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ociali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 간의 구조적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Children's Pet Attachment,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ity)

  • 한아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97-406
    • /
    • 2016
  • 이 연구는 최근 아동의 친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는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간의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기른 경험이 있는 대전광역시 초등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이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이 아동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공감능력이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친사회성 사이에서 공감능력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의 친사회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은 필수요소임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애완동물 기르기 등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그리고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해 준다.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이 친사회성, 유아-교사관계 및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Program Utilizing Group Play Therapy for Young Children on Prosociality, Teacher-Child Relation and Peer Competence)

  • 하영례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72
    • /
    • 200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ocial-emotional competence program utilizing group play therapy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prosociality, teacher-child relations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90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in 14 sessions for 7 weeks. Instruments were the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2003),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2004), and Iowa Social Competence Scales (1997). Data was analyzed by ANCOVA. Results were tha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competence scores than the comparis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were that a social-emotional competence program utilizing group play therapy can be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improvement of prosociality, teacher-child relations, and peer competence.

  • PDF

유아의 교사, 또래관계와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and their early school Adaptation)

  • 정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53-362
    • /
    • 2009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adaptability to early school circumstanc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eachers and to peers. The examination was done on 110 children aged 4 or 5 at a kindergarten and two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ir 'adaptability to early school' and their 'relationships to teachers and to peers' were rated by their teachers. On the whole, the children subjects are on good terms with their teachers and peers, and they adapt well to early schools. But according to ag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to-child relationships. Compared to boys, girls show more' adaptability to the early schools', more 'closeness to teachers' and more 'prosociality in peer group'. The 'closeness to teachers' has a positive relation to the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s' and 'leadership of peer group', but the 'conflict with teachers' has a negative relation to the peer group relationships. And the'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with pe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early school adaptability. The 'prosociality', the 'closeness' and the' dependen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aptability to early school' in order.

음악 활동을 통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A Study on Early Childhood Crea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Through Music Activities)

  • 김미옥;송승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23-153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using music activitie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is program o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lassrooms.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how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us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and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5-year-old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6 occasions for eight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eschooler Creativity test(K·CCTYC) and The Empathy Index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ECA) and Skill Situation 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ith paired t-test. Results: Firs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of creativity. Second,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music activitie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he ways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s institutes were discussed.

친사회성 정책홍보 메시지의 소구유형이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social PR Appeals on Policy Acceptance: a case of Environmental Policy)

  • 안사이;김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05-717
    • /
    • 2016
  • 본 연구는 물부족이나 환경오염 방지와 같이 정책이 미치는 개인적인 혜택이 매우 추상적일 뿐 아니라 혜택의 수혜에 장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책PR 메시지가 개인에 대한 이익을 넘어 다른 사람들과 사회를 위하는 친사회성을 강조해야 할 때, 메시지 유형에 따른 효과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즉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가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과정에서 정부 신뢰도, 관여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메시지 소구유형과 정부 신뢰도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즉 정부 신뢰도가 높은 경우에는 감성적 소구가 정책수용에 더 효과가 크고, 정부 신뢰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성적 소구가 더 효과가 컸다. 관여도의 경우 정책수용효과에 미치는 주효과는 발견되었으나 메시지 유형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요인 역시 소구유형과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성별은 정책수용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연령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행동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Early School-age Children's Experiences on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 송승민;도현심;김민정;김수지;신나나;김아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9-3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관찰하여 변화의 과정을 질적 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김민정(2008)의 사회적 기술훈련을 수정 보완하여 7명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8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참여관찰 노트, 프로그램 진행자의 일지, 보조진행자의 칭찬 노트, 비디오 녹화 자료, 아동의 그림일기 자료들을 전사, 코딩, 주제의 발견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형성의 시작: (1) 수줍음과 정서적 위축, (2) 자기만의 세계에 몰입, (3) 나누기' 및 '함께하기'의 어려움, (4) 타인과의 부정적 상호작용, (5) 사회적 규칙준수의 어려움. 둘째, 정서 및 의사표현의 변화: 분명하고 직접적인 정서 및 의사표현. 셋째, 친사회성의 변화: (1) 주위에 대한 관심 및 상호작용 증진, (2) 협동 놀이, (3) '나누기' 및 '도움주기'등의 베푸는 행동. 넷째, 사회적 기술의 변화: (1) 사회적 규칙의 인식 및 실천, (2) 사회적 문제 해결하기.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학령 초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정서표현에 미치는 긍정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