavement problems in the COVID-19 era. Establishing a system of screening high-risk individuals for complicated grief and connecting them to bereavement support services might be considered. Despite the challenging and limited environment, providing EOL care is essential for patients to die with dignity in peace and for the remaining family to return to life after the loved one's death. Efforts considering the practical issues faced by all medical staff and healthcare institutions caring for dying patients should be made.

효소보충치료(ERT)를 받고 있는 뮤코다당증 환자의 경험 (Experience of Patients with Mucopolysaccharide Receiving Enzyme Replacement Therapy)

  • 권은경;정소영;최유진;조성윤;진동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7-48
    • /
    • 2021
  • 본 연구는 효소보충치료(ERT)를 받고 있는 뮤코다당증 환자들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효소보충치료를 받고 있는 7명의 뮤코다당증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2018년 7월 1일부터 2018년 7월 22일까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개별 면담 자료는 필사하여 귀납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효소보충치료를 받고 있는 뮤코다당증 환자의 경험은 최종 4개의 범주(효소보충치료를 통한 신체·심리적 변화, 효소보충치료라는 계속되는 터널, 치료에 대한 현실 받아들이기, 조심스러운 희망)와 15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의사 및 간호사는 효소보충치료를 받고 있는 뮤코다당증 환자의 이러한 경험을 고려하여 돌봄을 제공해야 할 것이고, 정부 또한 뮤코다당증 환자의 신체적 증상 뿐 아니라 효소보충치료로 인한 어려움을 고려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희귀질환인 뮤코다당증 환자의 경험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환자안전사건과 관련된 임상간호사의 이차피해경험이 간호실무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처의 매개효과 (Effects of Second Victim Experiences after Patient Safety Incidents on Nursing Practice Changes in Korean Clinic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Behaviors)

  • 정서희;정석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89-50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victim experiences after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the nursing practice chang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perform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218 clinical nurses in general tertiary hospitals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snowball sampling from August 11 to September 6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A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a simple mediation model applying the PROCESS macro with 95% bias-corrected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 mean scores of second victim experiences was 3.41/5. Approach coping (β = .55, p < .001) and the avoidant coping (β = - .23, p = .001) showed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victim experiences and constructive change in nursing practice. Avoidant coping (β = .29, p < .001) showed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victim experiences and defensive change in nursing practice. Conclusion: Coping behavior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victim experiences and nursing practice changes. To ensure that nurses do not experience second victim, medical institutions should have a culture of patient safety that employs a systematic approach rather than blame individuals. They also need to develop strategies that enhance approach coping and reducing avoidant coping to induce nurses' constructive practice changes in clinical nurses in experiencing second victims due to patient safety incidents.

COVID-19 유행 기간 동안 한국인의 우울한 기분과 부정적인 건강 행동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s between depressed mood with negative health behaviors of Korea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정수연;이지영;김희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9-8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COVID-19 유행 기간 동안 건강 행동 변화와 우울한 기분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한국 성인의 비례표본을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 단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COVID-19 유행 기간 동안 앉거나 눕는 시간, 걷는 시간, 흡연 및 음주의 부정적인 변화는 우울한 기분으로의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교차비(OR): 2.23(95% CI=1.77-2.81), 2.04(95% CI=1.63-2.56), 2.84(95% CI=1.51-5.36) 및 1.82(95% CI=1.26-2.63)]. COVID-19 유행기간 동안 긍정적인 건강 변화(활동 증가, 흡연 및 알코올 감소)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은 정신적 스트레스 경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Radiation risk percept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 Sung, Hyoju;Kim, Jung Un;Lee, Dalnim;Jin, Young Woo;Jo, Hyemi;Jun, Jae Kwan;Park, Sunhoo;Seo, Songw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1295-1300
    • /
    • 2022
  •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researching risk perception of radiation to implement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particularly given the recent worldwide nuclear policy movement regarding nuclear energ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among residents living near normally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in South Korea by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face-to-face interviews for 1200 residents aged 20e84 years by gender- and age-stratified random sampling. Risk perception was associated with trust perception in nuclear safety, but was not highly correlated with benefit perception for utilizing nuclear power. Relatively high risk perception was observed in women, older age groups, and residents not having experience of nuclear-related education or work. This association remained after adjusting for other factors including benefit perception, trus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ddition to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isk perception was also associated with a residential district's own unique context, indicating that a strategy of risk communication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for residents facing nuclear-related circumstances. Given that risk percept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social values such as safety culture and economic sett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risk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