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adaptation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6초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Vessel with Foreign Crews on th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Chung, Young-Sub;Shin, Yong-John;Pai, Hoo-Seok;Kim, Hyun-Du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7-132
    • /
    • 2007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vessel with foreign crews on their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Currently, the restrictions on the employment of the foreign crews are being eased in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and many problems are occurring consequently. However, specific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relevancy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o the crew'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board the vessels with combined crews have not yet been carried out. To solve these problems, we examined how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trust of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related to vessels with combined crews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foreign crews through SEM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1, 2 and 3 were all suppor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means that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trust of the vessel with foreign crew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fficacy and that such self-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that foreign crew's self-efficacy should be firstly enhanced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vessel with combined crews. Furthermore, studies on self-efficacy of foreign crew's organization are urgently nee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in a vessel with combined crews that has special environment - working environment with depression and uneasiness due to the exposure to the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and excessive stress from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refore, an attempt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imely since there has not been a study on this subject so far and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a lot to the organization management of a vessel with combined crews.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Remarried Families)

  • 노명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69-175
    • /
    • 2013
  • 연구목적은 재혼가족의 증가로 이들의 적응을 돕는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의해 현재까지의 재혼관련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과, 향후 재혼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의 총 9개 재혼가족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고려할 원칙을 제시하였다. 재혼가족을 적절하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 이들의 건강한 발달과 적응을 돕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분석 결과 향후 재혼 프로그램은 첫째, 교육내용 구성 시 재혼 유형에 따라 내용을 달리하고, 재혼부부 관계향상과 계부모 역할에 대한 교육, 자녀 출산에 관한 문제를 다뤄야한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 원칙으로서 문제지향적 관점을 지양하고, 재혼가족 기능향상에 초점을 두고, 재혼가족의 적응요인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방법 면에서 심리적 상담 프로그램 도입, 재혼준비도 척도지 활용, 재혼자녀 포함, 가족행사와 가족의례 연습 부분을 도입해야 한다.

개인특성에 따른 인스타그램 사용의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효능감, 자아해석을 중심으로 (#Looksperfect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Construal,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Instagram)

  • 안가영;한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17-329
    • /
    • 2019
  • 요즘 들어, 사진이나 이미지 중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인스타그램은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25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과 그 하위 요소를 찾아내고, 또한 이들과 인스타그램 사용의도 변수와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자기 효능감과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380명의 참가자를 예측된 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모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다섯 가지 하위 요소인 타인의식적 자기제시, 주관적 자기제시, 환경적응적 자기제시, 자아 확장적 자기제시, 사회적 자기제시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다섯 가지 요소를 지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자기 효능감과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인스타그램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한 지지적 노래만들기 (Supportive Songwriting to Improve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 김지원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67
    • /
    • 2018
  • 본 연구는 지지적 심리치료의 치료적 접근 방식인 내적 자원 확립을 중심으로 한 지지적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4명의 학교 부적응 중학생을 대상으로 총 8회기의 지지적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이 회기 당 50분씩 진행되었으며, 대상자들은 회기별 목표에 따라 현재 심리적 적응 문제에 대해 가사를 만들고 완성된 노래를 가창 및 토의하는 활동에 참여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사전 사후 적응유연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고 4개 하위요인별 점수 변화를 평가했으며, 참여자들의 가사를 분석하여 적응유연성 하위요인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모든 참여자들의 적응유연성 점수가 증가했으며, 가사 분석 결과 참여자 4명 모두 각자의 가사에 표현한 현재 적응 문제의 하위요인과 관련하여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지지적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 모두는 적응유연성 향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래를 만드는 과정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 문제와 내적 자원을 다루어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교적응을 위한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행위 유형별 모성이데올로기 및 양육스트레스 (Motherhood Ideology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Parenting Behavior Patter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Young Children)

  • 문소현;김미옥;나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49-460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e data for designing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child-raising by identifying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parenting behaviors of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We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survey 126 immigrant mothers of young children, who agreed to participate, and who could speak Korean, Vietnamese, Chinese, Filipino, or English, at two children's hospitals and two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K-means cluster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Sch{\acute{e}}ffe^{\prime}s$ test,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We identified three clusters of parenting behaviors: 'affectionate acceptance group' (38.9%), 'active engaging group' (26.2%), and 'passive parenting group' (34.9%). Passive parenting and affectionate acceptance groups were distinguished by the conversation time between couples (p=.028, OR=5.52), ideology of motherhood (p=.032, OR=4.33), and parenting stress between parent and child (p=.049, OR=0.22). Passive parenting was distinguished from active engaging group by support from spouses for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or relevant programs (p=.011, OR=2.37), and ideology of motherhood (p=.001, OR=16.65). Ideology of motherhood was also the distinguishing factor between affectionate acceptance and active engaging groups (p=.041, OR=3.85). Conclusion: Since immigrant women's parenting type depends on their ideology of motherhood, parenting stress, and spousal relationships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support to help their child-raising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systematic education and support, as well as interventions across personal, family, and community levels.

비흡연 대학생의 전자담배 간접흡연에 대한 흡연태도와 흡연대처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Coping Skills toward Secondhand E-cigarette Smoking among Nonsmoking College Students)

  • 위소정;박덕민;김현진;박명주;홍혜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114-12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ttitude and coping skills toward secondhand e-cigarette smoking among nonsmok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8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eoul,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 of smoking attitude is $51.35{\pm}4.73$. The mean score of coping skills is $13.89{\pm}2.53$ in verbal skills, $10.16{\pm}2.37$ in behavioral skills, and $8.32{\pm}2.30$ in assertive skills. Coping skills toward secondhand smoking are noted as being different by current cohabitation smok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ttitude and behavioral coping skills(r = .23, p= .004) was found, which means that a better smoking attitude was correlated with more active behavioral coping skill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nonsmoking college students with better smoking attitude react to the E-cigarette smoking with more active behaviors. Therefore, interventions are needed to be developed to encourage better smoking attitude and coping skills toward secondhand E-cigarette smoking.

병원조직에서 간호사가 경험한 태움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ae-um Experienced by Nurses in Hospital Organizations)

  • 김민;김미선;정현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9-4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조직에서 겪은 태움에 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참여자는 해당 병원의 협조를 받아서 직장내 SNS를 통하여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10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병원조직 내 태움은 4개의 범주(지독한 첫발 내딛기, 끝날 것 같지 않은 힘듦의 연속, 스스로 버텨봄, 적응을 위한 비상의 날갯짓 하기)와 16개의 주제들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태움은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경력을 쌓은 간호사들조차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므로 힘든 병원조직에 적응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프로그램을 도입한다면 태움 문제를 해결하고, 간호사들이 존중 받는 조직문화를 이루는데 기여할 것이다.

한글판 미의 광범위한 개념 척도(K-BCBS)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

  • 안분숙;이경수;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59-366
    • /
    • 2021
  • BCBS(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는 내면적 미의 척도로 개인의 내면적 미의 기준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번안과정을 거쳐 구성된 최종 한글판 BCBS 9문항을 사용하여 여자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글판 BCBS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Cronbach's 𝜶는 0.878, 주관적 미 0.874, 신체적 미 0.808, 심리적 미 0.880로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한글판 BCBS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한글판 BCBS는 여성의 광범위한 미의 개념을 종합하여 평가하는 유용한 측정도구로 입증되었으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내면화된 미의 전문적인 발전과 연구에 활용되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폐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김영숙;문진하;이영숙;김연우;허규림;오순금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98-10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sttraumatic growth (PTG)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to improve PTG and adaptation. Methods: The study included 126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initially diagnosed at the Lung Cancer Center, C University Hospital in S city, Gyeonggi-do.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ease characteristics, posttraumatic growth, cancer coping,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for PTG in lung cancer patients was 56.39, cancer coping was 61.31, social support was 61.09, and resilience was 92.77.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for PTG and cancer coping (r=.75, p<.001), social support (r=.52, p<.001) and resilience (r=.63, p<.001). Factors contributing to PTG of lung cancer patients were cancer coping (β=.53 p<.001), perceived health status(β=.20, p=.002), resilience (β=.21, p=.010) and importance of religion (β=.15, p=.013). This model explained about 64.0% of variances of PTG (F=29.58, p<.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PTG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oping and resilience to recovery. Longitudinal studies examining temporal changes in PTG among patients with lung cancer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in this regard.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What is the masculinity of Korean men? Concept mapping of masculinity)

  • 우성범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3호
    • /
    • pp.203-22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남성들의 남성규범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그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남성성 개념의 이론적 근거에 따라 사회문화적으로 형성된 남성성 역할 기준에 순응하고자 하는 정도를 남성성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20명의 남성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에서 남자답다는 것은 무엇인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후 남성규범과 관련한 핵심문장을 추출한 후 참가자에게 추출된 55개의 핵심문장에 대해 분류하고 그 중요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참가자들이 분류한 문항에 대해서는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남성규범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이차원의 축을 한국사회 문화에 대한 이론과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 집단관계 영역 대 개인내적 영역, 사회적영역과 위계성 추구 대 온정적 관계 추구로 명명하였다. 또한 하위 군집으로는 부양자, 리더쉽, 정서억제, 직무능력과 조직사회적응, 기대외는 남성적 능력, 힘과 통제의 6가지 군집이 나타났다. 각 군집의 특징과 의미를 한국사회문화 맥락에 따라 해석하고 연구의 의의, 제안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