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0.16.06.123

A Study on Early Childhood Crea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Through Music Activities  

Kim, Mee-Ok (시립오산숲어린이집)
Song, Seung-Min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6, no.6, 2020 , pp. 123-15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using music activitie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is program o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lassrooms.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how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us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and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5-year-old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6 occasions for eight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eschooler Creativity test(K·CCTYC) and The Empathy Index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ECA) and Skill Situation 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ith paired t-test. Results: Firs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of creativity. Second,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music activitie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he ways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s institutes were discussed.
Keyword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creativity; empathy ability; prosoci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Sommers, P. V. (1984). Drawing and cogn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 Torrance, E, P. (1976). Guiding creative talent. New York: Robert E. Krieger.
4 Treffinger, D. J. (2000). Assessing CPS performance(3rd ed). Waco, TX: Prufrock Press.
5 문용린, 최인수, 곽윤정, 이현주 (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박경숙 (2017).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리나, 황해익 (2017). 유아인성 및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유아교육연구, 37(4), 7-32. doi:10.18023/kjece.2017.37.4.001   DOI
8 박인영, 송승민 (2019).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창의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창의력 교육연구, 19(2), 49-76
9 박창현, 김성희 (2012).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 한국교육문제연구, 30(2), 127-143.
10 박현진 (2013). 공존지향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혜경 (2017). CoRT기법을 활용한 유아 사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상위수준 사고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최현주, 최연철 (2018).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22(4), 29-61. doi:10.32349/ECERR.2018.08.22.4.29   DOI
13 Urban, K. K. (1991).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2), 177-191. doi:10.1080/10400419109544384   DOI
14 Williams, F. E. (1970). The first volume of classroom ideas for encouraging thinking and feeling. Buffalo, NY: DOK Publishers.
15 최지선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17 현지영, 김수영 (2015).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 능력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4(3), 313-328. doi:10.17643/KJCE.2015.24.3.17   DOI
18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19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20 배수민, 윤정진 (2017).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현장 인식 연구 - 미디어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8), 533-540. doi:10.15873/ajmahs.2017.7.8.049   DOI
21 서현, 박희숙 (2015).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399-433.
22 서희전 (2017). 숲-유치원-가정이 연계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유아 창의.인성 활동의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37(4), 779-809. doi:10.18023/kjece.2017.37.4.032   DOI
23 서희전, 김혜정 (2016). 유아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교원교육연구, 33(3), 345-374. doi:10.24211/tjkte.2016.33.3.345
24 석사라 (2016).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Bever, T. G. (1986). The aesthetic basis for cognitive structures. In M. Brand & R. M. Harnish (Eds.), The representation of knowledge and belief (pp. 314-356). Tucson, AZ: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6 Barrette-Lennard, G. T. (1981). The empathy cycle: 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2), 91-100. doi:10.1037/0022-0167.28.2.91   DOI
27 Barrows, H. S., & Tamblyn, R. M. (1980)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8 Berkowitz, M. W., & Grych, J. H. (2000).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1(1), 55-72. doi:10.1207/s15566935eed1101_4   DOI
29 신인숙 (2001). 음악프로젝트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1(3), 351-370.
30 신유진 (2018). 우리 음악을 활용한 통합 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음악 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심성경, 김경의, 변길희, 김나림, 최대훈, 박주희 (2007). 영유아를 위한 교수매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2 강보라 (2012).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강민정, 김경철 (2017).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 신념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1(3), 33-54.
34 교육과학기술부 (2010a).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서울특별시교육청.
35 강민주 (2010).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공감 능력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공요은 (2012). 음악감상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공은희 (2013). 창의.인성교육으로서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연구: 5-7세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송승민, 박인영, 김미옥, 이순희 (2020). 유아중심.경험중심 놀이지도. 경기: 공동체.
39 교육과학기술부 (2010b).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0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서울특별시교육청.
41 교육과학기술부 (2011b).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서울특별시교육청.
42 교육부 (2018. 6). 인성교육진흥법.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9750&에서 2018년 10월 5일 인출
4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보건복지부.
44 권오선 (2017).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45 김경은 (2019). 포스트모던 그림책 기반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김경철, 박혜정 (2018). 유치원 '인성교육실천사례 연구보고서'를 통해 본 바른 인성의 내용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3(3), 253-281. doi:10.20437/KOAECE23-3-11   DOI
47 김길순 (2015).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Dacey, J. S. (1999). Peak periods of creative growth a cross the lifespan. In G. J. Puccio & M. C. Murdock (Eds.), Creativity assesment: Reading and resources (pp. 323-345). Buffalo, NY: CEF Press.
49 Bryant, B. K. (1982).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3(2) 413-425. doi:10.2307/1128984   DOI
50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51 Greenberg, M. (1985). Your Children need music: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유아음악교육(이기숙, 김영주 옮김). 서울: 교문사(원판 1979).
52 김선진 (2015).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3 김문자 (2013). 유아 서번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인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김미경 (2018).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김미랑 (2010). 통합음악교육이 유아기의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김성균, 김미경 (2014). 음악을 통한 유아교육. 서울: 김성균음악교육연구소.
57 김수영, 정나영 (2010).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231-254. doi:10.18023/kjece.2010.30.4.011   DOI
58 국립특수교육원 (2018).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59 김연주 (2008).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0 김연주, 양연숙, 김현지 (2017).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에 기초한 영유아 음악교육. 서울: 창지사.
61 김연희 (2015). 순환적 공감모형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김영옥, 장명림, 유희정 (2009).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97-324.
63 김진영 (2009). 동요집. 서울: 교문사
64 김진영 (2010). 유아와 함께 노래부르기. 서울: 교문사.
65 Hargreaves, D. J. (1986).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the arts.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67 Guilford, J. P. (1988). Some changes in the structure-of-intellect model.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8(1), 1-4. doi:10.1177/001316448804800102   DOI
68 Hansen, D., Bernstorf, E., & Stuber, G. M. (2004). Music and literacy connection. Reston, VA: MENC.
69 Josephson, M. (2002). Making ethical decisions. Los Angeles, CA: Ethics
70 Lickona, T. (1991). Educating for character: How our schools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New York: Bantam.
71 Meeker, M. (1978). Measuring creativity from the child's point of view.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1), 52-62. doi:10.1002/j.2162-6057.1978.tb00159.x   DOI
72 양선이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 상상력과 공감에 기반한 감수성. 동서철학 연구, 86, 495-517. doi:10.15841/kspew..86.201712.495   DOI
73 연진영 (1988). 아동의 공감발달 및 관련변인. 아동학회지, 9(2), 29-59.
74 이윤옥 (2013). 누리과정에 기초한 영유아 창의성 교육. 서울: 신정.
75 우형효 (2004). 유아인성교육의 방향. 아동교육, 13(1), 147-158.
76 은지은 (2017). 유아의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의 효과. 가천대학교 특수 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 전경원 (2014b). 유아종합창의성검사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78 이경연, 조형숙 (2016). 자연놀이 경험을 통한 동요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자연친화적 태도,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1), 101-131. doi:10.21183/kjcm.2016.03.15.1.101   DOI
79 이명준, 진의남, 서민철 (2011).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0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 (1993). 유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13(1), 65-91.
81 이채경 (2016).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 이하영 (2016).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작음악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음악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3 이효숙, 심성경, 백영애, 김경의 (2004).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5(1), 127-144.
84 임영숙, 김영옥 (2018). 공감적 이해에 기초한 유아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3(4), 1-34. doi:10.20437/KOAECE23-4-01   DOI
85 임해림 (2016). 사회적 갈등 상황에 대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6 장경은, 송승희 (2016). 관계중심의 유아인성교육 유아교사들의 배려행동 실천 경험과 의미.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157-184.
87 장정애, 조형숙 (2011). 자연의 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환경 친화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4), 303-328.
88 전경원 (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89 전경원 (2011). 창의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90 정선영 (2015).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1 정재은, 최미영 (2016). 음악감상 수업모형의 이론적 탐색. 교사교육연구, 55(1), 47-56. doi:10.15812/ter.55.1.201603.47   DOI
92 정하나, 지성애 (2015).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5(6), 5-31. doi:10.20437/KOAECE23-4-01   DOI
93 조연경 (2016). 주제극놀이를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4 조인영 (2016).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5 지성애 (2015).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9(6), 337-369.
96 전경원 (2014a). 유아종합창의성검사. 서울: 학지사.
97 최선경 (2016).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 최우수, 조형숙 (2015). 과학 탐구 경험을 통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9(4), 709-733.
99 최은실 (2015). 음악감상에 기초한 문학-음악 연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성향과 창의성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0 최인수 (2011). 창의성의 발견. 서울: 쌤앤파커스.
101 최일선, 김정신 (2014).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실행. 육아지원연구, 9(3), 73-98. doi:10.16978/eoec.2014.9.3.004   DOI
102 류은주, 황희숙 (2012). 육색사고모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435-459.
103 김현 (2016).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4 김혜진 (2013). 새노래 지도 시 노랫말 바꾸어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5 남선옥, 김호 (2013).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241-263.
106 Miller, H. M. (1978). Introduction to music: Aguide to good listening. New York: Bames & Noble Books.
107 Plucker, J. A., Beghetto, R. A., & Dow, G. T.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s,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2), 83-96. doi:10.1207/s15326985ep3902_1   DOI
108 Runco, M. A. (1996). Creativity and development: Recommendations. In M. A. Runco (Ed.), Creativity form childhood though adulthood: The development issues (pp. 87-90).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109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 산업혁명(송경진 옮김). 서울: 새로운 현재(원판 2016).
110 Smolucha, F. (1992). A reconstruction of Vygotsky's theor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5(1), 49-67. doi:10.1080/1040041920953442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