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rty ($D_k$)

검색결과 1,618건 처리시간 0.037초

아나목스 농후배양에서 암모니아 산화균의 자생 특성 (Presence and Growth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in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Enrichment)

  • 배효관;;정진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0-228
    • /
    • 2020
  •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MX) is a cost-efficient biological nitrogen removal process. The coexistence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AOB) in an AMX reactor is an interesting research topic as a nitrogen-related bacterial consortium. In this study, a sequencing batch reactor for AMX (AMX-SBR) was operated with a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The AOB in an AMX bioreactor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using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d real-time qPCR. A T-RFLP assay based on the ammonia monooxygenase subunit A (amoA) gene sequences showed the presence of Nitrosomonas europaea-like AOB in the AMX-SBR.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sequenced amoA gene showed that AOB were affiliated with the Nitrosomonas europaea/mobilis cluster. Throughout the enrichment period, the AOB population was stable with predominant Nitrosomonas europaea-like AOB. Two OTUs of amoA_SBR_JJY_20 (FJ577843) and amoA_SBR_JJY_9 (FJ577849) are similar to the clones from AMX-related environments. Real-time qPCR was used to quantify AOB populations over time. Interestingly, the exponential growth of AOB populations was observed during the substrate inhibition of the AMX bacteria. The specific growth rate of AOB under anaerobic conditions was only 0.111 d-1. The growth property of Nitrosomonas europaea-like AOB ma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metabolic relationship between the AMX bacteria and AOB.

마그네슘합금의 조직제어(組織制御)와 성형가공(成形加工) 및 스크랩 리싸이클링 기술(技術) (Microstructure Control, Forming Technologies of Mg Alloys and Mg Scrap Recycling)

  • 심재동;이동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1호
    • /
    • pp.69-79
    • /
    • 2011
  • 마그네슘 합금은 비중이 1.74로 가벼운데다 비강도는 구조용 금속 중에서 가장 크며, 방진성, 전자파 차폐성, 저용점 용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최근 자동차 부품과 전자산업 제품 분야에서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금속이다. 그러나 마그네슘의 결정구조는 조밀 육방정이기 때문에 소성변형이 가능한 슬립면이 한정되어 있으며 압연이나 압출가공 시에는 강한 집합조직이 형성되어 상온가공이 곤란하다. 따라서 지금까지 성형성 개선을 위한 조직제어와 성형기술 분야에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결정립과 집합조직에 관한 미세조직의 제어방법, 용체성형, 압연 및 압출에 관한 성형가공 기술과 마그네슘 스크랩 리싸이클링 기술에 관하여 최근의 연구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가스배관 재료의 기계적특성에 미치는 수소의 영향: I 인장특성 (The Effect of Hydroge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Gas Pipeline Material: I Tensile property)

  • 김우식;장재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7-73
    • /
    • 2011
  • 미래 수소경제시대에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수소공급방안으로 배관이 적용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우선 첫 단계에서는 기존 가스배관의 수소공급배관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천연가스배관에 수소가 일부 포함된 대체천연가스가 주입되는 기존 가스배관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야만 한다. 수소가 포함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에서는 수소취성, 피로파괴, 수소누설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압천연가스배관 건전성에 미치는 수소의 영향 평가 작업의 하나로서. 배관재료의 기계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수소의 영향을 거시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수소 주입 전 후의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연성, 가공경화 지수, 항복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두 인종간의 김치의 관능특성 차이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using Two Ethnic Groups)

  • 윤희남;엄기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5-758
    • /
    • 1991
  • 김치의 관능특성을 김치의 제조 공정조건과 인종간의 차이 관점에서 평가하고, 관능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설정하였다. 신 맛, 얼얼한 맛, 바삭바삭한 특성에서는 미국인의 관능치가 한국인보다 높았으며, 단 맛에서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고 짠 맛, 견고성, 질긴 면에서는 두 인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김치 제조시 소금물의 농도가 김치의 짠 맛에 영향을 주며, 10, 15, 20%의 소금물을 사용했을 때 짠 맛의 평균값은 4.5, 5.8, 7.1로 증가하였다. 질긴 정도의 관능치는 3일 숙성이 5.7 이었으며, 10일 숙성 후에는 4.5로 감소하였다. 김치의 관능특성 중 맛 특성과 조직감 특성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도 존재하지 않았다.

  • PDF

Simulation of Debris Flow Deposit in Mt. Umyeon

  • Won, Sangyeon;Kim, Gih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7-516
    • /
    • 2015
  • Debris flow is a representative natural disaster in Korea and occurs frequently every year. Recently, it has caused considerable damage to property and considerable loss of life in both mountainous and urban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scope of damage for a large area in order to predict the debris flow. A response model such as the random walk model(RWM)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instead of a physics-based numerical model. RWM is a probability model that simplifies both debris flows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as a factor of slopes for a subjective site and represents a relatively simple calculation method compared to other debris flow behavior calculation models. Although RWM can be used to analyzing and predicting the scope of damage caused by a debris flow, input variables for terrain conditions are yet to be determined. In this study, optimal input variables were estimated using DEM generated from the Aerial Photograph and LiDAR data of Mt. Umyeon, Seoul, where a large-scale debris flow occurred in 2011. Further, the deposition volume resulting from the debris flow was predicted using the input variables for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deposition volume could not be calculated because of work restoration and the passage of time even though a debris flow occurred there.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predicting the deposition volume in the debris flow with the result obtained from a debris flow behavior analysis model, Debris 2D.

An improved modal strain energy method for structural damage detection, 2D simulation

  • Moradipour, Parviz;Chan, Tommy H.T.;Gallag, Chamind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4권1호
    • /
    • pp.105-119
    • /
    • 2015
  • Structural damage detection using modal strain energy (MSE)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and reliabl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echniques. However, some of the existing MSE methods have been validated for special types of structures such as beams or steel truss bridges which demands improving the availabl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n efficient modal strain energy method to detect and quantify the damage in complex structures at early stage of formation. In this paper, a modal strain energy method was mathematically developed and then numerically applied to a fixed-end beam and a three-story frame including single and multiple damage scenarios in absence and presence of up to five per cent noise. For each damage scenario, all mode shapes and natural frequencies of intact structures and the first five mode shapes of assumed damaged structures were obtained using STRAND7. The derived mode shapes of each intact and damaged structure at any damage scenario were then separately used in the improved formulation using MATLAB to detect the location and quantify the severity of damage as compared to those obtained from previous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d method is more accurate, efficient and convergent than its predecessors.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safely and inexpensively use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o minimize the loss of lives and property by identifying the unforeseen structural damages.

6-Amino-2-N-(n-propionylamino)selenazolo[4,5-f]indan의 합성 (Synthesis of 6-amino-2-N-(n-propionylamino)selenazolo[4,5-f]indan)

  • 김민겸;마은숙
    • 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0-26
    • /
    • 2008
  • 2-Aminothiazole ring as a bioisoster of catechol in dopamine has provided with good oral availability and lipophilic property. Selenium was reported to have an improved antioxidant ability and to reduce the loss of dopamine. 2-Aminoindan, is a rigid form of dopamine, was evaluated as a dopamine agonist with low neurotoxocity. In order to develop a novel dopamine agonist, we tried to synthesize the selenazoloaminoindan derivative that is a hybrid structure of aminoindan and aminoselenazole instead of aminothiazole. 2-Indanone-2-oxime was reduced with $TiCl_4$ and $NaBH_4$ to form 2-aminoindan, which was reacted with propionyl chloride to give 2-N-n-propionylaminoindan (2). Compound 2 was reduced with $TiCl_4$ and $NaBH_4$ to afford 2-N-n-propylaminoindan (3) and it was nitrated and reduced to form 5-amino-2-N-n-propylaminoindan (5), which was reacted with KSeCN, $Br_2$, and glacial acetic acid to give 4,6-dibromo-5- amino-2-N-n-propylaminoindan (7) instead of selenazole ring formation. Otherwise, compound 2 was nitrated and hydrogenated to form 5-amino-2-N-n-propionylaminoindan (9), which was treated with KSeCN, $Br_2$, and glacial acetic acid to give 4,6-dibromo-5-amino-2-N-n-propionylaminoindan (10). Compound 9 was cyc1ized with KSeCN and glacial acetic acid in the absence of $Br_2$ to give 6-amino-2-N-(n-propionylamino)selenazolo[4,5-f]indan (11).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중성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arbonation and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High Volumes of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 류동우;김우재;양완희;박동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3-4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의 치환율이 80% 이상에 이르는 슬래그 대량 치환 콘크리트(High Volume Slag Concrete, HVSC)의 개발을 목표로 응결특성, 압축강도, 건조수축 및 중성화 저항성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치환율의 영향 및 알칼리 자극제의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결시간은 초결 및 종결 도달시간이 약 2~2.5 시간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 발현특성은 초기 및 장기의 모든 재령에서 감소하였다. 건조수축은 치환율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모든 배합에서 $6{\times}10^{-4}$ 이하의 값을 보여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화는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알칼리 자극제의 첨가에 따른 응결시간 및 초기강도 발현특성은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건조수축에 기여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성화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 업무 분석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지적 항목 모델 개발 방법 (Developing methodology of 3D Cadaster Feature Model using Cadastre Process Analysis)

  • 유희민;정동훈;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55-69
    • /
    • 2013
  • 현대 사회에서 도시가 성장하고 건설기술이 발달하면서 토지의 이용이 입체화 및 고도화되었다. 이에 따라 지상, 지하공간에 대한 권리와 소유권 등의 문제가 야기되었고 현 2차원 지적관리 체계의 한계점이 드러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3차원 지적을 구축하고자 지적을 정의하고 업무를 등록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업무를 분석하여 현 업무등록을 위해 필요한 항목과 속성을 기존의 연구 결과에 추가하여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통합적인 3차원 지적관리 체계가 구축된다면 시민들에게 토지정보를 활용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업무 또한 쉽고 빠르게 처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적과 관련된 실제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각각의 항목과 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기존의 연구에서 정의한 항목 요소에 포함시켜 국제 표준화에 맞는 항목 모델 개발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명반 첨가의 영향 (Effects of Alum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이신영;이상귀;김광중;권익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5-359
    • /
    • 1993
  • 명반이 멥쌀과 찹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멥쌀 및 찹쌀전분의 팽윤력은 두 전분 모두 대조구보다 명반 $0.05{\sim}1.0%(w/w)$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며, 이 농도 이상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용해도는 멥쌀전분의 경우 명반 $0.05{\sim}1.0%(w/w)$ 첨가구에서는 온도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한 반면, 찹쌀전분의 경우는 온도에 관계없이 감소하였으며, 이농도 이상에서는 두 전분 모두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Blue value값은 명반농도가 증가할수록 멥쌀전분의 경우는 증가한 반면, 찹쌀전분에서는 감소하였다. Amylography에 의한 호화양상에 있어서는 명반 1.0%(w/w) 첨가가 멥쌀 및 찹쌀전분의 호화개시 온도와 breakdown값을 증가시켰고 setback값은 감소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