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iling

검색결과 1,508건 처리시간 0.037초

가상현실 기반 범죄 프로파일링 시뮬레이션 교육 및 평가 시스템 (Criminal Profiling Simul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김한섭;김해지;이윤식;이지은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3-9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범죄 프로파일링 시뮬레이션 교육 및 평가 시스템을 제안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강력범죄의 발생비가 45.2% 증가함에 따라 프로파일링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기존 교육과정 문제로 인해, 국내 프로파일러의 수는 서른여섯 명으로 매우 적은 수준이다. '범죄 재현 학습'은 프로파일링을 교육하는 대표적인 방법이지만, 여러 제약사항이 존재해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기존의 제약사항을 해결하고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사용자는 가상현실로 구현된 범죄 현장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몰입형 체험으로 프로파일링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의 활용으로 많은 기관에서 프로파일링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프로파일링 기법을 교육받은 우수한 프로파일러를 양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테러 예방을 위한 미국 항공프로파일링 기법의 국내 활용방안 (Application Plan of U.S Aviation Profiling for Prevention of Air Terrorism in Korea)

  • 양승돈;양영모
    • 시큐리티연구
    • /
    • 제38호
    • /
    • pp.33-56
    • /
    • 2014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항공테러의 예방과 항공보안의 강화를 위해 미국의 항공보안프로파일링 기법이 내포하고 있는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적용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의 항공프로파일링으로는 Secure Flight, 관찰기법에 의한 승객검색, 여행자 등록 프로그램 등 각 프로파일링 기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미국의 항공보안 프로파일링 기법을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이를 국내에 적용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전 정보구축 및 구축정보의 일원화하는 것이다. 둘째, 항공테러예방을 위한 전담기구를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프로파일링을 활용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인권 및 프라이버스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항공테러예방 및 보안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키워드 유형별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 국외 오픈액세스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by Keyword Type Based on Profiling: Focusing on Overseas Open Access Field)

  • 김판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115-140
    • /
    • 2021
  • 본 연구는 국외 오픈액세스 분야를 대상으로 LISTA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키워드 집합을 두 가지 유형(통제키워드, 비통제키워드)으로 구분하고, 각 키워드 유형별로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지적구조 분석의 또 다른 방법인 프로파일링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는 지를 살펴보고, 동시출현단어 분석과 프로파일링의 차이점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키워드 유형별로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는 동시출현단어 분석과 유사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프로파일링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 간에도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키워드를 사용하는 지적구조 분석은 연구 목적에 따라 키워드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정 분야의 연구 동향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시출현단어 분석보다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형 윈도우에서 다중 분기 예측법을 이용하는 수퍼스칼라 프로세서의 프로화일링 성능 모델 (A Wide-Window Superscalar Microprocessor Profiling Performance Model Using Multiple Branch Prediction)

  • 이종복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7호
    • /
    • pp.1443-144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profiling model of a wide-window superscalar microprocessor using multiple branch prediction. The key idea is to apply statistical profiling technique to the superscalar microprocessor with a wide instruction window and a multiple branch predictor. The statistical profiling data are used to obtain a synthetical instruction trace, and the consecutive multiple branch prediction rates are utilized for running trace-driven simulation on the synthesized instruction trace. We describe our design and evaluate it with the SPEC 2000 integer benchmarks. Our performance model can achieve accuracy of 8.5 % on the average.

개인화된 제품 추천을 위한 고객 행동 기반 고객 프로파일링 기법 (Customer Behavior Based Customer Profiling Technique for Personalized Products Recommendation)

  • 박유진;정유진;장근녕
    • 경영과학
    • /
    • 제23권3호
    • /
    • pp.183-194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stomer profiling technique based on customer behavior for personalized products recommenda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The proposed technique defines customer profile model based on customer behavior Information such as click data, buying data, market basket data, and interest categories. We also implement CBCPT(customer behavior based customer profiling technique) and perform extensive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BCPT has higher MAE, precision, recall, and F1 than the existing other customer profiling technique.

방화범죄자에 대한 Criminal Profiling 적용 가능성 고찰 (A Study for the Criminal Profiling of Arsonists)

  • 김경옥
    • 한국화재조사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3-30
    • /
    • 2008
  •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최신 과학수사기법으로 외국에서는 물론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경찰 실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자들에게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미국에서 1960년대 이후 급증한 연쇄살인 범죄에 대한 새로운 수사기법으로 개발된 분야로서, 연쇄살인 범죄자에 대해서는 비교적 다양한 연구가 수행된 반면 방화범죄자에 대해서는 국내 외의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외국에서 수행된 연구 및 방화범죄자의 유형 구분이 가능한가에 대한 외국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여 국내에서 방화범죄자의 프로파일링이 어떻게 이루어져야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Perception of Offender Profiling and its Development Strategies)

  • 박지선;최낙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13-423
    • /
    • 2012
  •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점차 지능화 되어 가는 범죄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사 기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경찰 지휘관 및 일선 수사관들의 이해 부족과 회의적인 태도로 인하여 효율적인 활용과 실질적 수사 지원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대학 재학생 총 156명을 대상으로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일반인들의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일반대학 재학생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파일링의 필요성이나 효과성, 신뢰성에 있어서는 모두 비교적 높은 평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 사건 해결에 있어 프로파일러의 주도성이나 현재 경찰 조직에서 프로파일링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경찰대 학생들 가운데 장래 프로파일러가 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반응이 약 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이 중 대다수가 어떻게 해야 프로파일러가 될 수 있는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행위기반의 프로파일링 기법을 활용한 모바일 악성코드 분류 기법 (Andro-profiler: Anti-malware system based on behavior profiling of mobile malware)

  • 윤재성;장재욱;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45-15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범죄수사에서 사용되는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악성코드 행위 프로파일링을 통하여 효율적인 모바일 악성코드 분류 방법론 Andro-profiler를 제안한다. Andro-profiler는 클라이언트/서버 형태로, 클라이언트 앱이 모바일기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앱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해당 앱을 동적 분석 도구인 Droidbox가 설치된 에뮬레이터에서 실행시키면서 발생되는 시스템 콜과 에뮬레이터 로그를 이용하여 해당 앱의 행동을 프로파일링하며, 해당 앱의 프로파일링 목록을 저장된 악성코드 프로파일링 DB와 비교하여 악성유무를 판단하고, 악성코드로 판단될 경우 분류를 실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결과를 통보한다. 실험결과, Andro-profiler는 1MB의 악성코드를 분류하는데 평균 55초가 소요되었고, 99%의 정확도로 악성코드를 분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방법론보다 더 정확하게 악성코드를 분류할 수 있다.

프로파일링 단계에서 파형 선별을 통한 템플릿 공격의 성능 향상 (Power Trace Selection Method in Template Profiling Phase for Improvements of Template Attack)

  • 진성현;김태원;김희석;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5-23
    • /
    • 2017
  • 템플릿 공격은 공격 대상 장비와 동일한 테스트 장비를 보유한 경우에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부채널 분석 방법이다. 템플릿 공격은 테스트 장비를 이용하여 비밀정보에 대한 템플릿을 구성하는 프로파일링 단계와 공격 대상 장비에서 수집한 전력 파형을 템플릿과 비교하여 비밀정보를 찾는 매칭 단계로 구성된다. 템플릿 공격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가우시안 분포에 대한 템플릿의 추정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프로파일링 단계에서 각 중간값에 대한 템플릿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전력 파형의 수가 제한된다면 템플릿 계산이 부정확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파일링 단계에서 템플릿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형의 수가 제한될 때 노이즈 파형으로 간주되는 전력 파형을 제거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론에 따라 노이즈로 간주되는 전력 파형을 제외하여 템플릿을 구성할 경우에 템플릿 추정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템플릿 공격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템플릿 공격의 성능이 향상됨을 보임으로써 제시한 방법론이 타당함을 증명한다.