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ortional distribution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7초

혈당 수준에 따른 영양섭취 및 음식섭취 상태 (Nutrients and Dish Intake by Fasting Blood Glucose Level)

  • 최지현;문현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463-474
    • /
    • 2010
  • The nutrient intake and association between dish group intake and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evel (TG, cholesterol, LDL and HDL) was analyzed among 3 groups: 452 subjects in normal blood glucose group (NG: fasting blood glucose < 100 mg/dL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glucose < 140 mg/dL), 258 subjects in impaired fasting glucose group (IFG: fasting blood glucose 100~125 mg/dL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glucose ${\geq}$ 140 mg/dL) and 101 subjects in diabetic group (DG: fasting blood glucose $\geq$ 126 mg/dL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glucose ${\geq}$ 140 mg/dL).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The 811 subjects were adults aged 40~64 without dietary treatment. In nutrients intake, IFG was the highest and DG the lowes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DG, especially, had the lowest intake in carbohydrates, fiber, proteins, Ca, P, K, vitamins B1 and C, and consumed the highest amount of alcohol. In macronutrients distribution ratio, the DG diet showed a lower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s but higher from fat than the NG diet, while IFG showed a higher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s and lower intake from fat in supper out of 3 meals and snacks. IFG preferred salt-fermented foods and DG preferred soups, braised foods and kimchi compared to other groups. NG preferred multi-grain cooked rice and both IFG and DG preferred plain white cooked rice.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sh group intake and blood glucose, cooked rice, soups, salt-fermented foods and kimchi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lood glucose. In blood lipids, steamed-foods, beverages and fruits were inversely related to the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whereas cooked rice, stews, saltfer-mented foods, seasoned-fermented foods and seasoned vegetables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Therefore, it is beneficial to avoid rich, salty and fatty foods and heavy alcohol consumption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and blood lipids, while steamed foods, foods rich in fiber (like multigrain rice) as a staple, and fruits and teas are recommended for preventing or managing type 2 diabetes risks.

화강암 부순모래의 발파전색효과 연구 (Stemming Effect of the Crushed Granite Sand as Fine Aggregate at the Mortar Blasting Test)

  • 김학성;이상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4호
    • /
    • pp.320-327
    • /
    • 2011
  • 본 연구는 ○○ 석회석 광산의 화강암 폐석을 이용한 부순 모래를 전색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그 현장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바다 모래, 강 모래, 점토와 물의 전색재와 동일한 조건으로 모르타르 블록의 시험발파를 통해 전색효과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졌다. 이때 모르타르 블록은 폭 50 cm, 길이 50 cm와 높이 70 cm로 제작하였다. 전색재료들에 대한 물리.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체가름 시험, 직접전단시험과 압출시험이 수행되었다. 모르타르 발파시험에서 전색길이 10 cm 및 20 cm에 대하여 폭발 충격압에 따른 강봉의 축방향 변형율과 전색재의 분출속도가 동적 변형율 측정기에 의해 측정되었다. 강봉의 축방향 변형율은 화강암 부순 모래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전색재의 분출속도는 물을 전색재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작은 값을 보이고 있다. 이 결과는 사용된 전색재의 발파 공내 다짐단위중량, 입도분포, 전단저항 및 압출시험결과와 상호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전색재의 분출속도와 축방향 변형률은 서로 지수적으로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미소부 X-선 회절분석기를 이용한 미립조암광물의 상동정 및 배향도 측정 -$Al_{2}SiO_{5}$ 3상다형- (Phase identification and degree of orientation measurements far fine-grained rock forming minerals using micro-area X-ray diffractometer -$Al_{2}SiO_{5}$ Polymorphs-)

  • 박찬수;김형식
    • 암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05-210
    • /
    • 2000
  • 암석중에 미립(직경 0.3mm내외)으로 존재하는 조암광물의 동정 및 결정학적인 배향도를 미소부 X선 회절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표품들은 $A1_{2}SiO_{5}$ 3상디형(규선석, 남정석, 홍주석)으로서 모든 표품들은 박편상의 것을 측정대상으로 하였다 측정에 이용된 X선 회절분석기는 3(${\omega}\;{\chi}\;{\phi}$)축 회전 측각기 및 위치민감형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X선원으로는 $CuK_{\alpha}$를 사용하였으며 직경 $50\;\mu\textrm{m}$의 시준기를 사용하였다. 광물 동정은 3(${\omega}\;{\chi}\;{\phi}$)축 회전 측정법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박편표면에 우세하게 나타나는 광물상의 격자면을 알아보기 위해 2(${\omega}\;{\phi}$)축 회전 측정을 실시하였고 2축 회전 측정법에 의해 우세하게 나타난 회절선에 대한 격자방향의 배향도와 극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X-선 극점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3축 회전 측정결과 측정대상 광물상에 대해 동정이 가능하였으며 2축 회전 측정과 X-선 극점도 측정결과 규선석(310), 남성석(200), 홍주석(122)극이 절단면, 즉 박편표면의 법선방향으로 잘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측정법은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미립조암광물의 동정과 배향도를 알아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석기법이다.

  • PDF

한국인과 일본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 헝태 비교 (Comparison of arch for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 이채형;모성서;강윤구;;김영호;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64-37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한국인의 부정교합자 368명(I급 114명, II급 119명, III급 135명)과 일본인의 부정교합자 160명(I급 60명, II급 50명, III급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치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 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이들을 이용하여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각 부정교합군에서 측정 항목들에 관하여 t-test를 하였고 치열궁 형태를 square, ovoid, tapered 의 3가지로 분류한 후 분포 특성에 관하여 카이제곱 검정하였다. 그 결과 I급과 II급 부정교합군에서 일본 여성의 하악 치열궁 폭경이 일본남성, 한국 남성 및 한국 여성에 비해 작았으며, III급 부정교합군의 하악 치열궁 크기는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대부분이 square와 ovoid한 치열궁 형태를 가졌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일본인은 ovoid 형태가 52.%으로 가장 많고 한국인은 square 형태가 4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동면어류의 시기별 근육성분 분포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 - 1.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근육조직중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분포의 변화 (Histological Observation on the Seasonal Changes of Distribution of Muscle Components in Hibernant Fish - 1. Distributional Chang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Components in the Muscle Tissues of Loach, Misgurnus mizolepis)

  • 박일웅;홍재식;이근광;김명곤;김종배;강귀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7-194
    • /
    • 1995
  • 동면어류의 물질대사에 대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자연산 미꾸라지의 암컷과 수컷을 시료로 하여 시기별 (산란기 전 ; 5월, 산란기 후 ; 8월, 동면직전 ; 11월, 동면직후 ; 3월)근육성분의 조성과 육조직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도(肥滿度)는 암,수 모두가 산란기후에 다소 높았고, 동면직후에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산란기 후에 가장 적었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산란기 후가 가장 높았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낮아 이들 함량의 변화 pattern이 상보적(相補的)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탄수화물은 동면직전이 다소 많으나 동면직후에는 감소된 경향이었다. 근육 조직의 PAS염색 결과, 산란기후 표피의 점액 부위와 피하조직의 근육세포에서 비교적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피층의 두께가 동면직후와 산란기 전이 산란기 후와 동면 직전보다 얇게 나타났다. Sudan black B 염색결과, 지방 성분 염색반응이 암컷은 산란기 전에 근육 세포층에 비교적 넓게 분포된 경향이었고, 수컷은 주로 점액층과 표피층에 나타났다. 산란기 후는 주로 표피 및 피하조직에 나타났고 동면직전과 후는 조직 전체에 분포하였으나 그정도가 동면직후에 다소 적은 편이었다.

  • PDF

무한사면 모델을 이용한 부산 황령산 산사태 재해 평가 가능성 검토 (Study on Landslide Hazard Possibility for Mt. Hwangryeo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the Infinite Slope Model)

  • 김재민;최정찬
    • 지질공학
    • /
    • 제26권3호
    • /
    • pp.413-422
    • /
    • 2016
  • 인구밀도와 기간산업 개발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도시지역에서 산사태로 인한 인명손실과 재산손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부산은 한국 내 대도시들 중에서 산지비율이 높기 때문에 과도하게 산지지역을 개발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한사면 모델을 이용하여 부산 황령산 산사태 재해 평가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모든 자료는 ArcGIS 10.0을 사용하여 추출한 주제도와 연관되어 있다. 그 결과 산사태 안전율은 예상대로 지하수위 변화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대부분의 연구지역이 건조 상태에서는 안정된 상태이고, 지하수위가 상승할 때 공극수압이 증가하여 불안정한 지역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분석결과 선구조밀도가 높은 기존 산사태 발생지역 중에서 여러 곳이 다른 지역보다 더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실제상황과 분석결과가 상이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가적인 분석이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불포화대 침투이론 개발이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의 분포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대형 뉴매틱케이슨의 주면마찰력 산정 (Evaluation of Skin Friction to Large Size Pneumatic Caissons)

  • 홍원표;여규권;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5-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깊은 기초의 주면마찰력 산정법에 의해 제안된 방법들을 검토하여 대형기초인 케이슨(우물통)기초에 대하여 주면마찰력을 적절히 산정할 수 있는 산정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홍원표(1987)가 제안안 주면마찰력 산정법을 기본 토대로 하여 새로운 주면마찰력 산정방법(Kn계수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깊은기초인 말뚝의 주면마찰력을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고 알려진 $\lambda$법을 이용한 케이슨의 주면마찰력 산정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영종대교 주탑하부구조인 뉴매틱케이슨 기초의 시공시 계측된 주면마찰력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주면마찰력은 침설속도에 비례하며 주면마찰력의 분포양상은 직선분포보다 포물선분포에 가깝다. 저부가 확대되는 대규모 케이슨기초 침설시 발생하는 주면마찰력 산정결과 일반적인 말뚝기초의 주면마찰력과는 상이하다. 제안된 Kn계수법과 $\lambda$법을 각각 사용하여 산정한 케이슨의 주면마찰력을 실제 케이슨의 계측값으로부터 산정한 주면마찰력과 비교한 결과, Kn계수법를 이용하여 산정한 케이슨의 주면마찰력은 $\lambda$법에 의해 산정된 주면마찰력보다 실측값에 훨씬 근접하다. 즉, 저부가 확대된 형상의 대형의 케이슨기초의 주면마찰력을 산정하기에는 홍원표가 제안한 식을 이용한 Kn계수법이 $\lambda$법보다 더 적절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808 nm 파장의 고출력 근적외선 레이저 조사 시 돼지 조직의 천공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Porcine Tissue Perforation Using High-Power Near-Infrared Laser at 808-nm Wavelength)

  • 김성준;조지용;최재순;이돈행;김중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9호
    • /
    • pp.807-814
    • /
    • 2013
  • 소화기 내시경에 장착된 808 nm 파장의 고출력 근적외선 레이저를 장벽에 조사하여 병변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용 의료기기의 개발을 목적으로 레이저-조직 상호작용에 관한 기초 실험을 진행했다. 레이저 출력 3~12 W, 조사 시간 5~20 s 범위에서 각 변수의 증가에 따라 천공 깊이가 1~4 mm 범위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돼지에서 적출한 각 장기에 대한 레이저 조사 시 천공 깊이가 조직 특성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했다. 온도 측정 결과로부터 열에너지가 레이저 조사 지점에 집중되고 심부로 전달되어 주변 조직의 열손상은 방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위, 대장 등의 소화기 조직에서 일정한 절개 깊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근적외선 레이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주·울산 지역에 분포하는 단층 핵의 전단강도 범위 설정 (Setting of the range for shear strength of fault cores in Gyeongju and Ulsan using regression analysis)

  • 윤현석;문성우;서용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27-140
    • /
    • 2015
  • 단층은 굴착공사 중 발생하는 붕괴의 주요원인 중 하나이다. 하지만 단층대 내에서 주요 파괴면으로 작용하는 단층 핵은 파쇄암과 가우지가 불균질하게 분포하는 부분으로서 전단강도의 분포범위가 넓기 때문에 안정성 해석 시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와 울산의 12개 지점에서 채취한 62개의 단층 핵 시료를 대상으로 직접전단시험과 입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내시험으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수직응력별 입도에 따른 전단강도의 범위를 결정하였다. 자갈의 무게비는 전단강도와 비례하며, 실트 및 점토의 무게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계수는 대부분 약 0.7 이상으로 시료의 불균질성을 고려할 때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분석된 회귀모형의 95% 신뢰 구간을 설정하여 무게비에 따른 전단강도의 상한과 하한 범위를 결정하였다.

Characteristics of Rice Hulls, Sawdust, Wood Shavings and Mixture of Sawdust and Wood Shavings, and Their Usefulness According to the Pen Location for Hanwoo Cattle

  • Ahn, Gyu Chul;Jang, Sun Sik;Kwak, Hyung Jun;Lee, Sang Rak;Oh, Young Kyun;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99-605
    • /
    • 2016
  •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Exp. I) of bedding materials such as rice hulls (RH), sawdust (SD), wood shavings (WS) and sawdust+wood shavings (S+W; 1:1 in volume), and utilization of these beddings except RH (Exp. II) for rearing beef cattle. In Exp. I,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 with $250{\mu}m$ and below $250{\mu}m$ was greater (p<0.05) in SD (30.4) than RH (4.4), WS (18.8) and S+W (20.1). Bulk density ($kg/m^3$) of bedding materials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ercentage of $250{\mu}m$ and below $250{\mu}m$ particles, 178, 46, 112, and 88 for SD, WD, S+W and RH, respectively. Water absorption rate (%) after submersion in water for 24 h was higher (p<0.05) in WS (540.2) compared to SD (270.2), S+W (368.2). The S+W had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absorption rate between SD and WS, but had an outstanding durability of water absorption capacity. Moisture evaporation rate (%) for 12 h was higher (p<0.05) in WS (75.4) than SD (70.5), S+W (72.2) and RH (57.8). Average ammonia emission ($mg/m^2/h$) for 36 h was higher (p<0.05) in RH (3.15) than SD (1.70), WS (1.63), and S+W (1.73). In Exp. II, thirty six Hanwoo cows were allocated in 9 pens with one side on feed bunk side (Side A) and another side equipped with water supply (Side B) for 3 weeks with duplicated periods. Average moisture concentrations (%) of beddings were higher (p<0.05) in WS (side A, 65.7; side B, 57.9) than SD (side A, 62.5; side B, 52.2) and S+W (side A, 61.6; side B, 50.7). Regardless of types of beddings, moisture concentrations (%) of beddings within a pen were lower (p<0.05) at side B than A, implying longer period of utiliz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sing S+W would be a better choice than SD or WS alone, consider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s, and RH is not a suitable material as a bedding for beef cat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