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of education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초

문자식을 포함한 대수 증명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해 연구 - 문맥과 문자식, 어느 것을 보는가 - (Understanding of Algebraic Proofs Including Literal Expressions: Expressions or Contexts?)

  • 장혜원;강정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359-374
    • /
    • 2014
  • 증명 학습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오류는 수학교육계의 난제라 할 만하다. 증명에 대한 형식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기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대수 증명에 대해서도 문자식의 처리나 일반성의 파악과 관련하여 어려움의 요소는 도처에서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3의 배수의 합은 3의 배수라는 명제에 대한 문자식을 포함한 증명에서 학생들이 증명의 문맥을 적절하게 이해하는가를 알아보는 데 초점을 둔다. 중학교 3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증명 과정에 문자식이 포함되며 결론 부분은 빈 칸으로 생략되어 있는 증명을 제시하고 그 증명이 어떤 명제에 대한 증명인지 알아보도록 한 결과 반 이상의 학생이 문자식 자체에 근거하여 부적절한 응답을 하였다. 나아가 그 중 임의 추출한 세 명을 개별 면담함으로써 사고 특징을 조사하였다. 대수 증명을 식의 성립을 보이는 것으로 간주하는 증명관, 증명 수행과 이해에서의 문자식 해석의 괴리 등을 비롯한 사고 특징을 파악하고 그로부터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REDUCTION OF HILBERT-TYPE PROOF SYSTEMS TO THE IF-THEN-ELSE EQUATIONAL LOGIC

  • Jeong, Joo-Hee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4권1_2호
    • /
    • pp.69-80
    • /
    • 2004
  • We present a construction of the linear reduction of Hilbert type proof systems for propositional logic to if-then-else equational logic. This construction is an improvement over the same result found in [4] in the sense that the technique used in the construction can be extended to the linear reduction of first-order logic to if-then-else equational logic.

ANOTHER PROOF OF CLASSICAL DIXON'S SUMMATION THEOREM FOR THE SERIES 3F2

  • Kim, Insuk;Cho, Myunghyu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41권3호
    • /
    • pp.661-666
    • /
    • 2019
  • In this short research note, we aim to provide a new proof of classical Dixon's summation theorem for the series $_3F_2$ with unit argument. The theorem is obtained by evaluating an infinite integral and making use of classical Gauss's and Kummer's summation theorem for the series $_2F_1$.

GSP가 중학생들의 증명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An Influence of GSP to Learning Process of Proof of Middle School Students: Case Study)

  • 신유경;강윤수;정인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5-6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원의 성질' 단원의 증명학습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를 조사하여 GSP를 활용한 증명학습이 학생들의 어려움을 어떻게 완화시키는지를 탐구하였다. 진단검사를 통해, 학생들은 가정과 결론의 이해, 기호의 사용, 추론 과정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생들은 GSP를 활용한 증명학습을 통해 자신의 추측이나 추론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구체적인 사례를 일반화하거나 증명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능동적으로 찾는 탐구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과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ypes of students' justification and the use of dynamic software)

  • 류희찬;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45-261
    • /
    • 1999
  • Proof i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and as such should be a key component in mathematics education. But, teaching proof in school mathematics have been unsuccessful for many students. The traditional approach to proofs stresses formal logic and rigorous proof. Thus, most students have difficulties of the concept of proof and students' experiences with proof do not seem meaningful to them. However, different views of proof were asserted in the reassessment of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and the nature of mathematical truth. These different views of justification need to be reflected in demonstrative geometry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types of students' justification in demonstrative geometry classes taught using dynamic software. The types of justification can b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 empirical justification, deductive justification, and authoritarian justification. Empirical justification are based on evidence from examples, whereas deductive justification are based logical reasoning. If we assume that a strong understanding of demonstrative geometry is shown when empirical justification and deductive justification coexist and benefit from each other, then students' justification should not only some empirical basis but also use chains of deductive reasoning. Thus, interaction between empirical and deductive justification is important. Dynamic geometry software can be used to design the approach to justification that can be successful in moving students toward meaningful justification of ideas. Interactive geometry software can connect visual and empirical justification to higher levels of geometric justification with logical arguments in formal proof.

  • PDF

역사발생적 수학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1) - 증명의 의미 지도의 역사발생적 전개 (A Study on the Historic-Genetic Principle of Mathematics Education(1) - A Historic-Genetic Approach to Teaching the Meaning of Proof)

  • 우정호;박미애;권석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401-420
    • /
    • 2003
  • 증명 학습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특히, 증명이 도입되는 중학교 기하 단원의 학습에서 야기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많은 학생들이 증명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간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다. 본 고에서는 기하의 역사 발생적 단계에 따른 증명의 의미 지도가 증명 지도 개선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Branford가 제시한 바와 같이 역사-발생적 전개를 통하여 증명의 의미를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Euclid원론이 성립하기까지의 기하의 역사적 발달 과정과 병행하여 실험적, 직관적, 과학적 단계를 거쳐 발전되어 온 증명의 발생 과정을 살펴보고 지도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실험적, 직관적 증명 단계를 거쳐 수학적인 증명을 도입하는 지도 과정에 따라 삼각형의 내각의 합에 대한 명제의 증명 지도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해 보았다. 본 고에서는 그러한 결과를 통하여 역사-발생적 접근이 학생들에게 증명의 의미를 이해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대수 증명에서 종속적 일반성의 인식 및 특정수 전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recognition of the dependent generality in algebraic proofs and its transition to numerical cases)

  • 강정기;장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93-110
    • /
    • 2014
  • Algebra deals with so general properties about number system that it is called as 'generalized arithmetic'. Observing students' activities in algebra classes, however, we can discover that recognition of the generality in algebraic proofs is not so easy. One of these difficulties seems to be caused by variabl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algebraic proofs. Many studies show that students have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in recognizing the meaning and the role of variables in algebraic proofs. For example, the confusion between 2m+2n=2(m+n) and 2n+2n=4n means that students misunderstand independent/dependent variation of variables. This misunderstanding naturally has effects o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proofs. Furthermore, students also have a difficulty in making a transition from algebraic proof to numerical cases which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proof.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middle school students can recognize dependent generality and make a transition from proofs to numerical ca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a difficulty in both of them.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also includes did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the generality of algebraic proo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